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인천항도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시각적 안내) |
(→관련항목) |
||
61번째 줄: | 61번째 줄: | ||
|- | |- | ||
|{{PAGENAME}} ||[[인천항]]||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PAGENAME}} ||[[인천항]]||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 | |- | ||
+ | | [[인천시민회관]]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4월 9일-1992년 4월 8일 | ||
|- | |- | ||
|[[인천항도크]] || [[인천항 제1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 |[[인천항도크]] || [[인천항 제1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
2017년 4월 18일 (화) 02:21 판
정창섭-인천항도크 | |
작가 | 정창섭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건설/교통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개요
인천항은 조석간만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갑문식 도크를 설치하였는데,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을 갑문이라 한다.[1]
인천항 제1도크는 일제시대인 1911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18년 10월에 완성되었고, 인천항 제2도크는 1974년 완공되어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
갑문식 도크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인(세계 5위) 인천항 도크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져 있는데, 해당 작품은 인천항 내항에 입항하기 위해 인천항 제2도크에 접안한 웅장한 선박을 담고 있다.[2]
설명
작품 소재
작품의 소재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진 인천항 도크 중 인천항 제2도크로, 작품 왼편에 인천항 제2도크를 통해 인천항에 입항하고 있는 대형 선박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대형 선박 앞에 예인선이 그려져 있는데, 해당 선박은 예인선의 도움을 받아 수위 조절이 끝나고 열린 내항쪽 갑문을 통해 내항으로 진입하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인천항이다.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창섭 | 정창섭-인천항도크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정창섭-인천항도크 | 인천항도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인천항 제2도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인천항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인천시민회관 | 정창섭-인천항도크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4월 9일-1992년 4월 8일 |
인천항도크 | 인천항 제1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
인천항도크 | 인천항 제2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
인천항도크 | 인천항 | A는 B에 위치한다 | |
인천항도크 | 갑문식 도크 | A는 B이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정창섭이 정창섭-인천항도크를 제작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63812 | 126.625059 | 인천항도크가 인천항에 위치한다 |
그래프
참고문헌
- "인천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