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가사(장서각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noinclude> | </noinclude> | ||
− | == | + | =='''정의'''== |
송강(松江) [[정철]](鄭澈, 1536-1593)의 가사(歌辭)와 시조(時調)를 수록한 필사본 가사집이다. | 송강(松江) [[정철]](鄭澈, 1536-1593)의 가사(歌辭)와 시조(時調)를 수록한 필사본 가사집이다. | ||
− | ==내용== | + | =='''내용'''== |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續美人曲)>, <[[성산별곡]](星山別曲)>과 정철의 단가(短歌)를 수록하였다. 목판본을 베껴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관동별곡]]>은 강원도 원주 관찰사로 부임해 금강산 일대의 절경을 둘러보고 감흥을 읊은 것이며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은 이별한 여인의 심정에 의탁해 임금과 멀어진 자신의 심경을 읊은 것이다. <[[성산별곡]]>은 전라도 성산에 있는 [[식영정]](息影亭)을 찾아 정자의 주인 [[김성원]](金成遠)의 인품을 칭송한 작품이다. 어느 작품이나 여러 형태의 선행 작품을 받아들여 형태적 완성도를 높이면서도 새로운 시험을 한 문제작들이다. 필사시기는 미상이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4쪽.</REF> | <[[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續美人曲)>, <[[성산별곡]](星山別曲)>과 정철의 단가(短歌)를 수록하였다. 목판본을 베껴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관동별곡]]>은 강원도 원주 관찰사로 부임해 금강산 일대의 절경을 둘러보고 감흥을 읊은 것이며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은 이별한 여인의 심정에 의탁해 임금과 멀어진 자신의 심경을 읊은 것이다. <[[성산별곡]]>은 전라도 성산에 있는 [[식영정]](息影亭)을 찾아 정자의 주인 [[김성원]](金成遠)의 인품을 칭송한 작품이다. 어느 작품이나 여러 형태의 선행 작품을 받아들여 형태적 완성도를 높이면서도 새로운 시험을 한 문제작들이다. 필사시기는 미상이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4쪽.</REF> | ||
− | ==관련항목== | + | ==={{PAGENAME}}의 판본에 대해서=== |
+ | 필사본으로 전하는 것도 있으나 내용이 온전하지 못한다. 목판본으로는 [[황주본|황주본(黃州本)]], [[의성본|의성본(義城本)]], [[관북본|관북본(關北本)]], [[성주본|성주본(星主本)]], [[관서본|관서본(關西本)]]등 5 종류가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의성본]]과 [[관북본]]은 전하지 않는다. | ||
+ |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ref> | ||
+ | [[황주본]]은 1690년-1696년 사이에 [[이계상]]이 [[황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모두 26장의 완책으로,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의 순서로 가사 5편이 수록되어 있다. | ||
+ |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ref> | ||
+ | [[성주본]] [[정철]]의 5대손인 [[정관하]]가 성주목사를 지내던 1747년에 [[성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44장이며 상, 하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권에는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등 [[황주본]]과 같은 5편이 수록되어 있다. 반면 하권에는 단가 79수와 [[정철]]의 현손인 [[정천]]과 그의 아들 [[정관하]]의 발문이 실려 있다. | ||
+ |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ref> | ||
+ | [[관서본]]은 [[의성본]]과 [[관북본]]을 간행한 사람의 손자인 [[정실]]이 [[관서지방]]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23장에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및 단가 5수와 [[이선]]의 발문, 정실의 후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관서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ref> | ||
+ | =='''지식 관계망'''== | ||
+ | |||
+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
46번째 줄: | 58번째 줄: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54번째 줄: | 66번째 줄: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61번째 줄: | 73번째 줄: | ||
|} | |} | ||
− | == | + | =='''주석'''==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논문 | ||
+ | **최상은, 「송강가사에 있어서의 자연과 현실 」, 『새국어교육』, Vol 50, 1993, 179-196쪽 | ||
+ | **김진희, 「송강가사의 시간성과 극적 구조」, 『古典文學硏究』, Vol 46, 2014, 3-37쪽. | ||
+ | **이현주, 「송강가사(松江歌辭)의 형성과 변모 양상」, 『한국고시가문화연구』, Vol2, 3, 1995, 107-132쪽.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2017년 5월 14일 (일) 19:31 판
송강가사 | |
한자명칭 | 松江歌辭 |
---|---|
영문명칭 | Jeong Cheol's prose and poetry book |
작자 | 정철 |
작성시기 | 조선중기 |
간행시기 | 조선후기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D6B-36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2.9×23.0㎝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책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목차
정의
송강(松江) 정철(鄭澈, 1536-1593)의 가사(歌辭)와 시조(時調)를 수록한 필사본 가사집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續美人曲)>, <성산별곡(星山別曲)>과 정철의 단가(短歌)를 수록하였다. 목판본을 베껴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관동별곡>은 강원도 원주 관찰사로 부임해 금강산 일대의 절경을 둘러보고 감흥을 읊은 것이며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은 이별한 여인의 심정에 의탁해 임금과 멀어진 자신의 심경을 읊은 것이다. <성산별곡>은 전라도 성산에 있는 식영정(息影亭)을 찾아 정자의 주인 김성원(金成遠)의 인품을 칭송한 작품이다. 어느 작품이나 여러 형태의 선행 작품을 받아들여 형태적 완성도를 높이면서도 새로운 시험을 한 문제작들이다. 필사시기는 미상이다. [1]
송강가사(장서각본)의 판본에 대해서
필사본으로 전하는 것도 있으나 내용이 온전하지 못한다. 목판본으로는 황주본(黃州本), 의성본(義城本), 관북본(關北本), 성주본(星主本), 관서본(關西本)등 5 종류가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의성본과 관북본은 전하지 않는다. [2] 황주본은 1690년-1696년 사이에 이계상이 황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모두 26장의 완책으로,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의 순서로 가사 5편이 수록되어 있다. [3] 성주본 정철의 5대손인 정관하가 성주목사를 지내던 1747년에 성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44장이며 상, 하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권에는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등 황주본과 같은 5편이 수록되어 있다. 반면 하권에는 단가 79수와 정철의 현손인 정천과 그의 아들 정관하의 발문이 실려 있다. [4] 관서본은 의성본과 관북본을 간행한 사람의 손자인 정실이 관서지방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23장에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및 단가 5수와 이선의 발문, 정실의 후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관서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5]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중심 | 연결정보 | 대상 |
---|---|---|
송강가사(장서각본) | 인물 | 정철 |
송강가사(장서각본) | 인물 | 김성원 |
송강가사(장서각본) | 공간 | 식영정 |
송강가사(장서각본) | 문헌 | 사미인곡 |
송강가사(장서각본) | 문헌 | 속미인곡 |
송강가사(장서각본) | 문헌 | 관동별곡 |
송강가사(장서각본) | 문헌 | 성산별곡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송강가사(장서각본) | 간행시기 | 조선 후기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송강가사(장서각본)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197 | 127.054387 |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4쪽.
- ↑ 권두환, 송강가사,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 - ↑ 권두환, 송강가사,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 - ↑ 권두환, 송강가사,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 - ↑ 권두환, 송강가사,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최상은, 「송강가사에 있어서의 자연과 현실 」, 『새국어교육』, Vol 50, 1993, 179-196쪽
- 김진희, 「송강가사의 시간성과 극적 구조」, 『古典文學硏究』, Vol 46, 2014, 3-37쪽.
- 이현주, 「송강가사(松江歌辭)의 형성과 변모 양상」, 『한국고시가문화연구』, Vol2, 3, 1995, 107-13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