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육진개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
− | |||
− | |||
=='''시각적 안내'''== | =='''시각적 안내'''== |
2017년 5월 11일 (목) 10:59 판
육진개척 | |
작가 | 김태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정의
조선 세종 16년(1434) 이후 10여 년에 걸친 육진(六鎭)개척 당시 김종서 장군 지휘하의 조선군이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을 상상하여 그린 유화이다.[1]
설명
작품 소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9941&cid=46622&categoryId=46622
조선 세종 때 동북방면의 여진족에 대비해 두만강 하류 남안에 설치한 국방상의 요충지. 즉, 종성(鐘城)·온성(穩城)·회령(會寧)·경원(慶源)·경흥(慶興)·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한다. 따라서, 두만강 유역의 가장 큰 여진 부족인 우디거족(兀良哈族) 및 오도리족(斡朶里族)과 대치하고 있었다. 이성계는 즉위 초부터 이들을 회유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태종 때에는 경원·경성에 무역소를 두고 여진족에게 교역의 편의를 제공하기까지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육진 [六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은 이러한 여진족 내분의 기회를 포착해 김종서(金宗瑞)를 함길도도절제사에 임명하는 한편, 이징옥(李澄玉)의 무위에 힘입어 북방 개척을 과감하게 추진해갔다. 그리하여 그 이듬 해인 1434년(세종 16)부터 육진이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육진 [六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12&cid=41826&categoryId=41826 조선 세종 때 김종서(金宗瑞)를 시켜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설치한 군사상 요충지. 곧 종성(鐘城)•온성(穩城)•회령(會寧)•경원(慶源)•경흥(慶興)•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 세종 16년(1434) 이래 10년간에 걸쳐 개척되었으며, 조선의 북쪽 경계가 두만강까지 완전히 이르는 계기가 됨. [네이버 지식백과] 육진 [六鎭]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태 | 김태-육진개척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김태-육진개척 | [[ ]]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태-육진개척 | [[ ]]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수도군단 | 김태-육진개척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0년 12월 31일-1991년 12월 30일 |
[[ ]] | [[ ]] | A는 B에서 발발하였다 | |
[[ ]] | [[ ]]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 ]] | [[ ]] | A는 B에 위치한다 | |
[[ ]] | [[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A는 B를 사용하였다 | |
[[ ]] | [[ ]] | A는 B를 포함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김태가 김태-육진개척를 제작하였다. |
1990년 12월 31일-1991년 12월 30일 | 수도군단이 김태-육진개척을 대여하였다. |
[[ ]]이 [[ ]]를 지휘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149271 | 126.9463594 | 수도군단이 김태-육진개척을 대여하였다 |
[[ ]]가 [[ ]]에서 발발하였다 | ||
[[ ]]는 [[ ]]에 위치한다 |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 ↑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e뮤지엄』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5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