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인물정보2 | ||
+ | |이미지 = 민족기록화 인물 정약용 01.jpg | ||
+ | |사진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630023 다산 정약용, 173년만에 초상화로 환생]", 뉴시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뉴스』<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
+ | |대표명 = 정약용 | ||
+ | |한자명 = 丁若鏞 | ||
+ | |이칭 = 자 귀농(歸農), 미용(美庸)/ 호 사암(俟菴), 탁옹(籜翁), 태수(苔叟), 자하도인(紫霞道人), 철마산인(鐵馬山人), 다산(茶山)/ 당호 일지암(一枝庵)/ 시호 문도(文度) | ||
+ | |본관 = 나주(羅州) | ||
+ | |생몰년 = 1762년~1836년 | ||
+ | |출생지 = 경기도 양근 | ||
+ | |사망지 = | ||
+ | |시대 = 조선 | ||
+ | |국적 = | ||
+ | |성격 = 학자 | ||
+ | |대표저서 =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 여유당전서 | ||
+ | |대표직함 = 병조참지(兵曹參知), 부호군(副護軍), 형조참의(刑曹參議) | ||
+ | |상훈 = | ||
+ | |관련사업기관 = | ||
+ | |유형 = 인물 | ||
+ | |필드수= 13 | ||
+ | }} | ||
+ | ==정의== | ||
+ | |||
+ | ==내용== | ||
+ | |||
+ | ==시각자료== | ||
+ | ===사진=== | ||
+ | ===영상=== | ||
+ | |||
+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정약용]]||[[의순]]||A는 B의 스승이다 || | ||
+ | |- | ||
+ | | [[의순]] || [[백운동도]] || A는 B를 그렸다 || | ||
+ | |- | ||
+ | | [[의순]] || [[다산도]] || A는 B를 그렸다 || | ||
+ | |- | ||
+ | | [[의순]] || [[다신전]] || A는 B를 저술하였다 ||1828년 | ||
+ | |- | ||
+ | | [[의순]] || [[동다송]]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 | |- | ||
+ | | [[의순]] || [[다선삼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 |[[의순]] ||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828년 || {{PAGENAME}}이 [[다신전]]을 저술하였다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4.7406953 ||126.7047464|| [[설록다원강진]]은 {{PAGENAME}}과 관련이 있다 | ||
+ | |} | ||
+ | |||
+ | ==참고문헌==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76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4273&cid=42752&categoryId=42754 다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차생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6193&cid=42752&categoryId=42754 초의선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차생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
+ |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조선]][[분류:승려]] | ||
+ | |||
+ | |||
+ | |||
[[정약용]]은 [[의선|초의]]에게 유학(儒學)과 시문(詩文)뿐 아니라, 제다법을 가르쳤고, [[백운동도|「백운동도」]]와 [[다산도|「다산도」]]를 그리게 한 뒤 자신의 친필 시를 합첩한 [[백운첩|『백운첩(白雲帖)』]]을 남겼다.<ref>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f> | [[정약용]]은 [[의선|초의]]에게 유학(儒學)과 시문(詩文)뿐 아니라, 제다법을 가르쳤고, [[백운동도|「백운동도」]]와 [[다산도|「다산도」]]를 그리게 한 뒤 자신의 친필 시를 합첩한 [[백운첩|『백운첩(白雲帖)』]]을 남겼다.<ref>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f> | ||
2017년 4월 23일 (일) 12:10 판
정의
내용
시각자료
사진
영상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약용 | 의순 | A는 B의 스승이다 | |
의순 | 백운동도 | A는 B를 그렸다 | |
의순 | 다산도 | A는 B를 그렸다 | |
의순 | 다신전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828년 |
의순 | 동다송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의순 | 다선삼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의순 | 설록다원강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28년 | 정약용이 다신전을 저술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4.7406953 | 126.7047464 | 설록다원강진은 정약용과 관련이 있다 |
참고문헌
-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의순",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다도",
『차생활문화대전』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초의선사",
『차생활문화대전』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주석
정약용은 초의에게 유학(儒學)과 시문(詩文)뿐 아니라, 제다법을 가르쳤고, 「백운동도」와 「다산도」를 그리게 한 뒤 자신의 친필 시를 합첩한 『백운첩(白雲帖)』을 남겼다.[1]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약용 | 의순 | A는 B의 스승이다 | |
정약용 | 백운첩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