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탑비)
(탑비)
27번째 줄: 27번째 줄:
 
전체 높이 2.9m, 비신 높이 1.68m, 너비 1.12m. [[이수|이수(螭首)]]와 대석(臺石)은 화강암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6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전체 높이 2.9m, 비신 높이 1.68m, 너비 1.12m. [[이수|이수(螭首)]]와 대석(臺石)은 화강암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6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언제 입적한 후, 누가 시호와 탑호를 추증하였고 탑비는 언제 탑과 함께 조성되었다.
+
893년(진성왕 7) 5월 수철화상이 입적한 후, 왕이 시호와 탑호를 추증하였고 탑비는 효공왕대(897~912)에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과 함께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 달리 [[귀부|귀부(龜趺)]]가 없고 대신 안상(眼象) 6구를 새긴 장방형의 대석 위에 비를 세웠으며,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복련(覆蓮)을 둘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6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이수|이수]]에는 여의주를 중심으로 다투는 듯 두 마리의 용이 좌우 대칭으로 자리 잡고 그 사이를 운문(雲文)으로 채운 형태가 전후면에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면에는 ⌂형으로 액(額)을 마련 후 '능가보월탑비(楞迦寶月塔碑)' 라는 전액(篆額)을 새겼다.<ref>"[http://portal.nrich.go.kr/kor/stoneUserView.do?menuIdx=738&stone_idx=156 건조물문화재(석조) 정기조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최종확인:2017년 4월 12일.</ref>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 달리 [[귀부|귀부(龜趺)]]가 없고 대신 안상(眼象) 6구를 새긴 장방형의 대석 위에 비를 세웠으며,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복련(覆蓮)을 둘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6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이수|이수]]에는 여의주를 중심으로 다투는 듯 두 마리의 용이 좌우 대칭으로 자리 잡고 그 사이를 운문(雲文)으로 채운 형태가 전후면에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면에는 ⌂형으로 액(額)을 마련 후 '능가보월탑비(楞迦寶月塔碑)' 라는 전액(篆額)을 새겼다.<ref>"[http://portal.nrich.go.kr/kor/stoneUserView.do?menuIdx=738&stone_idx=156 건조물문화재(석조) 정기조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최종확인:2017년 4월 12일.</ref>

2017년 4월 12일 (수) 11:26 판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한자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입석리) 실상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4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승려 수철


정의

전라남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고승 수철(秀澈, 817~893)의 탑비.

탑비

전체 높이 2.9m, 비신 높이 1.68m, 너비 1.12m. 이수(螭首)와 대석(臺石)은 화강암이다.[1]

893년(진성왕 7) 5월 수철화상이 입적한 후, 왕이 시호와 탑호를 추증하였고 탑비는 효공왕대(897~912)에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과 함께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 달리 귀부(龜趺)가 없고 대신 안상(眼象) 6구를 새긴 장방형의 대석 위에 비를 세웠으며,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복련(覆蓮)을 둘렀다.[2] 이수에는 여의주를 중심으로 다투는 듯 두 마리의 용이 좌우 대칭으로 자리 잡고 그 사이를 운문(雲文)으로 채운 형태가 전후면에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면에는 ⌂형으로 액(額)을 마련 후 '능가보월탑비(楞迦寶月塔碑)' 라는 전액(篆額)을 새겼다.[3]

비문

갤러리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참고문헌

주석

  1.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2.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3. "건조물문화재(석조) 정기조사서",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최종확인:2017년 4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