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무정운역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홍무정운역훈_권3-16_05.jpg |대표명칭= 홍무정운역훈 |한자명칭= 洪武正韻譯訓 |로마자명칭= Hongmujeongun yeokhun |영...)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중국의 음운서인 『[[홍무정운]]』을 한글로 번역하고 주석을 붙인 책이다. 『홍무정운』은 중국 한자의 표준음을 기록한 책이다. [[세종]]은 중국의 한자음을 한글로 올바로 표기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홍무정운역훈』을 편찬하였다. 이 책은 1447년(세종 29) 『[[동국정운]]』의 간행 이후, 한자의 중국음을 정확히 표기하기 위해 『홍무정운』의 음을 한글로 나타낼 목적으로 1455년(단종 3) 16권 8책으로 완성되었다. | 중국의 음운서인 『[[홍무정운]]』을 한글로 번역하고 주석을 붙인 책이다. 『홍무정운』은 중국 한자의 표준음을 기록한 책이다. [[세종]]은 중국의 한자음을 한글로 올바로 표기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홍무정운역훈』을 편찬하였다. 이 책은 1447년(세종 29) 『[[동국정운]]』의 간행 이후, 한자의 중국음을 정확히 표기하기 위해 『홍무정운』의 음을 한글로 나타낼 목적으로 1455년(단종 3) 16권 8책으로 완성되었다. | ||
현재 1책인 권 1과 권 2는 없어지고 권 3에서 권 16까지 14권 7책만 남아 있다. 한글과 한자, 큰 글자는 목활자로, 작은 글자는 [[갑인자]]로 찍었다. 또한 이 책을 편찬한 취지, 연기 등이 [[신숙주]]의 문집인 『[[보한재집]]』 권 15의 「홍무정운역훈서」에 기록되어 있어 그 대강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은 당시의 국어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3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F> | 현재 1책인 권 1과 권 2는 없어지고 권 3에서 권 16까지 14권 7책만 남아 있다. 한글과 한자, 큰 글자는 목활자로, 작은 글자는 [[갑인자]]로 찍었다. 또한 이 책을 편찬한 취지, 연기 등이 [[신숙주]]의 문집인 『[[보한재집]]』 권 15의 「홍무정운역훈서」에 기록되어 있어 그 대강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은 당시의 국어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3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F> | ||
+ | |||
+ | ==부연설명==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2017년 4월 1일 (토) 22:23 판
홍무정운역훈 | |
한자명칭 | 洪武正韻譯訓 |
---|---|
영문명칭 | A Korean translated and annotated book of a Chinese phonological book Hongmujeongun |
작자 | 신숙주, 성삼문, 조변안, 김증, 손수산 |
작성시기 | 1448(세종30) 착수 |
간행시기 | 1455(단종3) |
소장처 | 고려대학교도서관 |
문화재지정사항 | 보물 제417호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3.0×20.2㎝ |
판본 | 목활자본(大字), 금속활자본(小字) |
수량 | 8책 |
표기문자 | 한자, 한글 |
개요
중국의 음운서인 『홍무정운』을 한글로 번역하고 주석을 붙인 책이다.
내용
중국의 음운서인 『홍무정운』을 한글로 번역하고 주석을 붙인 책이다. 『홍무정운』은 중국 한자의 표준음을 기록한 책이다. 세종은 중국의 한자음을 한글로 올바로 표기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홍무정운역훈』을 편찬하였다. 이 책은 1447년(세종 29) 『동국정운』의 간행 이후, 한자의 중국음을 정확히 표기하기 위해 『홍무정운』의 음을 한글로 나타낼 목적으로 1455년(단종 3) 16권 8책으로 완성되었다. 현재 1책인 권 1과 권 2는 없어지고 권 3에서 권 16까지 14권 7책만 남아 있다. 한글과 한자, 큰 글자는 목활자로, 작은 글자는 갑인자로 찍었다. 또한 이 책을 편찬한 취지, 연기 등이 신숙주의 문집인 『보한재집』 권 15의 「홍무정운역훈서」에 기록되어 있어 그 대강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은 당시의 국어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1]
부연설명
시각자료
- 홍무정운역훈 권3-16 01.jpg
홍무정운역훈_권3-16_01
관련항목
중심 | 관계어 정의 | 대상 |
---|---|---|
홍무정운역훈 | 원본 | 홍무정운 |
홍무정운역훈 | 대비 | 동국정운 |
홍무정운역훈 | 어명 | 세종 |
홍무정운역훈 | 감장 | 수양대군 |
홍무정운역훈 | 감장 | 계양군 |
홍무정운역훈 | 편찬 | 신숙주 |
홍무정운역훈 | 편찬 | 성삼문 |
홍무정운역훈 | 편찬 | 조변안 |
홍무정운역훈 | 편찬 | 김증 |
홍무정운역훈 | 편찬 | 손수산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홍무정운역훈 | 착수연대 | 1448(세종30) |
홍무정운역훈 | 간행연대 | 1455(단종3)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홍무정운역훈 | 소장처 | 고려대학교도서관 | 127.034039 | 37.591260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3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