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대표명칭= 복두(幞頭) | |대표명칭= 복두(幞頭) | ||
|이칭별칭= | |이칭별칭= | ||
− | + | |착용신분= 문무백관 | |
− | |착용신분= | ||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
− | + | |복식구분= 관 | |
− | |복식구분= | ||
|복식구성= | |복식구성= | ||
− | |관련복식= | + | |관련복식= [[공복]] |
− | |필드수= | + | |필드수= 7 |
}} | }} | ||
==정의== | ==정의== | ||
− | + | * [[문무백관]]의 [[공복]]인 [[단령]]에 착용한 관. | |
− | == | + | ===착용신분=== |
− | + | * [[문무백관]]. | |
− | == | + | ===형태=== |
+ | * 사각형의 직물을 머리에 두르고, 두 귀[角]를 먼저 정수리 아래에서 묶고 다른 두 귀를 뒤에서 앞으로 올려 이마에서 묶던 두건의 형태에서 시작.<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 | * 한 폭의 직물을 묶던 형태를 고정화시켜 2단으로 턱이 진 네모형이 되고 앞으로 올려 묶던 두 귀는 퇴하하고 뒤로 내린 두 귀는 좌우로 길게 뻗쳐진 형태로 발전.<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 | * 신라 진덕여왕 이후 당나라에서 받아들여 착용하기 시작했으며 두 귀가 양옆으로 길게 뻗은 [[전각복두]]를 착용.<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72 한국복식사전, 전각복두]</ref>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
파일:최치원 복두(신라).jpg|최치원 복두(신라)<ref>채용신 작(1924년). 무성서원 소장.</ref> | 파일:최치원 복두(신라).jpg|최치원 복두(신라)<ref>채용신 작(1924년). 무성서원 소장.</ref> | ||
파일:강민첨 복두(고려).jpg|강민첨 복두(고려)<ref>보물 제588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 파일:강민첨 복두(고려).jpg|강민첨 복두(고려)<ref>보물 제588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기타=== | ||
+ | * 북주[後周] 무제(武帝)가 처음 만들었음.<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 | * 한대(漢代) 즈음 두건을 사용하다 동한(東漢) 이후 두건에서 조금 변형된 형태인 [[복건|복건(幅巾)]]이 출현.<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 | * 위진남북조 시기 선비족의 모자가 유입되면서 [[복두]] 탄생.<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 | * 조선시대는 사모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착용례가 줄어들어 조선후기에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앵삼|앵삼(鶯衫)]]과 함께 어사화를 꽃은 복두를 착용.<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16 한국복식사전:복두]</ref>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 | !항목A!!항목B!!관계 |
− | |||
− | |||
|- | |- | ||
− | | | + | |[[문무백관]]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AGENAME}}''' || [[공복]] ||A는 B의 부분이다 | ||
|} | |} | ||
72번째 줄: | 45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
2017년 4월 26일 (수) 23:17 판
복두(幞頭)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복두(幞頭) |
---|---|
착용신분 |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착용신분
- 문무백관.
형태
- 사각형의 직물을 머리에 두르고, 두 귀[角]를 먼저 정수리 아래에서 묶고 다른 두 귀를 뒤에서 앞으로 올려 이마에서 묶던 두건의 형태에서 시작.[1]
- 한 폭의 직물을 묶던 형태를 고정화시켜 2단으로 턱이 진 네모형이 되고 앞으로 올려 묶던 두 귀는 퇴하하고 뒤로 내린 두 귀는 좌우로 길게 뻗쳐진 형태로 발전.[2]
- 신라 진덕여왕 이후 당나라에서 받아들여 착용하기 시작했으며 두 귀가 양옆으로 길게 뻗은 전각복두를 착용.[3]
기타
- 북주[後周] 무제(武帝)가 처음 만들었음.[6]
- 한대(漢代) 즈음 두건을 사용하다 동한(東漢) 이후 두건에서 조금 변형된 형태인 복건(幅巾)이 출현.[7]
- 위진남북조 시기 선비족의 모자가 유입되면서 복두 탄생.[8]
- 조선시대는 사모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착용례가 줄어들어 조선후기에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앵삼(鶯衫)과 함께 어사화를 꽃은 복두를 착용.[9]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
문무백관 | 복두 | A는 B를 착용한다 |
복두 | 공복 | A는 B의 부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