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각순-산업선전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전기철도|전철]]은 수송목적에 따라 시가지전철, 도시전철, 교외전철, 도시간전철, 간선전철, 산업선전철 등으로 구분되는데, 해당 작품은 산업선전철 중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을 대량 수송하는 [[영동선 전철]]을 담고있다.<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47쪽.</ref> | [[전기철도|전철]]은 수송목적에 따라 시가지전철, 도시전철, 교외전철, 도시간전철, 간선전철, 산업선전철 등으로 구분되는데, 해당 작품은 산업선전철 중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을 대량 수송하는 [[영동선 전철]]을 담고있다.<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47쪽.</ref> | ||
+ | [[청량리]]에서 [[북평]]까지의 철도는 심한 경사도와 곡선 및 1백3개나 되는 터널 등 산악지대를 관통하는 나쁜 조건인데다 화물수송량은 전국철도의 40%를 차지하는 반면 이 지방에서 생산되는 무연탄·「시멘트·광석등 산업물자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전철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었다. 따라서 전철은 이 구간의 운행을 하루 10회 늘려 연간 8백65만t이 늘어난 2천5백72만t을 수송할 수 있게 됐다. | ||
+ | =='''설명'''== | ||
+ | ===작품 소재=== | ||
+ | 작품 소재는 영동산업선전철 | ||
+ | 산업선 전철화 공사는 1969년 9월 12일에 산업철도인 [[중앙선]](청량리∼제천) 155.2㎞, [[태백선]](제천∼정선) 107.9㎞, [[영동선]](철암∼북평) 85.5㎞를 비롯하여 [[고한선]](고한∼황지) 15.0㎞ 등 모두 363.6㎞에 전철화 공사를 시작하였고, 모두 5백 2억원을 투입, 6년 3개월만에 완성되었다. 1975년 12월 5일 개통된 [[영동선]]은 72년 12월 6일 착공, 3년간 연인원 54만명과 내자 24억원, 외자 8백만달러 등 총 62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br/> | ||
+ | 이로써 산업선전철은 전국 철도 화물 수송량의 40퍼센트를 감당하게 됐으며 5,300 마력의 전기기관차를 움직여 전철 구간은 일반 철도의 복선구간과 거의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됐고,<ref>김봉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2050020920701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12-05&officeId=00020&pageNo=7&printNo=16670&publishType=00020 영동선, 전철로 완전개통]", 『동아일보』, 1975년 12월 05일.</ref> 국토의 간선망을 형성하는 [[경부선]]을 포함하여 [[호남선]], [[충북선]], [[중앙선]], [[영동선]] 등에서 전기철도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이로써 전국 대부분 지역을 전기철도가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게 되었고, 철도의 열차운용효율 및 수송능력은 크게 개선되었다.<br/> | ||
− | + | 초기에 개통한 전기철도는 강원 태백산지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수송하면서 지역개발은 물론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도 시멘트와 석탄 등의 지하자원을 전국으로 운반하면서 운송 분야에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근래 들어 전기철도를 이용한 지하자원의 이동은 다소 감소하였지만, 여객수송량을 확대시키면서 대도시에서의 도로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주요 관광지를 연결시킴으로써 레저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민들의 여가활동에도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 | |
− | + |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312 전기철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는 동해안 북평역입니다. 우리나라 산업선을 완전히 전철화하는 영동선 전철이 이곳에서 개통됐읍니다. | 여기는 동해안 북평역입니다. 우리나라 산업선을 완전히 전철화하는 영동선 전철이 이곳에서 개통됐읍니다. | ||
─ 대통령께서는 이 날 산업선 전철 준공기념비를 제막했읍니다. | ─ 대통령께서는 이 날 산업선 전철 준공기념비를 제막했읍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2017년 4월 18일 (화) 14:28 판
지하철 | |
작가 | 박각순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건설/교통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개요
전철은 수송목적에 따라 시가지전철, 도시전철, 교외전철, 도시간전철, 간선전철, 산업선전철 등으로 구분되는데, 해당 작품은 산업선전철 중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을 대량 수송하는 영동선 전철을 담고있다.[1] 청량리에서 북평까지의 철도는 심한 경사도와 곡선 및 1백3개나 되는 터널 등 산악지대를 관통하는 나쁜 조건인데다 화물수송량은 전국철도의 40%를 차지하는 반면 이 지방에서 생산되는 무연탄·「시멘트·광석등 산업물자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전철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었다. 따라서 전철은 이 구간의 운행을 하루 10회 늘려 연간 8백65만t이 늘어난 2천5백72만t을 수송할 수 있게 됐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는 영동산업선전철
산업선 전철화 공사는 1969년 9월 12일에 산업철도인 중앙선(청량리∼제천) 155.2㎞, 태백선(제천∼정선) 107.9㎞, 영동선(철암∼북평) 85.5㎞를 비롯하여 고한선(고한∼황지) 15.0㎞ 등 모두 363.6㎞에 전철화 공사를 시작하였고, 모두 5백 2억원을 투입, 6년 3개월만에 완성되었다. 1975년 12월 5일 개통된 영동선은 72년 12월 6일 착공, 3년간 연인원 54만명과 내자 24억원, 외자 8백만달러 등 총 62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
이로써 산업선전철은 전국 철도 화물 수송량의 40퍼센트를 감당하게 됐으며 5,300 마력의 전기기관차를 움직여 전철 구간은 일반 철도의 복선구간과 거의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됐고,[2] 국토의 간선망을 형성하는 경부선을 포함하여 호남선, 충북선, 중앙선, 영동선 등에서 전기철도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이로써 전국 대부분 지역을 전기철도가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게 되었고, 철도의 열차운용효율 및 수송능력은 크게 개선되었다.
초기에 개통한 전기철도는 강원 태백산지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수송하면서 지역개발은 물론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도 시멘트와 석탄 등의 지하자원을 전국으로 운반하면서 운송 분야에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근래 들어 전기철도를 이용한 지하자원의 이동은 다소 감소하였지만, 여객수송량을 확대시키면서 대도시에서의 도로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주요 관광지를 연결시킴으로써 레저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민들의 여가활동에도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 [3]
여기는 동해안 북평역입니다. 우리나라 산업선을 완전히 전철화하는 영동선 전철이 이곳에서 개통됐읍니다. ─ 대통령께서는 이 날 산업선 전철 준공기념비를 제막했읍니다.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각순 | 박각순-산업선전철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박각순-산업선전철 | 영동산업선전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국회사무처 | 박각순-산업선전철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전기철도 | 영동선전철 | A는 B를 포함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박각순이 박각순-산업선전철를 그렸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박각순-산업선전철를 대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32103 | 126.914133 | 국회사무처가 박각순-산업선전철을 대여하였다 |
37.463812 | 126.625059 | 인천항도크가 인천항에 위치한다 @ |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47쪽.
- ↑ 김봉선, "영동선, 전철로 완전개통", 『동아일보』, 1975년 12월 05일.
- ↑ "전기철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