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인천항도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사진= 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작품명= 정창섭-인천항도크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5...)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작가= [[정창섭]] | |작가= [[정창섭]] | ||
|제작연도= 1975년 | |제작연도= 1975년 | ||
− | |규격= 300호( | + | |규격= 300호(197x290.9cm) |
− | |유형= | + | |유형= 건설/교통 |
|분류= 유화 | |분류= 유화 | ||
|소장처= 미상 | |소장처= 미상 | ||
|필드수=7 | |필드수=7 | ||
}} | }} | ||
+ | =='''개요'''== | ||
+ | 수문을 중심으로 제2도크에 접안한 웅장한 선박.<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1992년, 51쪽</ref> | ||
+ | |||
+ | 2009년 현재 주요 항만 시설로 인천항 갑문은 최대 5만톤급 선박이 입출거할 수 있으며, [[갑문식 도크]]로는 동양 최대규모이다. 선박이 인천항 선거내를 드나들 수 있는 통로는 5만톤급 선박이 통과할 수 있는 갑거와 1만톤급 선박이 통행할 수 있는 2기의 갑거로 구성되어 있다. 안벽은 1만 3,046m, 방파제 2,233m, 물양장 2,059m, 잔교 22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박접안능력은 89척에 달하며 10만톤급 2척, 8만톤급 3척, 6만톤급 2척, 5만톤급 22척, 1만∼5만톤급 33척, 1만톤급 미만이 27척이다. | ||
+ | [네이버 지식백과] 인천항 [仁川港]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인천항의 제 1도크는 일제시대인 1918년 10월 완성돼 연간 130만 톤의 화물을 하역했다. | ||
+ | 1974 | ||
+ |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 ||
+ | |||
+ |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됨 | ||
=='''설명'''== | =='''설명'''== | ||
− | + | ===작품 소재=== | |
+ | |||
+ | ===작품 배경=== | ||
+ | 인천항 | ||
+ | |||
+ | ===작품 구도=== | ||
+ | |||
+ | |||
+ | |||
=='''시각적 안내'''== | =='''시각적 안내'''== | ||
− | |||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건설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건설/교통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
− | |||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
36번째 줄: | 51번째 줄: | ||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 ||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 ||
− |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 | + |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복원)]] |
</gallery> | </gallery> | ||
+ | <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2017년 4월 17일 (월) 23:15 판
정창섭-인천항도크 | |
작가 | 정창섭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건설/교통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목차
개요
수문을 중심으로 제2도크에 접안한 웅장한 선박.[1]
2009년 현재 주요 항만 시설로 인천항 갑문은 최대 5만톤급 선박이 입출거할 수 있으며, 갑문식 도크로는 동양 최대규모이다. 선박이 인천항 선거내를 드나들 수 있는 통로는 5만톤급 선박이 통과할 수 있는 갑거와 1만톤급 선박이 통행할 수 있는 2기의 갑거로 구성되어 있다. 안벽은 1만 3,046m, 방파제 2,233m, 물양장 2,059m, 잔교 22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박접안능력은 89척에 달하며 10만톤급 2척, 8만톤급 3척, 6만톤급 2척, 5만톤급 22척, 1만∼5만톤급 33척, 1만톤급 미만이 27척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천항 [仁川港]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천항의 제 1도크는 일제시대인 1918년 10월 완성돼 연간 130만 톤의 화물을 하역했다. 1974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됨
설명
작품 소재
작품 배경
인천항
작품 구도
시각적 안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에 의해 그려지다 | 정창섭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제작연도 | 1975년 |
총무처 | 소장처 | 1979년 |
인천시민회관 | 소장처 (임대) | 1991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소장처 | 인천항 | 37.463812 | 126.625059 |
그래프
참고문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1992년
주석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1992년, 5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