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장리석-홍주성수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관련 민족기록화)
28번째 줄: 28번째 줄: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gallery mode=packed caption="계몽/항일기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계몽/항일 소재 작품"  heights=150px style="float:left"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1894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1898년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1905년 11월 30일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1906년 5월 [[장리석-홍주성수복]]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1906년 [[정창섭-태백산전투]]
 +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1906년 11월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1907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1909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1910년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1915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1919년 3월 1일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1919년 3월 1일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1920년 [[손수광-청산리싸움]]
 +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gallery>
 
</gallery>
  

2017년 4월 10일 (월) 20:36 판


홍주성수복
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
작가 장리석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개요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의병을 일으켜 홍주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퇴각시키고 성을 점령하였던 홍주성전투를 그리고 있는 민족기록화 작품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종식이 1906년 5월 19일 일본군 헌병 부대와 일부 거류민 등에 맞선 홍주성 탈환 전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수성(守城)이 아닌 공성(攻城)의 현장에 걸맞게 성 내부에서 벌어지는 난전(亂戰)의 혼란을 붉은 색조로 적나라하게 묘사하였다. 농민 복장의 의병들이 칼 등의 병장기 뿐 아니라 곡괭이와 같은 농기구를 들고 항거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실제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대는 식 소총과 화승총 등 화기류로 무장한 병력이 500여명, 창검과 활 등을 소지한 병력이 200여명, 나머지는 비무장이었다고 한다.

작품 배경

홍주성은 호서지방의 요충지로 고려 때부터 일본에 많은 침략을 받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작품에 등장하는 성문은 동문인 조양문(朝陽門)으로 추정된다. 일본에 의해 대부분의 성곽이 허물어지고 현재는 810m정도만이 남아 있다.

시각적 안내

진주성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장리석 장리석-홍주성수복 A는 B를 그렸다 1975년
독립기념관 장리석-홍주성수복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장리석-홍주성수복 홍주성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장리석-홍주성수복 홍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민종식 홍주성전투 A는 B를 지휘하였다
민종식 홍주성 A는 B를 공격하였다 1906년 5월 19일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장리석이 장리석-홍주성수복를 제작하였다.
1991년 1월 31일-1992년 1월 30일 독립기념관이 장리석-홍주성수복를 대여하였다.
1906년 5월 19일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군이 홍주성을 공격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61847 127.2242915 장리석-홍주성수복이 독립기념관에 대여되었다.

그래프

참고문헌

  • "홍주성 수성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09일.
  • "홍주성전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9일.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