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4번째 줄: 24번째 줄:
 
==내용==
 
==내용==
 
[[이시헌]]에 관해서는 특별히 남아 있는 기록이 없어 자세한 사정을 알기 어렵다.<br/>  
 
[[이시헌]]에 관해서는 특별히 남아 있는 기록이 없어 자세한 사정을 알기 어렵다.<br/>  
[[백운동 별서정원]]의 5대 주인으로, 딸만 넷을 두어 아들이 없었기에 아우 [[이석휘]]의 아들 [[이시헌]]을 입계해서 대를 이었다.<br/>
+
[[백운동 별서정원]]의 5대 주인으로, 4대 주인인 [[이덕휘]]의 아우 [[이석휘]]의 아들로, 아들이 없었던 [[이덕휘]]의 양아들이 되어 대를 이었다.<br/>
 +
그는 [[백운동 별서정원]]의 중흥조라 할 만한 인물로, 선대의 문집과 행록을 펴내고, 집안에 전해오던 필묵들을 묶어 책자로 만듦으로써 [[백운동 별서정원]]의 역사를 오늘날 전하게 해주었다.<br/>
 +
그가 저술한 [[백운세수첩(白雲世守帖)]](역대 명류들이 백운동 8영을 읊은 연작시가 다수 실려 있음. 이들 시는 초기 백운동의 모습을 재구성하는데 큰 밑바탕이 됨), 수졸암행록, 칠세보묵, 시간일람 등의 자료를 정리해서 펴냈음.
 +
다산이 백운동에 보낸 편지 세 통은 시간일람에 실려있음.
 +
 
 +
 
 +
 
 +
딸만 넷을 두어 아들이 없었기에 아우 [[이석휘]]의 아들 [[이시헌]]을 입계해서 대를 이었다.<br/>
 
[[이덕휘]]는 그의 부친 [[이현박]]이 [[해남 윤씨]]와 결혼하였기에 [[정약용]]의 외가와는 멀지 않은 친척이었다. [[정약용]]은 제자 [[의선]], [[윤동]]과 함께 1806년에 이어 1812년 [[월출산]] 등정을 시도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백운동 별서정원]]을 찾게 되었는데, 그 인연으로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았고, 이후 [[정약용]]의 후원자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br/>
 
[[이덕휘]]는 그의 부친 [[이현박]]이 [[해남 윤씨]]와 결혼하였기에 [[정약용]]의 외가와는 멀지 않은 친척이었다. [[정약용]]은 제자 [[의선]], [[윤동]]과 함께 1806년에 이어 1812년 [[월출산]] 등정을 시도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백운동 별서정원]]을 찾게 되었는데, 그 인연으로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았고, 이후 [[정약용]]의 후원자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br/>
 
그는 당시 10세 소년이었던 아들 [[이시헌]]을 [[다산초당]]으로 보내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된다.<br/>
 
그는 당시 10세 소년이었던 아들 [[이시헌]]을 [[다산초당]]으로 보내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된다.<br/>
 
현재 [[정약용]]이 [[이덕휘]]에게 보낸 편지 세 통이 남아 있다.
 
현재 [[정약용]]이 [[이덕휘]]에게 보낸 편지 세 통이 남아 있다.
  
백운동 별서정원의 중흥조라 할 만한 인물이다. 그는 양자로 들어가 맡게 된 주손의 역할에 큰 책임감을 느끼고 가문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일이 자신의 어개에 달렸다고 생각했던 듯하다.
 
그는 집안에 전해오는 문적들을 정리하였다. 선대의 문집과 행록을 펴내고, 집안에 전해오던 필묵들을 묶어 책자로 만듦으로써 백운동의 역사를 오늘날 전하게 해주었다. -> 백운세수첩(역대 명류들이 백운동 8영을 읊은 연작시가 다수 실려 있음. 이들 시는 초기 백운동의 모습을 재구성하는데 큰 밑바탕이 됨), 수졸암행록, 칠세보묵, 시간일람 등의 자료를 정리해서 펴냈음.
 
다산이 백운동에 보낸 편지 세 통은 시간일람에 실려있음.
 
  
 
그는 다산의 백운동 방문을 계기로 당시 강진에 귀양와 있던 다산 문하에 막내 제자로 합류했다.
 
