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활동) |
(→활동) |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숙종의 네번째 아들이자 [[의천]]의 제자인 [[징엄|원명국사 징엄(圓明國師 澄儼)]]이 9살 때 병이 나자, [[의천]]은 [[학일]]에게 도움을 청하였는데, [[학일]]이 대반야(大般若)를 염(念)하자 왕자가 살아났고, 이에 [[의천]]은 더욱 존경하였으며, 숙종의 명에 의해 [[학일]]은 [[보은 법주사|법주사(法住寺)]]의 주지가 되었다.<ref>민백, 학일</ref> | 숙종의 네번째 아들이자 [[의천]]의 제자인 [[징엄|원명국사 징엄(圓明國師 澄儼)]]이 9살 때 병이 나자, [[의천]]은 [[학일]]에게 도움을 청하였는데, [[학일]]이 대반야(大般若)를 염(念)하자 왕자가 살아났고, 이에 [[의천]]은 더욱 존경하였으며, 숙종의 명에 의해 [[학일]]은 [[보은 법주사|법주사(法住寺)]]의 주지가 되었다.<ref>민백, 학일</ref> | ||
{{blockquote | {{blockquote | ||
− | | | + | |참석자 가운데 왕자가 있었는데 나이가 9세였고, 곧 지금의 원명국사이다. 어느 날 갑자기 죽어 온기가 모두 끊어졌다. 모인 사람들이 당황하여 구명할 방법을 알지 못하였다. 대각국사가 구해줄 것을 국사에게 청하니, 국사가 조용히 대반야를 염송하였고 얼마 후에 왕자가 소생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대각국사가 공경하는 마음이 더해졌다. 왕이 국사의 일을 자세히 듣고 …(결락)… 법주사(法住寺)에 머물도록 하였다. |
− | |출처= | + | |출처=한국금석문집성24, 16쪽. |
}} | }} | ||
2017년 5월 18일 (목) 21:09 판
학일(學一) | |
대표명칭 | 학일 |
---|---|
한자 | 學一 |
생몰년 | 1052년(문종 6)-1144년(인종 22) |
시호 | 원응(圓應) |
자 | 봉거(逢渠) |
성씨 | 이씨(李氏) |
속명 | 학일(學一) |
출신지 | 충청북도 서원(西原) |
승탑비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학일은 1052년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 지방인 서원(西原)에서 출생하였다. 속성은 이씨(李氏)이고, 아버지는 이응첨(李應瞻)으로 관직에 진출하지는 않았다. 어머니는 이씨(李氏)였으며, 용이 집에 들어오는 꿈을 꾸고 임신을 하였다고 한다. 또한 학일은 어려서부터 매운 채소와 고기를 먹지 않았다고 한다.
출가수행
학일은 1062년 11세에 출가하여 진장(眞藏)의 제자가 되었고, 1064년 13세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혜함(惠含)의 문하에서 선지(禪旨)에 통달하였고, 경률론(經律論)에 대하여 깊이 연구했으며, 특히 『대반야경(大般若經)』에 박통하여 반야(般若) 삼매(三昧)의 경지에 도달했다. 게다가 많은 사람들의 질병까지 고쳐주었으므로 크게 존경을 받았다.[1] 1084년에는 광명사(廣明寺)에서 승과(僧科)에 급제하였다.
활동
1086년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송나라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천태종(天台宗)을 개창하자, 선종(禪宗)의 승려들 가운데 10명 중 6~7명은 천태종으로 옮겨갔다. 그러나 학일은 의천의 수차례 요청에도 불구하고 선종의 승려로 남았다. 특히 1098년에 의천은 홍원사(弘圓寺)에서 원각경(圓覺經) 법회(法會)를 개최하여 학일을 법회의 부강(副講)으로 삼고자 하였으나, 학일은 이를 사양하고 단지 청강하였다.
숙종의 네번째 아들이자 의천의 제자인 원명국사 징엄(圓明國師 澄儼)이 9살 때 병이 나자, 의천은 학일에게 도움을 청하였는데, 학일이 대반야(大般若)를 염(念)하자 왕자가 살아났고, 이에 의천은 더욱 존경하였으며, 숙종의 명에 의해 학일은 법주사(法住寺)의 주지가 되었다.[2]
입적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