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1696년숙종22 12월 2일에 [[상전]]이 [[출생|노奴 출생出生]]에게 전답의 매매를 위임하면서 발급한 [[배지|배지牌旨]]와 1697년 2월 12일에 노 출생이 [[일복|윤진사댁 노 일복日福]]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명문明文을 붙여놓은 자료이다. 상전은 출생에게 전답 매매를 당부하고 위임하는 내용의 배지를 한글로 작성해주었다. 출생은 상전의 배지에 따라 [[일복|윤진사댁 노 일복]]에게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당악원堂岳員에 있는 이자李字 밭 종피種皮 5마지기를 상전댁의 배지와 함께 정조正租 5석石 15두斗의 가격으로 매매하였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생이|반노班奴 생이生伊]]와 [[이학|반노 이학李鶴]]이 증인과 증보證保로 참여했고, [[탄잠|승僧 탄잠坦岑]]이 문서를 작성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6-117쪽.</REF> | 1696년숙종22 12월 2일에 [[상전]]이 [[출생|노奴 출생出生]]에게 전답의 매매를 위임하면서 발급한 [[배지|배지牌旨]]와 1697년 2월 12일에 노 출생이 [[일복|윤진사댁 노 일복日福]]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명문明文을 붙여놓은 자료이다. 상전은 출생에게 전답 매매를 당부하고 위임하는 내용의 배지를 한글로 작성해주었다. 출생은 상전의 배지에 따라 [[일복|윤진사댁 노 일복]]에게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당악원堂岳員에 있는 이자李字 밭 종피種皮 5마지기를 상전댁의 배지와 함께 정조正租 5석石 15두斗의 가격으로 매매하였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생이|반노班奴 생이生伊]]와 [[이학|반노 이학李鶴]]이 증인과 증보證保로 참여했고, [[탄잠|승僧 탄잠坦岑]]이 문서를 작성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6-117쪽.</REF> | ||
− | + | ||
==부연설명== | ==부연설명== | ||
− | --> | + | 1682년 사노 출생이 윤니산댁의 노 일복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을 작성한 |
+ | 사람이 ‘사노(私奴) 이학(李鶴)’이다. 사노 출생과의 관계는 ‘동생제(同生弟)’이다. 1706년 | ||
+ | 에 ‘노(奴) 이학’이 윤진사댁에 논을 파는 매매명문에 증인으로 그의 ‘동생장형(同生長 | ||
+ | 兄)’인 ‘출생’이 확인된다. 따라서 출생에게는 여러 형제가 있었고 그가 장남이었다. | ||
+ | 1709년 이신철(李信哲)이 박생원댁의 노 연백(連白)에게 논을 파는 문서에서 증인으로 | ||
+ | ‘동생형 이출생(李出行)’이 기재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출생은 최소 3형제 중 장남 | ||
+ | 이었으며 모두가 노의 신분이다가 18세기 즈음에 ‘이씨’성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 ||
+ | 출생이 성을 가졌다고 종의 신분에서 상승해서 평민이나 그 이상이 되었다고 단정하기 | ||
+ | 는 좀 어렵다. 출생은 18세기 즈음 상전의 성을 따라 이출생으로 사회적으로 행세하기 시 | ||
+ | 작했다고 추정할 뿐이다. | ||
+ | |||
+ | 상전: 상전의 성은 물론이고 이름까지도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출 | ||
+ | 생이 18세기에 그의 성을 ‘이씨’로 밝히고 있고, 당시 노비들이 상전의 성을 따르는 사례 | ||
+ | 가 있었음을 볼 때 이씨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정도이다. | ||
+ | - 니산댁(尼山宅): 조선왕조실록에는 1678년(숙종 4) 어명에 따라 윤이석(尹爾 | ||
+ | 錫,1626~1694)을 특별히 6품으로 승진시키고 이산현감에 제수한 기록이 확인된다. 이로 | ||
+ | 본다면 ‘니산댁’은 곧 윤이석이 니삼현감을 지낸 사실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해남윤씨 | ||
+ | 종가의 윤이석이 이산현감을 지내면서 그 종가는 ‘윤니산댁’으로 통칭되었으며, 그가 세상 | ||
+ | 을 떠난 후에도 그 택호는 그대로 남아 그를 기렸다. | ||
+ | - 의호(儀浩): 배지에는 ‘녯죵 의호’로 기록되고 문서 ‘儀浩’와 ‘義浩’로 확인된다. 해남 | ||
+ | 윤씨 종가 자료 중 의 모두 13건에서 확인된다. 1629년에서 1672년 사이에 분포하고 있 | ||
+ | 는데, 특히 1672년의 배지와 매매명문에서는 당시 이미 세상을 떠난 것으로 밝히고 있다.<REF>[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2&idx=37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강독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금요강독회, 2016.12.09, 정수환』<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gallery> | <gallery> |
2017년 4월 29일 (토) 22:45 판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
영문명칭 | A record of land trades and trade procurement issued to servant Ilbok of Yun family from servant Chulsaeng |
---|---|
작자 | 상전 |
작성시기 | 1696-1697년 |
간행시기 | 조선후기 |
기탁처 | 해남윤씨 녹우당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41.7×38㎝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章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정의
노 출생이 윤진사댁 노 일복日福 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명문明文을 붙여놓은 자료이다.
