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의궤정보 |이미지= 궁중기록화 의궤 가례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상 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순종순정...)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906년(광무10) | + | 1906년(광무10) [[황태자]]였던 [[순종]](1874~1926)의 가례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
==기본 정보== | ==기본 정보== |
2017년 5월 3일 (수) 19:58 판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
[[file:|360px|thumb|center|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대표명칭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
한자표기 | 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주제 | 가례 |
작성주체 | 가례도감 |
의례담당자 | 민영규(閔泳奎)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906년(광무 10년) |
소장처(원소장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정족산성)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2책 442장(제1책 290장, 제2책 152장) |
도설 | 20면(제1책 1면, 제2책 19면)(채색), 반차도 46면(제1책)(채색) |
정의
1906년(광무10) 황태자였던 순종(1874~1926)의 가례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기본 정보
- 간략한 내용
- 1906년(광무10) 5월 13일 初揀擇 및 都監 구성하고, 5월 16일 도감 회동, 25일 각방 시역했다.
- 8월 5일 재간택(再揀擇), 11월 16일 삼간택(三揀擇)을 했다.
- 11월 24일 납채 및 문명, 27일 납길, 28일 납징을 했다.
- 12월 8일 각방 공역 완료, 10일 고기, 11일 책비, 봉영, 동뢰연, 황제 조현례, 14일 진하(陳賀) 반교(頒敎) 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 황태자 가례는 이전까지의 조선왕실 가례들에 비해 오랜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납채와 납징 사이에 납길 의식이 추가되었다.
- 책비와 봉영, 동뢰연, 황제 조현례가 모두 하루에 치러진 점도 특징이다.
- 목차
- 1책: 목록(目錄), 좌목(座目), 거행일기(擧行日記), 조칙(詔勅), 조회(照會), 내조(來照), 예식원주본(禮式院奏本), 훈령(訓令), 재용(財用), 상전(賞典), 의궤(儀軌), 일방의궤(一房儀軌).
- 2책: 이방의궤(二房儀軌), 삼방의궤三房儀軌), 별공작(別工作), 수리소(修理所儀軌), 서압(署押).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정족산성본 기본정보
- 가치[1]
- 본 의궤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태자 가례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수록 내용이 충실하고 체제도 잘 갖추어져 있다.
- 대한제국 시기 유일한 가례의궤로서, 대한제국 수립 이후 달라진 황실의 위상과 가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당시의 사회사, 경제사, 문화사, 생활사 등 여러 방면의 연구에 활용 가치가 큰 자료이다.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한다 |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궁내청 | A는 B에 소장한다 |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가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가례 | A는 B를 기록한다 | |
가례 | 가례도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
황태자 | 면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황태자비 | 적의 | A는 B를 착용한다 |
참고문헌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배게,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배게, 2002.
- 신병주 외 3명, 『조선의 혼례식 풍경』, 돌배게, 2013.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임민혁, 『조선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