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각순-산업선전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전기철도|전철]]은 수송목적에 따라 시가지전철, 도시전철, 교외전철, 도시간전철, 간선전철, 산업선전철 등으로 구분되는데, 해당 작품은 산업선전철 중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을 대량 수송하는 [[영동선 전철]]을 담고있다.<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47쪽.</ref> | [[전기철도|전철]]은 수송목적에 따라 시가지전철, 도시전철, 교외전철, 도시간전철, 간선전철, 산업선전철 등으로 구분되는데, 해당 작품은 산업선전철 중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을 대량 수송하는 [[영동선 전철]]을 담고있다.<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47쪽.</ref> | ||
− | [[ | + | [[영동선 전철]]은 강원 태백산지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수송하면서 지역개발은 물론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도 시멘트와 석탄 등의 지하자원을 전국으로 운반하면서 운송 분야에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312 전기철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ref>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 | 산업선 전철화 공사는 1969년 9월 12일에 [[중앙선]](청량리∼제천, 155.2㎞)을 시작으로, [[태백선]](제천∼정선, 107.9㎞), [[영동선]](철암∼북평, 85.5㎞) 등 모두 320km에 전철화 공사를 시작하였고, 5백 2억원을 투입, 6년 3개월만에 완성되었다. 1975년 12월 5일 전철화 공사가 완료된 [[영동선]]은 72년 12월 6일 착공, 3년간 연인원 54만명과 내자 24억원, 외자 8백만달러 등 총 62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br/> | |
− | 산업선 전철화 공사는 1969년 9월 12일에 | + | 이로써 산업선전철은 전국 철도 화물 수송량의 40퍼센트를 감당하게 됐으며 5,300 마력의 전기기관차를 움직여 전철 구간은 일반 철도의 복선구간과 거의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됐고,<ref>김봉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2050020920701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12-05&officeId=00020&pageNo=7&printNo=16670&publishType=00020 영동선, 전철로 완전개통]", 『동아일보』, 1975년 12월 05일.</ref> 국토의 간선망을 형성하는 [[경부선]]을 포함하여 [[호남선]], [[충북선]], [[중앙선]], [[영동선]] 등에서 전기철도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이로써 전국 대부분 지역을 전기철도가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게 되었고, 철도의 열차운용효율 및 수송능력은 크게 개선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312 전기철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ref><br/> |
− | 이로써 산업선전철은 전국 철도 화물 수송량의 40퍼센트를 감당하게 됐으며 5,300 마력의 전기기관차를 움직여 전철 구간은 일반 철도의 복선구간과 거의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됐고,<ref>김봉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2050020920701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12-05&officeId=00020&pageNo=7&printNo=16670&publishType=00020 영동선, 전철로 완전개통]", 『동아일보』, 1975년 12월 05일.</ref> 국토의 간선망을 형성하는 [[경부선]]을 포함하여 [[호남선]], [[충북선]], [[중앙선]], [[영동선]] 등에서 전기철도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이로써 전국 대부분 지역을 전기철도가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게 되었고, 철도의 열차운용효율 및 수송능력은 크게 개선되었다. | + | 작품 소재는 [[영동선 전철]]로, [[청량리]]에서 [[북평]]까지의 철도는 심한 경사도와 곡선 및 1백3개나 되는 터널 등 산악지대를 관통하는 나쁜 조건인데다 화물수송량은 전국철도의 40%를 차지하는 반면, 영동 지방에서 생산되는 무연탄, 시멘트, 광석 등 산업물자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전철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었다. 1975년 12월 5일 [[영동선]]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전기철도|전철]] 운행이 하루 10회 늘어나게 되었고, 연간 8백 65만t이 늘어난 2천 5 백72만t을 수송할 수 있게 되었다.<ref>"[http://news.joins.com/article/1423968 영동선 전철 개통]", 『중앙일보』, 1975년 12월 05일.</ref> |
− | + | ||
− | |||
− |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312 전기철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통령께서는 이 날 산업선 전철 준공기념비를 제막했읍니다. | ─ 대통령께서는 이 날 산업선 전철 준공기념비를 제막했읍니다. | ||
− | |||
− | |||
− | |||
=='''시각적 안내'''== | =='''시각적 안내'''== |
2017년 4월 18일 (화) 14:39 판
지하철 | |
작가 | 박각순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건설/교통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개요
전철은 수송목적에 따라 시가지전철, 도시전철, 교외전철, 도시간전철, 간선전철, 산업선전철 등으로 구분되는데, 해당 작품은 산업선전철 중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을 대량 수송하는 영동선 전철을 담고있다.[1] 영동선 전철은 강원 태백산지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수송하면서 지역개발은 물론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도 시멘트와 석탄 등의 지하자원을 전국으로 운반하면서 운송 분야에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
설명
작품 소재
산업선 전철화 공사는 1969년 9월 12일에 중앙선(청량리∼제천, 155.2㎞)을 시작으로, 태백선(제천∼정선, 107.9㎞), 영동선(철암∼북평, 85.5㎞) 등 모두 320km에 전철화 공사를 시작하였고, 5백 2억원을 투입, 6년 3개월만에 완성되었다. 1975년 12월 5일 전철화 공사가 완료된 영동선은 72년 12월 6일 착공, 3년간 연인원 54만명과 내자 24억원, 외자 8백만달러 등 총 62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
이로써 산업선전철은 전국 철도 화물 수송량의 40퍼센트를 감당하게 됐으며 5,300 마력의 전기기관차를 움직여 전철 구간은 일반 철도의 복선구간과 거의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됐고,[3] 국토의 간선망을 형성하는 경부선을 포함하여 호남선, 충북선, 중앙선, 영동선 등에서 전기철도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이로써 전국 대부분 지역을 전기철도가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게 되었고, 철도의 열차운용효율 및 수송능력은 크게 개선되었다.[4]
작품 소재는 영동선 전철로, 청량리에서 북평까지의 철도는 심한 경사도와 곡선 및 1백3개나 되는 터널 등 산악지대를 관통하는 나쁜 조건인데다 화물수송량은 전국철도의 40%를 차지하는 반면, 영동 지방에서 생산되는 무연탄, 시멘트, 광석 등 산업물자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전철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었다. 1975년 12월 5일 영동선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전철 운행이 하루 10회 늘어나게 되었고, 연간 8백 65만t이 늘어난 2천 5 백72만t을 수송할 수 있게 되었다.[5]
─ 대통령께서는 이 날 산업선 전철 준공기념비를 제막했읍니다.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각순 | 박각순-산업선전철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박각순-산업선전철 | 영동산업선전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국회사무처 | 박각순-산업선전철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전기철도 | 영동선전철 | A는 B를 포함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박각순이 박각순-산업선전철를 그렸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박각순-산업선전철를 대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32103 | 126.914133 | 국회사무처가 박각순-산업선전철을 대여하였다 |
37.463812 | 126.625059 | 인천항도크가 인천항에 위치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