내용
1696년숙종22 12월 2일에 상전이 노奴 출생出生에게 전답의 매매를 위임하면서 발급한 배지牌旨와 1697년 2월 12일에 노 출생이 윤진사댁 노 일복日福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명문明文을 붙여놓은 자료이다. 상전은 출생에게 전답 매매를 당부하고 위임하는 내용의 배지를 한글로 작성해주었다. 출생은 상전의 배지에 따라 윤진사댁 노 일복에게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당악원堂岳員에 있는 이자李字 밭 종피種皮 5마지기를 상전댁의 배지와 함께 정조正租 5석石 15두斗의 가격으로 매매하였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반노班奴 생이生伊와 반노 이학李鶴이 증인과 증보證保로 참여했고, 승僧 탄잠坦岑이 문서를 작성하였다.[1]
부연설명
1682년 사노 출생이 윤니산댁의 노 일복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을 작성한 사람이 ‘사노(私奴) 이학(李鶴)’이다. 사노 출생과의 관계는 ‘동생제(同生弟)’이다. 1706년 에 ‘노(奴) 이학’이 윤진사댁에 논을 파는 매매명문에 증인으로 그의 ‘동생장형(同生長 兄)’인 ‘출생’이 확인된다. 따라서 출생에게는 여러 형제가 있었고 그가 장남이었다. 1709년 이신철(李信哲)이 박생원댁의 노 연백(連白)에게 논을 파는 문서에서 증인으로 ‘동생형 이출생(李出行)’이 기재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출생은 최소 3형제 중 장남 이었으며 모두가 노의 신분이다가 18세기 즈음에 ‘이씨’성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출생이 성을 가졌다고 종의 신분에서 상승해서 평민이나 그 이상이 되었다고 단정하기 는 좀 어렵다. 출생은 18세기 즈음 상전의 성을 따라 이출생으로 사회적으로 행세하기 시 작했다고 추정할 뿐이다.
상전: 상전의 성은 물론이고 이름까지도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출 생이 18세기에 그의 성을 ‘이씨’로 밝히고 있고, 당시 노비들이 상전의 성을 따르는 사례 가 있었음을 볼 때 이씨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정도이다. - 니산댁(尼山宅): 조선왕조실록에는 1678년(숙종 4) 어명에 따라 윤이석(尹爾 錫,1626~1694)을 특별히 6품으로 승진시키고 이산현감에 제수한 기록이 확인된다. 이로 본다면 ‘니산댁’은 곧 윤이석이 니삼현감을 지낸 사실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해남윤씨 종가의 윤이석이 이산현감을 지내면서 그 종가는 ‘윤니산댁’으로 통칭되었으며, 그가 세상 을 떠난 후에도 그 택호는 그대로 남아 그를 기렸다. - 의호(儀浩): 배지에는 ‘녯죵 의호’로 기록되고 문서 ‘儀浩’와 ‘義浩’로 확인된다. 해남 윤씨 종가 자료 중 의 모두 13건에서 확인된다. 1629년에서 1672년 사이에 분포하고 있 는데, 특히 1672년의 배지와 매매명문에서는 당시 이미 세상을 떠난 것으로 밝히고 있다.[2]
시각자료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상전 | A는 B가 지었다 | 1696 |
출생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A은 B에 언급된다 | |
일복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A은 B에 언급된다 | |
배지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A는 B에 포함된다 | |
생이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A은 B에 언급된다 | |
이학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A은 B에 언급된다 | |
탄잠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A는 B이 지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96-1697년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이 작성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참고문헌
- 온라인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강독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금요강독회, 2016.12.09, 정수환』online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강독자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6-117쪽.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강독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금요강독회, 2016.12.09, 정수환』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