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극이 아들 안정복과 며느리에게 보낸 한글편지 1 (해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noinclude> {{해석문안내 |해독자= |출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84쪽 }} </...)
 
1번째 줄: 1번째 줄:
 
<noinclude>
 
<noinclude>
{{해석문안내
+
{{해석독문안내
 
|해독자=
 
|해독자=
 
|출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84쪽
 
|출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84쪽

2017년 4월 25일 (화) 00:40 판

틀:해석독문안내


한글팀 안극이 아들 안정복과 며느리에게 보낸 한글편지1.png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추가예정 정복에게 보내는 글
추가예정 추위가 매우 심한데 너의 먹고 자는 것은 어떠하느냐?
추가예정 근심스럽기 한이 없구나
추가예정 나는 무사히 무주(茂州)에 도착했고, 그대로 유숙했다가 내일 거창(居昌)으로 항하려고 한다.
추가예정 네 처가 해산한 뒤이니, 궁귀탕에 껍질을 벗긴 복숭아씨 6푼과 홍화 3푼을 가미하여 2첩을 복용하면 괜찮을 것이다.
추가예정 나머지는 세세하게 적지 않는다.
추가예정 신년(辛年) 12월 4일 아비가.
추가예정 며느리도 한가지로 보아라.
추가예정 나는 무풍(茂豊)까지 무사히 왔다.
추가예정 너 해산하는 모습을 보지 못하고 나오니 마음이 어찌 잠시라도 잊었겠느냐.
추가예정 비록 딸을 낳을지라도 서운해 말고 음식이나 착실히 먹고, (나는) 병 없으니까 내 염려는 없게 하여라.
추가예정 바빠 그친다.
추가예정 신년 납월(臘月) 초사일. 시아비가.
추가예정 네 시어머니께 바빠 편지 못한다.
추가예정 해산한 후 마음을 단단히 먹고 밥을 잘 먹어야 병이 없을 것이니 부디 조심하여라.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