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리석-홍주성수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개요'''== | =='''개요'''== | ||
− | + |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의병을 일으켜 [[홍주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퇴각시키고 성을 점령하였던 [[홍주성전투]]를 그리고 있는 민족기록화 작품이다. |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민종식]]이 5월 19일 일본군 헌병 부대와 일부 거류민 등에 맞선 [[홍주성전투|홍주성 탈환 전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수성(守城)이 아닌 공성(攻城)의 현장에 걸맞게 성 내부에서 벌어지는 난전(亂戰)의 혼란을 붉은 색조로 적나라하게 묘사하였다. 농민 복장의 의병들이 칼 등의 병장기 뿐 아니라 곡괭이와 같은 농기구를 들고 항거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실제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대는 식 소총과 화승총 등 화기류로 무장한 병력이 500여명, 창검과 활 등을 소지한 병력이 200여명, 나머지는 비무장이었다고 한다. | + | [[민종식]]이 1906년 5월 19일 일본군 헌병 부대와 일부 거류민 등에 맞선 [[홍주성전투|홍주성 탈환 전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수성(守城)이 아닌 공성(攻城)의 현장에 걸맞게 성 내부에서 벌어지는 난전(亂戰)의 혼란을 붉은 색조로 적나라하게 묘사하였다. 농민 복장의 의병들이 칼 등의 병장기 뿐 아니라 곡괭이와 같은 농기구를 들고 항거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실제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대는 식 소총과 화승총 등 화기류로 무장한 병력이 500여명, 창검과 활 등을 소지한 병력이 200여명, 나머지는 비무장이었다고 한다.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홍주성]]은 호서지방의 요충지로 고려 때부터 일본에 많은 침략을 받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작품에 등장하는 성문은 동문인 [[조양문|조양문(朝陽門)]]으로 추정된다. 일본에 의해 대부분의 성곽이 허물어지고 현재는 810m정도만이 남아 있다. | ||
=='''시각적 안내'''== | =='''시각적 안내'''== | ||
50번째 줄: | 51번째 줄: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PAGENAME}} | + | |1975년 || [[장리석]]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 |- | ||
− | | | + | |1991년 1월 31일-1992년 1월 30일 || [[독립기념관]]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 | ||
+ | |1906년 5월 19일 ||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군이 [[홍주성]]을 공격하였다. | ||
|} | |} | ||
64번째 줄: | 66번째 줄: |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 |- | ||
− | |{{PAGENAME}} | + | 36.7861847|| 127.2242915||{{PAGENAME}}가 [[독립기념관]]에 대여되었다. |
|- | |- | ||
|} | |} | ||
=='''그래프'''== | =='''그래프'''==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653&cid=40942&categoryId=32856 홍주성 수성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09일. |
− | *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411&content_id=cp020814110001&search_left_menu= 홍주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9일. |
− | |||
=='''주석'''== | =='''주석'''== |
2017년 4월 9일 (일) 18:57 판
홍주성수복 | |
작가 | 장리석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개요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의병을 일으켜 홍주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퇴각시키고 성을 점령하였던 홍주성전투를 그리고 있는 민족기록화 작품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종식이 1906년 5월 19일 일본군 헌병 부대와 일부 거류민 등에 맞선 홍주성 탈환 전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수성(守城)이 아닌 공성(攻城)의 현장에 걸맞게 성 내부에서 벌어지는 난전(亂戰)의 혼란을 붉은 색조로 적나라하게 묘사하였다. 농민 복장의 의병들이 칼 등의 병장기 뿐 아니라 곡괭이와 같은 농기구를 들고 항거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실제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대는 식 소총과 화승총 등 화기류로 무장한 병력이 500여명, 창검과 활 등을 소지한 병력이 200여명, 나머지는 비무장이었다고 한다.
작품 배경
홍주성은 호서지방의 요충지로 고려 때부터 일본에 많은 침략을 받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작품에 등장하는 성문은 동문인 조양문(朝陽門)으로 추정된다. 일본에 의해 대부분의 성곽이 허물어지고 현재는 810m정도만이 남아 있다.
시각적 안내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장리석 | 장리석-홍주성수복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독립기념관 | 장리석-홍주성수복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장리석-홍주성수복 | 홍주성전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장리석-홍주성수복 | 홍주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민종식 | 홍주성전투 | A는 B를 지휘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장리석이 장리석-홍주성수복를 제작하였다. |
1991년 1월 31일-1992년 1월 30일 | 독립기념관이 장리석-홍주성수복를 대여하였다. |
1906년 5월 19일 |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군이 홍주성을 공격하였다.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그래프
참고문헌
- "홍주성 수성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9일. - "홍주성전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