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 | * 고려 말부터 조선말까지 [[단령(團領)]]에 착용하던 관모. |
+ | ===착용신분=== | ||
+ | * [[문무백관]]. | ||
+ | ** 영조대의 『속대전(續大典)』에 신하들 간의 품계에 따라 뿔의 무늬를 달리하여 사모를 구분했는데 당상 3품 이상은 무늬 있는 뿔인 문사각(紋紗角), 당하 3품 이하는 단사각(單紗角)을 쓰도록 규정.<ref>『續大典』,「禮典」, ‘儀章’ : “冠堂上三品以上烏紗帽紋紗角, 堂下三品以下烏紗帽單紗角.”</ref> | ||
+ | ** 당상관은 겹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를 만들고 당하관은 홑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보임. | ||
− | |||
− | |||
− | |||
− | |||
− | |||
===형태=== | ===형태=== | ||
− | * 사모의 형태는 앞은 낮고 뒤는 높은 | + | * 사모의 형태는 앞은 낮고 뒤는 높은 이층구조. |
− | + | * 뒷면 아래쪽에 좌우 수평으로 뻗어 있는 뿔이 있음.<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 2005, 39쪽.</ref> | |
− | * 헝겊에서 단단한 재질의 사모로 발전한 후에도 초기에는 부드러운 두 뿔이 밑으로 처진 형태였으나, 차차 빳빳해져서 조선 중기 명종대 이후로는 양옆으로 반듯하게 펴진 단단한 경각(硬角)의 | + | * 헝겊에서 단단한 재질의 사모로 발전한 후에도 초기에는 부드러운 두 뿔이 밑으로 처진 형태였으나, 차차 빳빳해져서 조선 중기 명종대 이후로는 양옆으로 반듯하게 펴진 단단한 경각(硬角)의 형태. |
− | + | * 머리에 쓰는 부분인 모체(帽體)의 높낮이 및 뿔의 폭과 길이도 시대에 따라 변함. | |
− | + | * 조선 중기에는 모체가 높고 뿔의 폭이 넓고 평직이었으며, 말기에는 모체가 다시 낮아지면서 뿔의 폭은 여전히 넓으나 길이는 짧아지고 앞으로 굽음.<ref>국사편찬위원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2006, 131쪽.</ref>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파일:사모-당상관-19세기-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5) 명선(중)-p40.jpg|사모(19세기) <br>뿔 : 문사각 <br>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명선-중> p. 40. | 파일:사모-당상관-19세기-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5) 명선(중)-p40.jpg|사모(19세기) <br>뿔 : 문사각 <br>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명선-중> p. 40. | ||
41번째 줄: | 35번째 줄: | ||
파일: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jpg|사모 측면(19세기) <br>뿔 : 단사각 <br>민속 011180 <br>국립민속박물관 소장 | 파일: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jpg|사모 측면(19세기) <br>뿔 : 단사각 <br>민속 011180 <br>국립민속박물관 소장 | ||
파일: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5.jpg|사모 반측면(19세기) <br>뿔 : 단사각 <br>민속 011180 <br>국립민속박물관 소장 | 파일: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5.jpg|사모 반측면(19세기) <br>뿔 : 단사각 <br>민속 011180 <br>국립민속박물관 소장 | ||
− | |||
− | |||
− | |||
− | |||
파일:사모-당상관-윤급(1697-1770, 1762년 경)-당상관-국립중앙박물관(2008) 조선시대 초상화2-p111.jpg|사모 <br>뿔 : 문사각 <br>윤급(1697-1770) 초상 <br><조선시대 초상화 2> p. 111. | 파일:사모-당상관-윤급(1697-1770, 1762년 경)-당상관-국립중앙박물관(2008) 조선시대 초상화2-p111.jpg|사모 <br>뿔 : 문사각 <br>윤급(1697-1770) 초상 <br><조선시대 초상화 2> p. 111. | ||
파일:사모-당하관-전 김장생(1548-1631) 초상-당하관-국립중앙박물관(2008) 조선시대 초상화1-p118.jpg|단사각 사모 <br>뿔 : 단사각 <br>전 김장생(1548-1631) 초상 <br><조선시대 초상화 1> p. 118. | 파일:사모-당하관-전 김장생(1548-1631) 초상-당하관-국립중앙박물관(2008) 조선시대 초상화1-p118.jpg|단사각 사모 <br>뿔 : 단사각 <br>전 김장생(1548-1631) 초상 <br><조선시대 초상화 1> p. 118. | ||
</gallery> | </gallery> | ||
+ | |||
+ | ===기타=== | ||
+ | * 검은 헝겊을 머리에 감싸는 모양에서 발전하여 시기에 따라 재료와 형태가 변화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 [[경국대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경국대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속대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속대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PAGENAME}}''' || [[상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PAGENAME}}''' || [[상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71번째 줄: | 55번째 줄: | ||
|- | |- | ||
| '''{{PAGENAME}}''' || [[상례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PAGENAME}}''' || [[상례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PAGENAME}}''' || [[문무백관]] || A는 B를 착용한다 || | | '''{{PAGENAME}}''' || [[문무백관]]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7년 4월 26일 (수) 22:37 판
사모(紗帽)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사모(紗帽) |
---|---|
착용신분 | 궁중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 고려 말부터 조선말까지 단령(團領)에 착용하던 관모.
착용신분
- 문무백관.
- 영조대의 『속대전(續大典)』에 신하들 간의 품계에 따라 뿔의 무늬를 달리하여 사모를 구분했는데 당상 3품 이상은 무늬 있는 뿔인 문사각(紋紗角), 당하 3품 이하는 단사각(單紗角)을 쓰도록 규정.[1]
- 당상관은 겹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를 만들고 당하관은 홑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보임.
형태
- 사모의 형태는 앞은 낮고 뒤는 높은 이층구조.
- 뒷면 아래쪽에 좌우 수평으로 뻗어 있는 뿔이 있음.[2]
- 헝겊에서 단단한 재질의 사모로 발전한 후에도 초기에는 부드러운 두 뿔이 밑으로 처진 형태였으나, 차차 빳빳해져서 조선 중기 명종대 이후로는 양옆으로 반듯하게 펴진 단단한 경각(硬角)의 형태.
- 머리에 쓰는 부분인 모체(帽體)의 높낮이 및 뿔의 폭과 길이도 시대에 따라 변함.
- 조선 중기에는 모체가 높고 뿔의 폭이 넓고 평직이었으며, 말기에는 모체가 다시 낮아지면서 뿔의 폭은 여전히 넓으나 길이는 짧아지고 앞으로 굽음.[3]
- 사모-당상관-19세기-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5) 명선(중)-p40.jpg
사모(19세기)
뿔 : 문사각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명선-중> p. 40.
기타
- 검은 헝겊을 머리에 감싸는 모양에서 발전하여 시기에 따라 재료와 형태가 변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경국대전 | 사모 | A는 B를 기록한다 | |
속대전 | 사모 | A는 B를 기록한다 | |
사모 | 상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사모 | 시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사모 | 상례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사모 | 문무백관 | A는 B를 착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