그는 다산의 백운동 방문을 계기로 당시 강진에 귀양와 있던 다산 문하에 막내 제자로 합류했다.
38번째 줄: 42번째 줄:
  
  
ㅂ이시헌의 문집 <자이집>에는 백운동의 14경을 노래한 시를 비롯해 이곳에서의 일상이 오롯하게 기록됨
+
 
 +
이시헌의 문집 <자이집>에는 백운동의 14경을 노래한 시를 비롯해 이곳에서의 일상이 오롯하게 기록됨
  
  
67번째 줄: 72번째 줄:
 
| [[이시헌]] ||  [[이덕휘]] || A는 B의 아들이다 ||  
 
| [[이시헌]] ||  [[이덕휘]] || A는 B의 아들이다 ||  
 
|-  
 
|-  
| [[이덕휘]] ||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의 주인이다  ||  
+
| [[이시헌]] ||  [[정학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
| [[이시헌]] ||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의 주인이다  ||  
 
|-
 
|-
 
|[[이시헌]] ||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이시헌]] ||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이시헌]] || [[백운세수첩]]|| A는 B를 저술하였다 ||
 
|[[이시헌]] || [[백운세수첩]]||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
|[[이시헌]] || [[자이집]]||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2017년 4월 23일 (일) 15:58 판

틀:인물정보2

정의

백운동 별서정원의 5대 주인으로, 4대 주인인 이덕휘의 양아들이자, 정약용의 제자이다.

내용

이시헌에 관해서는 특별히 남아 있는 기록이 없어 자세한 사정을 알기 어렵다.
백운동 별서정원의 5대 주인으로, 4대 주인인 이덕휘의 아우 이석휘의 아들로, 아들이 없었던 이덕휘의 양아들이 되어 대를 이었다.
그는 백운동 별서정원의 중흥조라 할 만한 인물로, 선대의 문집과 행록을 펴내고, 집안에 전해오던 필묵들을 묶어 책자로 만듦으로써 백운동 별서정원의 역사를 오늘날 전하게 해주었다.
그가 저술한 백운세수첩(白雲世守帖)(역대 명류들이 백운동 8영을 읊은 연작시가 다수 실려 있음. 이들 시는 초기 백운동의 모습을 재구성하는데 큰 밑바탕이 됨), 수졸암행록, 칠세보묵, 시간일람 등의 자료를 정리해서 펴냈음. 다산이 백운동에 보낸 편지 세 통은 시간일람에 실려있음.


딸만 넷을 두어 아들이 없었기에 아우 이석휘의 아들 이시헌을 입계해서 대를 이었다.
이덕휘는 그의 부친 이현박해남 윤씨와 결혼하였기에 정약용의 외가와는 멀지 않은 친척이었다. 정약용은 제자 의선, 윤동과 함께 1806년에 이어 1812년 월출산 등정을 시도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백운동 별서정원을 찾게 되었는데, 그 인연으로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았고, 이후 정약용의 후원자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당시 10세 소년이었던 아들 이시헌다산초당으로 보내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된다.
현재 정약용이덕휘에게 보낸 편지 세 통이 남아 있다.


그는 다산의 백운동 방문을 계기로 당시 강진에 귀양와 있던 다산 문하에 막내 제자로 합류했다. 이후 다산이 유배에서 풀려나 상경한 뒤에도 편지를 주고받으며 교류를 이어갔다. 또 그는 후에 근재 성근묵의 문인이 되어 중앙 학계와도 소통의 채널이 열려 있던 인물이다.


이시헌의 문집 <자이집>에는 백운동의 14경을 노래한 시를 비롯해 이곳에서의 일상이 오롯하게 기록됨


이시헌은 1830년 스승 다산에게 떡차를 만들어 보냈고, 이후 27년이 지난 1857년까지도 여전히 차를 만들어 다산의 아들에게 차를 보냈음 이는 1857년 11월 22일 정학연이 쓴 <백운산관에 보내는 정햑연의 답장>에서 확인가능


다산 해배 후 다산의 부탁으로 백운동 운당원 대숲에서 자생하는 찻잎을 채취해 삼증삼쇄 떡차를 만들기 시작. 이후 향명 또는 작설차의 이름을 걸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백운동 차는 지속적으로 생산되었다.

현재 백운동 별서 인근에는 광범위하게 태평양 설로갇원이 조성되어 있어 주요한 차 생산지의 한 곳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전의 차 재배와 차 생산의 전통이 기업과 만나 발전적 형태로 자리잡은 것이다.


시각자료

사진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약용 이시헌 A는 B의 스승이다
이시헌 이덕휘 A는 B의 아들이다
이시헌 정학연 A는 B와 교유하였다
이시헌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의 주인이다
이시헌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시헌 백운세수첩 A는 B를 저술하였다
이시헌 자이집 A는 B를 저술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12년 이시헌이 백운동도를 그렸다
1812년 이시헌이 다산도를 그렸다
1828년 이시헌이 다신전을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7419353 126.6975985 백운동 별서정원은 이시헌과 관련이 있다
34.7406953 126.7047464 설록다원강진은 이시헌과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의순",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다도", 『차생활문화대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초의선사", 『차생활문화대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주석

  1. 김태식,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
  2. 기사에는 이덕휘에게 보낸 편지라고 잘못 나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