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집 애니메이션(29))
146번째 줄: 146번째 줄: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413&index_id=cp04130036&content_id=cp041300360001&search_left_menu=2 얹은머리(조선)]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413&index_id=cp04130036&content_id=cp041300360001&search_left_menu=2 얹은머리(조선)]
 +
 +
*OPEN TV, "[https://www.youtube.com/watch?v=FGHKvB-mUlk (3D 입체영상)종묘 정전]", ''YouTube'', 작성일: 2016년 02월 08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FGHKvB-mUlk"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수집 동영상(15)===
 
===수집 동영상(15)===
224번째 줄: 232번째 줄:
  
 
*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294392 KTV 왕세자의 성균관 입학례 재현(한국예술종합학교)]
 
*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294392 KTV 왕세자의 성균관 입학례 재현(한국예술종합학교)]
 +
 +
==의례 및 재현행사 관련==
 +
*평창한옥학교, "[https://www.youtube.com/watch?v=zmcf8Q-AIT0 종묘제례]", ''YouTube'', 작성일: 2015년 08월 31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zmcf8Q-AIT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K-HERITAGE, "[https://www.youtube.com/watch?v=D6UDEz7pu5Y 종묘제례&종묘제례악 1부 종묘제례, 63가지 제기에 담긴 정성]", ''YouTube'', 작성일: 2014년 07월 15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D6UDEz7pu5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2017년 4월 24일 (월) 14:51 판

수집 애니메이션(29)

  • "어여머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어여머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첩지머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첩지머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떠구지머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떠구지머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대수머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대수머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얹은머리 - 가체 한단, 가체 두단",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얹은머리(가체 한단, 가체 두단)",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쪽머리 기본",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쪽머리 기본",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상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상투 치레구성",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면류관을 쓴 왕",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면류관",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익선관을 쓴 왕",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익선관",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대수머리를 한 왕비",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대수머리를 한 왕비",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떠구지머리를 한 노상궁",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떠구지머리를 한 노상궁",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어여머리를 한 외명부",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어여머리를 한 외명부",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상투에 유건을 쓴 유생",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유건",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전립을 쓴 하급 포졸",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전립을 쓴 하급 포졸",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채화복두를 쓴 악공",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채화복두를 쓴 악공",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굴건을 쓴 상주",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굴건",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가리마를 쓴 나인",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가리마",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쪽머리에 화관을 쓴 궁중 여령",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쪽머리에 화관을 쓴 궁중 여령",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쪽머리에 전립을 쓰고 검무를 추는 검기",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쪽머리에 전립을 쓰고 검무를 추는 검기",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백사모를 쓴 관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백사모",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양관을 쓴 관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양관",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쪽머리에 흑각개구리첩지를 한 상(喪)중의 노상궁",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쪽머리에 흑각개구리첩지를 한 상(喪)중의 노상궁",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개수머리를 한 반가 노부인",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개수머리를 한 반가 노부인",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복건 위에 흑립을 쓴 반가 남자",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복건 위에 흑립을 쓴 반가 남자",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풍차 위에 흑립을 쓴 반가 남자",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풍차 위에 흑립을 쓴 반가 남자",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주립을 쓴 중인 관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주립",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발인의 반차", 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3. 온라인 참조: "발인의 반차",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방상씨", 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3. 온라인 참조: "방상씨",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홍문대기", 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3. 온라인 참조: "홍문대기",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수집 동영상(15)

  • "어여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어여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첩지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첩지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떠구지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떠구지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생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생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쪽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쪽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대수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대수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쌍계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쌍계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상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상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또야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또야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조짐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조짐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의례 및 재현행사 관련

  • 평창한옥학교, "종묘제례", YouTube, 작성일: 2015년 08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