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오승윤-구미전자공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
 
}}
 
=='''개요'''==
 
=='''개요'''==
구미전자공업의 작업 광경<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41쪽.</ref>(경북`선산)
+
[[구미국가산업단지]]는 [[구미시|경상북도 구미시]] 일대에 있는 공업단지 1968년 8월 구미 지역을 지방공업개발 장려지구로 지정함에 따라 형성되었다.<br/>
 +
1969년 3월에 착수하여 1973년 12월에 준공된 [[구미1공단]]은 섬유단지로 출발한 일반단지와 전자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지 면적은 1,022만 3,000㎡ 에 달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766 구미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0월 28일.</ref><br/>
 +
해당 작품은 [[구미국가산업단지]] 중 [[구미1공단]]에서 이루어진 전자공업의 작업 광경을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
작품의 소재는 [[구미국가산업단지]] 중 [[구미1공단]] 이루어진 전자공업 작업 광경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작품의 제작시기(1975년)가 [[구미1공단]]의 준공 시기(1973년 12월)와 가깝고, 컴퓨터와 반도체단지인 [[구미2공단]]은 1977년 7월에 착공하여 1983년 2월에 완공되었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구미1공단]]을 다루었을 것이라 판단되기 때문이다.<br/>
===작품 배경===
+
1960년대 후반 전자산업을 주축으로 한 전문단지 개발과 함께 당시 국가주력산업이던 대구 지역의 섬유산업과 연계된 수출전략산업 육성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핵심과제로 두드러지면서 이들 산업을 위한 공단 조성은 필연적이었다. 이에 따라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 풍부한 인적자원과 낙동강으로부터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측면에서 구미 지역은 최적지의 공단 지역으로 선정되었다.<br/>
 +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의 시발이라 할 수 있는 [[구미1공단]]은 섬유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단지와 전자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단지로 조성되었다.<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구미1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9일.</ref>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62번째 줄: 65번째 줄:
 
|[[오승우]]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오승우]]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PAGENAME}}  ||[[소양강댐]]||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PAGENAME}}  ||[[구미1공단]]||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PAGENAME}}  ||[[소양호]]||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구미1공단]] ||[[구미시]]|| A는 B에 위치한다 ||  
 
|-
 
|-
|{{PAGENAME}} ||[[소양강]]||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 [[구미국가산업단지]] ||[[구미1공단]]|| A는 B를 포함한다 ||
 
|-
 
|-
 
|}
 
|}
81번째 줄: 84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7.975795 || 127.819478|| {{PAGENAME}}은 [[소양강댐]]을 소재로 한다 @
+
|36.1179973 || 128.3637253|| [[구미1공단]]은 [[구미시]]에 위치한다
 +
|-
 
|}
 
|}
  
 
=='''참고문헌'''==
 
=='''참고문헌'''==
* "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6일 확인)
 
  
 
=='''주석'''==
 
=='''주석'''==

2017년 4월 19일 (수) 16:58 판


구미전자공업
오승윤-구미전자공업-1975s.jpg
작가 오승윤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개요

구미국가산업단지경상북도 구미시 일대에 있는 공업단지 1968년 8월 구미 지역을 지방공업개발 장려지구로 지정함에 따라 형성되었다.
1969년 3월에 착수하여 1973년 12월에 준공된 구미1공단은 섬유단지로 출발한 일반단지와 전자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지 면적은 1,022만 3,000㎡ 에 달한다.[1]
해당 작품은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1공단에서 이루어진 전자공업의 작업 광경을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의 소재는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1공단 이루어진 전자공업 작업 광경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작품의 제작시기(1975년)가 구미1공단의 준공 시기(1973년 12월)와 가깝고, 컴퓨터와 반도체단지인 구미2공단은 1977년 7월에 착공하여 1983년 2월에 완공되었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구미1공단을 다루었을 것이라 판단되기 때문이다.
1960년대 후반 전자산업을 주축으로 한 전문단지 개발과 함께 당시 국가주력산업이던 대구 지역의 섬유산업과 연계된 수출전략산업 육성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핵심과제로 두드러지면서 이들 산업을 위한 공단 조성은 필연적이었다. 이에 따라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 풍부한 인적자원과 낙동강으로부터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측면에서 구미 지역은 최적지의 공단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의 시발이라 할 수 있는 구미1공단은 섬유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단지와 전자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단지로 조성되었다.[2]

시각적 안내

소양강댐소양호오승윤 「구미전자공업」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승우 오승윤-구미전자공업 A는 B를 그렸다 1975년
오승윤-구미전자공업 구미1공단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구미1공단 구미시 A는 B에 위치한다
구미국가산업단지 구미1공단 A는 B를 포함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오승우가 오승윤-구미전자공업을 그렸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1179973 128.3637253 구미1공단구미시에 위치한다

참고문헌

주석

  1. "구미국가산업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0월 28일.
  2. "구미1공단",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9일.
  3. "'특등급' 소양강댐 내진설계기준 청평댐보다 낮아", 『연합뉴스』, 작성일: 2011년 03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