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소재)
22번째 줄: 22번째 줄:
 
하고 끝까지 싸움을 지휘하였고, 그 휘하의 군사들도 한 사람 물러서지 않고 모두 그와 함께 전사하였다고 한다.<br/>
 
하고 끝까지 싸움을 지휘하였고, 그 휘하의 군사들도 한 사람 물러서지 않고 모두 그와 함께 전사하였다고 한다.<br/>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 그려져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br/>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 그려져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br/>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영규]]로, [[영규]]의 승병은 보이지 않는다.<br/>
+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승병]]을 이끈 [[영규]]로, 작품에서는 [[영규]]의 [[승병]]이 보이지 않는다.<br/>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헌]]과 [[영규]]"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헌]]과 [[영규]]"  heights=150px >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조헌.JPG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조헌.JPG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영규.JPG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영규.JPG   
 
</gallery>
 
</gallery>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금산(錦山)]]으로,  
+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금산(錦山)]]으로, [[금산평야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고 화살이 떨어지고 왜군과 육박전을 벌여야 할 상황이 오자 주변 사람들이 조헌에게 피신하라고 말했으나 조헌은 이를 거절하고 직접 불을 치며 군사에게 독전하다가 결국 전사했고 승병을 이끌던 영규 대사도 전사했다.
 
<br/>
 
<br/>
 
+
금산 연곤평??
 
시간적 배경  실제로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해가 저물어 가는 저녁으로,하늘은 붉게 칠해져 있다.
 
시간적 배경  실제로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해가 저물어 가는 저녁으로,하늘은 붉게 칠해져 있다.
  

2017년 4월 6일 (목) 11:01 판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조선/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개요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당시 조헌(趙憲)과 승장 영규(靈圭)는 전라도로 향하는 왜군을 막기 위해 금산(錦山)으로 향했으나, 전공을 시기하는 관군의 방해로 의병이 대부분 해산되고, 700명의 의병과 800명의 승병으로 2차 금산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의병들과 함께 모두 전사하였다.
해당 작품은 금산에서 왜군과 싸워 장렬히 순국한 조헌(趙憲)과 승장 영규(靈圭)의 전투장면을 그린 기록화로,[1] 2차 금산전투의 장면을 담고 있다.

설명

작품 소재

2차 금산전투가 시작된 지 얼마 안되어 화살이 다하고 날도 저물어 적군이 보이지 않게 되자 조헌 휘하의 군사들의 사기는 떨어지고 적군의 공세는 한층 더 심해졌다고 한다. 조헌은 사태가 기울자 말안장을 풀어버리며,

장부가 국난을 당하여 어찌 구차하게 살기를 바랄 것인가. 이 곳이 내가 죽을 땅이다[2]

하고 끝까지 싸움을 지휘하였고, 그 휘하의 군사들도 한 사람 물러서지 않고 모두 그와 함께 전사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 그려져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승병을 이끈 영규로, 작품에서는 영규승병이 보이지 않는다.

작품 배경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錦山)으로, [[금산평야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고 화살이 떨어지고 왜군과 육박전을 벌여야 할 상황이 오자 주변 사람들이 조헌에게 피신하라고 말했으나 조헌은 이를 거절하고 직접 불을 치며 군사에게 독전하다가 결국 전사했고 승병을 이끌던 영규 대사도 전사했다.
금산 연곤평?? 시간적 배경 실제로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해가 저물어 가는 저녁으로,하늘은 붉게 칠해져 있다.

작품 구도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3]

시각적 안내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관련 민족기록화

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에 의해 그려지다 정창섭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에 소장되어 있다 전쟁기념관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을 배경으로 한다 금산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을 소재로 삼다 조헌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을 소재로 삼다 영규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을 소재로 삼다 금산전투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제작연도 1976년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감사원 대여기간 1991.10.20 ~ 1992.10.19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전쟁기념관 이전 연도 1998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소장처 감사원 37.587238 126.984968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소장처 전쟁기념관 37.5369559 126.9749353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1.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4일 확인)
  2. 편집부,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93쪽.
  3.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