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 =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 =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영문 = |이칭 = |지정번호...) |
(→소개)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소개= | =소개= | ||
− | +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무위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이다. 국보 제13호이다. | |
− | + | 무위사에 남아 있는 건물은 대부분 1555년(명종 10) 4창할 때 건립된 것인데, 이 극락전만큼은 1956년경 수리공사를 하던 중 본존불 뒷벽의 벽화 아래 서쪽에 쓰인 연기문(緣起文)을 통하여 1476년(성종 7) 이전에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 | |
− | + | <ref>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 |
− | |||
=비문= | =비문= |
2016년 12월 27일 (화) 13:08 판
소개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무위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이다. 국보 제13호이다.
무위사에 남아 있는 건물은 대부분 1555년(명종 10) 4창할 때 건립된 것인데, 이 극락전만큼은 1956년경 수리공사를 하던 중 본존불 뒷벽의 벽화 아래 서쪽에 쓰인 연기문(緣起文)을 통하여 1476년(성종 7) 이전에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 [1]
비문
한국 금석문 종합영상정보 서비스를 참조해 주세요.
비문 내용에서 확인되는 지식노드
- 최언위(崔彦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을 지은 인물.
- 유훈율(柳勳律):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의 글씨를 쓴 인물.
- 취두(鷲頭): 인도에 있는 영취산(靈鷲山). 부처님께서 이 산중에서 많은 설법을 하였는데, 여기서는 인도를 지칭함.[2]
- 계족산(雞足山): 가섭존자의 열반처.[3]
- 축건(竺乾): 인도의 다른 이름. 천축(天竺)의 천과 서건(西乾)의 건을 합자한 것.[4]
- 최락권(崔樂權): 선각대사 형미의 아버지.[5]
-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禮濯): 선각대사 형미의 스승.[6]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 체징이 수행하던 사찰.[7]
- 도의국사(道義國師): 생몰년 미상. 신라시대의 승려. 우리 나라에 최초로 중국의 남종선(南宗禪)을 전하였다. 성은 왕씨(王氏). 법호는 명적(明寂), 시호는 원적(元寂)이며 도의는 법명이다. 북한군(北漢郡) 출생.[8]
- 양양 진전사지(襄陽 陳田寺址):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설악산에 있었던 절. 신라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효시가 되었던 가지산파(迦智山派)의 초조(初祖) 도의국사(道義國師)가 창건한 사찰이다.[9]
- 김문윤(金文允):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을 각자한 인물.
- 최한규(崔奐規):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을 각자한 인물.
관련 지식정보 노드
노드 | 관계 | 노드 | 설명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를 주인공으로 하다 | 선각대사 형미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는 선각대사 형미의 행적을 담고 있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에 있다 | 강진 무위사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는 강진 무위사에 있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최언위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최언위가 작성하였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유훈율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유훈율이 글씨를 썼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김문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김문윤이 각자했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최한규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최한규가 각자했다. |
각주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2016년 12월 26일 확인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도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807, 2016년 12월 22일 확인
- ↑ 진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862, 2016년 12월 22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