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색 인문보 발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작자= 미상
 
|작자= 미상
 
|작성시기=  
 
|작성시기=  
|간행시기= 1882년(고종19)
+
|간행시기= 1882년
 
|간행처=
 
|간행처=
 
|기탁처=
 
|기탁처=
21번째 줄: 21번째 줄:
 
</noinclude>
 
</noinclude>
  
==개요==
+
==정의==
 
1882년은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가례를 위해 장만한 보자기 발기이다.
 
1882년은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가례를 위해 장만한 보자기 발기이다.
 
  
 
==내용==
 
==내용==
32번째 줄: 31번째 줄:
 
본 발기에 기록된 보자기의 수는 모두 65죽, 즉 650개이다. 보자기의 수만큼 거기에 담을 것도 많았을 것이므로 보자기의 수량을 통해 혼례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07쪽.</REF>
 
본 발기에 기록된 보자기의 수는 모두 65죽, 즉 650개이다. 보자기의 수만큼 거기에 담을 것도 많았을 것이므로 보자기의 수량을 통해 혼례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07쪽.</REF>
  
 
+
==관련 항목==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
|{{PAGENAME}} ||인물||순종
+
|{{PAGENAME}} || [[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 ||물품||추후의류연결필요
+
|[[가례]] || {{PAGENAME}} || A는 B에 언급된다 ||  
 
|-
 
|-
|{{PAGENAME}} ||개념||가례
+
|[[간택단자 | 순종 간택단자]] || {{PAGENAME}}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추후의류연결필요]] || {{PAGENAME}}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PAGENAME}}||간행년||1882년
 
 
|-
 
|-
|{{PAGENAME}}||간행년||고종19년
+
|1882년 || 순종의 가례를 위해 {{PAGENAME}} 저술되었다.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37.39197||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PAHENAME}}가 소장되어 있다.
 
|}
 
|}
  

2017년 4월 15일 (토) 16:22 판

각색 인문보 발기
영문명칭 A list of wrapping cloths for the wedding of Sunjong
작자 미상
간행시기 1882년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1210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25.5×139.2cm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정의

1882년은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가례를 위해 장만한 보자기 발기이다.

내용

1882년은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가례를 위해 장만한 보자기 발기이다. 본 발기의 배면에는 <임오 가례시 각색(*고한글)닌문보발(*고한글)긔>라는 제목이 있어 그 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보자기에 그림이 그려져 있어 이를 인문보라고 한다. 보자기의 소재는 서양목, 세목, 저포가 주종을 이루며, 색은 분홍색, 갈매(*고한글)색, 청색, 아청색 등이 있다. 크기는 용도에 따라 두 폭을 이어붙인 것에서부터 두 폭 반, 세 폭, 세 폭 반, 네 폭, 다섯 폭, 여섯 폭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인문으로는 연주문을 비롯하여 봉황, 원수문, 금정, 방승, 법라, 보산, 서각, 서보, 선보, 옥환, 파초선, 호로 등의 보문과 모란문, 귤, 복숭아, 불수감, 석류 등의 과실문이 두루 보인다. 한편, 발기에는 보자기와 함께 매개끈를 같이 기록 했는데, 매개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도 크기에 따라 2전에서 1냥 9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기록 하였다. 매개는 보통 보자기의 세 모서리에 달기도 하며, 한쪽에만 달기도 한다. 본 발기에 기록된 보자기의 수는 모두 65죽, 즉 650개이다. 보자기의 수만큼 거기에 담을 것도 많았을 것이므로 보자기의 수량을 통해 혼례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1]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각색 인문보 발기 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가례 각색 인문보 발기 A는 B에 언급된다
순종 간택단자 각색 인문보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추후의류연결필요 각색 인문보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82년 순종의 가례를 위해 각색 인문보 발기 저술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틀:PAHENAME가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0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