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해제)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해제=== | ===해제=== |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57&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br/>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57&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br/> | ||
−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157&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istAll=&lmenuType=&totalCount=0¤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 +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157&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istAll=&lmenuType=&totalCount=0¤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의궤]]는 이방 이하의 내용을 수록한 하책이 존재했을 것이나 결락되었다. <br/> |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621303&pos=0&total_df=1&uci=GK13109_00&sWord=%EC%82%AC%EB%8F%84%EC%84%B8%EC%9E%90%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태백산본 해제] |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621303&pos=0&total_df=1&uci=GK13109_00&sWord=%EC%82%AC%EB%8F%84%EC%84%B8%EC%9E%90%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태백산본 해제] | ||
2017년 5월 16일 (화) 23:59 판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 |
---|---|
주제 | 가례(嘉禮) |
작성주체 | 가례도감(嘉禮都監) |
의례담당자 | 김재로(金在魯)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744년(영조 20년) |
소장처(원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태백산)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1책 256장(어람용)/1책 358장(오대산본) |
도설 | 12면(채색), 반차도 12면(채색) |
목차
정의
1744년(영조 20년)에 영조의 둘째 아들인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가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1735~1815)와 가례를 올린 행사를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가례는 10월 28일 예조에서 올린 계사와 이에 대한 왕의 전교로 시작된다. 10월 30일부터 이듬해 1월 11일까지 도감 및 예조 등에서 올린 계사와 이에 대한 왕의 답을 정리하였다. 또한 11월 3일부터 이듬해 1월 2일까지 예조에서 보내온 첩정 첩정 ☞ 뜻 확인 필요 (정주영)
을 모아놓았다. 삼간택(三揀擇)은 11월 13일에 있었고, 육례 중 납채는 12월 20일, 납징은 12월 26일, 고기는 12월 29일, 책빈은 1월 9일, 친영과 동뢰연은 1월 11일에 각각 시행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목록
좌목(座目)·계사(啓辭)·예관(禮關)·의주(儀註)·이문(移文)·품목(稟目)·감결(甘結)·서계(書啓)·부(附) 의궤(儀軌)·논상(論賞)·일방(一房)·이방(二房)·삼방(三房)·별공작(別工作)으로 구성되었다.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의궤는 이방 이하의 내용을 수록한 하책이 존재했을 것이나 결락되었다.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태백산본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8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태백산본(奎 13109), 오대산본(奎 13110), 강화부본(奎 1311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81)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한다 |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한다 |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한다 |
문헌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 가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문헌 → 의례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 가례 | A는 B를 기록한다 |
의례 → 기관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가례 | 가례도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인물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사도세자 | 면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혜경궁 홍씨 | 적의 | A는 B를 착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