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7번째 줄: 17번째 줄:
 
|수량= 1장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표기문자= 한글
|필드수= 14
+
|해독문=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해독)
 +
|필드수= 15
 
}}
 
}}
 
</noinclude>
 
</noinclude>

2017년 4월 12일 (수) 04:27 판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영문명칭 A list of food and table setting for the coming-ofage celebration of Sunjong
작자 미상
간행시기 1882년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1332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25.5×347.7cm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정의

1882년 1월 20일,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관례 시 상차림을 적은 음식 발기이다.

내용

1882년 1월 20일,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관례 시 상차림을 적은 음식 발기이다. 본 발기에는 관례의 주인공인 왕세자를 비롯하여 양전마마, 자전마마, 왕대비마마, 순화자가, 대감, 본궁마마, 60명의 손님, 공사청, 궁내인의 상에 올린 음식을 수록하고 있다. 양전은 고종중전 민씨의 상이며 자전은 헌종의 어머니인 신정왕후 조씨이다. 왕대비는 효정왕후 홍씨이고, 순화자가는 순화궁 경빈김씨이며, 대감은 흥선대원군 이하응, 본궁은 여흥부대부인 민씨이다. 발기의 내용을 살펴보면, 지위에 따라 차려진 음식의 가짓수를 달리 하고, 잔치의 의미를 반영한 상차림을 엿볼 수 있다. 왕세자의 상에는 모두 19개 그릇에 서른다섯 가지의 음식이 차려졌는데, 특히 성인이 된 것을 축하하는 의미로 음식을 높이 고여 쌓아 올렸다. 이와 달리 양전을 비롯한 왕실어른들 상에는 장수를 기원하는 국수와 함께 청포묵을 올렸다. [1]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인물 순종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인물 고종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인물 중전 민씨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인물 헌종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인물 신정왕후 조씨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인물 효정왕후 홍씨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인물 경빈김씨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인물 흥선대원군 이하응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인물 여흥부대부인 민씨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개념 관례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간행년 1882년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간행년 고종19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