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인천항도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그 뒤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8,000톤급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항 제2도크]] 건설을 1935년에 착공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br/> | 그 뒤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8,000톤급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항 제2도크]] 건설을 1935년에 착공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br/> | ||
종전 후 1974년, [[인천항 제2도크]]가 완공되면서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br/> | 종전 후 1974년, [[인천항 제2도크]]가 완공되면서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br/> | ||
− | 작품 왼편에 그려진 대형 선박은 외항에서 내항으로 입항하기 위해 갑문에 접안해 있다. 대형 선박 뒤에는 예인선이 그려져 있다. 수위조절을 위해 외항쪽 수문을 열어 도크 안의 물을 빼고, 수위 조절이 끝나면 외항쪽 갑문을 열고 도크 안으로 선박이 | + | 작품 왼편에 그려진 대형 선박은 외항에서 내항으로 입항하기 위해 갑문에 접안해 있다. 대형 선박 뒤에는 예인선이 그려져 있다. 수위조절을 위해 외항쪽 수문을 열어 도크 안의 물을 빼고, 수위 조절이 끝나면 외항쪽 갑문을 열고 도크 안으로 선박이 진입하고 있다. |
2017년 4월 18일 (화) 01:33 판
정창섭-인천항도크 | |
작가 | 정창섭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건설/교통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개요
갑문식 도크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인(세계 5위) 인천항 도크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져 있는데, 해당 작품은 인천항 내항에 입항하기 위해 인천항 제2도크에 접안한 웅장한 선박을 담고 있다.[1]
설명
작품 소재
작품의 소재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진 인천항 도크 중 인천항 제2도크이다.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조물을 갑문이라 한다.[2]
인천항은 조석간만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갑문식 도크를 설치하였는데, 인천항 제1도크는 일제시대인 1911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18년 10월에 완성되었다. 동양에서 보기 드문 갑문식 도크로, 4,500톤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게 되었고, 연간 하역 능력이 130만톤에 달하게 되었다.[3]
그 뒤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8,000톤급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항 제2도크 건설을 1935년에 착공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종전 후 1974년, 인천항 제2도크가 완공되면서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대형 선박은 외항에서 내항으로 입항하기 위해 갑문에 접안해 있다. 대형 선박 뒤에는 예인선이 그려져 있다. 수위조절을 위해 외항쪽 수문을 열어 도크 안의 물을 빼고, 수위 조절이 끝나면 외항쪽 갑문을 열고 도크 안으로 선박이 진입하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인천항이다.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에 의해 그려지다 | 정창섭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제작연도 | 1975년 |
총무처 | 소장처 | 1979년 |
인천시민회관 | 소장처 (임대) | 1991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소장처 | 인천항 | 37.463812 | 126.625059 |
그래프
참고문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199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