"구백화 전답매매명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noinclude> | </noinclude> | ||
− | ==정의== | + | =='''정의'''== |
1767년 7월 15일에 [[구백화]]가 [[별고지기]]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 1767년 7월 15일에 [[구백화]]가 [[별고지기]]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 ||
− | ==내용== | + | =='''내용'''== |
1767년 7월 15일에 [[구백화]]가 [[별고지기]]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 1767년 7월 15일에 [[구백화]]가 [[별고지기]]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 ||
구백화는 급한 사정 때문에 별고지기에게 피모皮牟 12마지기를 전문錢文 3냥의 가격으로 매매하였다. 문서의 말미에는 전답을 매매한 후 이의를 제기할 경우 관에 보고해서 분쟁을 해결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박개불이]]가 증인으로 참석했고, [[포망맏이]]가 문서를 작성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8쪽.</REF> | 구백화는 급한 사정 때문에 별고지기에게 피모皮牟 12마지기를 전문錢文 3냥의 가격으로 매매하였다. 문서의 말미에는 전답을 매매한 후 이의를 제기할 경우 관에 보고해서 분쟁을 해결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박개불이]]가 증인으로 참석했고, [[포망맏이]]가 문서를 작성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8쪽.</REF>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REF>[http://archive.kostma.net/Inspection/insDirView.aspx?dataUCI=G002+AKS+KSM-XD.1767.0000-20101008.B020a_032_00497_XXX 1767년 구백화이 불망기(不忘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자료센터 한국고문서자료관』<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3년 10월 07일.</REF> | <REF>[http://archive.kostma.net/Inspection/insDirView.aspx?dataUCI=G002+AKS+KSM-XD.1767.0000-20101008.B020a_032_00497_XXX 1767년 구백화이 불망기(不忘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자료센터 한국고문서자료관』<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3년 10월 07일.</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관계정보==== |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50번째 줄: | 46번째 줄: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58번째 줄: | 54번째 줄: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65번째 줄: | 61번째 줄: | ||
|- | |- | ||
|} | |} | ||
− | ==참고문헌==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구백화_전답매매명문.jpg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
+ | </gallery> | ||
+ | |||
+ | =='''참고문헌'''== | ||
*단행본 | *단행본 | ||
*# 國學振興硏究事業推進委員會 編輯, 『古文書集成/ 32: 慶州 慶州孫氏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온라인 참조: "[http://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664047 고문서집성 32]",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정보관』<sup>online</sup></online></html>. | *# 國學振興硏究事業推進委員會 編輯, 『古文書集成/ 32: 慶州 慶州孫氏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온라인 참조: "[http://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664047 고문서집성 32]",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정보관』<sup>online</sup></online></html>. | ||
72번째 줄: | 75번째 줄: | ||
*# 李樹健, 『嶺南士林派의 形成』, 嶺南大學校出版部, 1979. | *# 李樹健, 『嶺南士林派의 形成』, 嶺南大學校出版部, 1979.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2017년 5월 20일 (토) 00:04 판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
영문명칭 | A record of land trade issued when Gubaekhwa was trading land with Byeolgojig |
---|---|
작자 | 구백화 |
작성시기 | 1767년 |
간행시기 | 조선후기 |
소장처 | 장서각(경주손씨 송첨종택 기탁) |
청구기호 | 2-1868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38×45.5㎝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章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정의
1767년 7월 15일에 구백화가 별고지기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내용
1767년 7월 15일에 구백화가 별고지기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구백화는 급한 사정 때문에 별고지기에게 피모皮牟 12마지기를 전문錢文 3냥의 가격으로 매매하였다. 문서의 말미에는 전답을 매매한 후 이의를 제기할 경우 관에 보고해서 분쟁을 해결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박개불이가 증인으로 참석했고, 포망맏이가 문서를 작성하였다.[1]
부연설명
한국학자료센터 한국고문서자료관에는 "1767년 구백화이 불망기(不忘記)"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구백화 | A는 B가 지었다 | 1767년 |
별고지기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A는 B에 언급된다 | 1767년 |
박개불이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A는 B에 언급된다 | 1767년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포망맏이 | A는 B가 지었다 | 1767년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67년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이 작성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참고문헌
- 단행본
- 國學振興硏究事業推進委員會 編輯, 『古文書集成/ 32: 慶州 慶州孫氏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온라인 참조: "고문서집성 32",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정보관』online . - 嶺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良佐洞硏究』, 嶺南大學校出版部, 1990.
- 李樹健 編著, 『慶北地方古文書集成』, 嶺南大學校出版部, 1981.
- 李樹健, 『嶺南士林派의 形成』, 嶺南大學校出版部, 1979.
- 國學振興硏究事業推進委員會 編輯, 『古文書集成/ 32: 慶州 慶州孫氏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온라인 참조: "고문서집성 32",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8쪽.
- ↑ 1767년 구백화이 불망기(不忘記)",
『한국학자료센터 한국고문서자료관』online 작성일: 2003년 10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