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행실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텍스트)
38번째 줄: 38번째 줄:
 
조선 말기에는 판화를 소재로 하여 민화로 다수 그려졌고, 이 책은 글과 삽화를 필사한 것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52-53쪽.</REF>
 
조선 말기에는 판화를 소재로 하여 민화로 다수 그려졌고, 이 책은 글과 삽화를 필사한 것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52-53쪽.</REF>
 
-->
 
-->
 +
 +
==부연==
 +
 +
==부연항목==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3월 29일 (수) 00:00 판

오륜행실도
한글팀 오륜행실도 누백포효.jpg
한자명칭 五倫行實圖
영문명칭 Painting album of the illustrated stories exemplifying the five Confucian virtues
작자 이병모 등
간행시기 1797년
소장처 삼성미술관 Leeum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1.7×14.7㎝
판본 필사본(종이에 채색)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1797(정조21년)에 이병모 등이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하여 수정, 편찬한 책이다.

내용

1797년정조21에 이병모李秉模, 1742~1806 등이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하여 수정,편찬한 책이다. 정조는 서문에서 “앞서 간행된 삼 강三綱·이륜二倫이라는 책이 선후로 발간되어 학관學官에 반포되어 있어 백성을 감화시키고 풍속을 좋게 이룩하는 근본이 되었으므로, 두 책을 표준으로 삼아 향음례를 강조하고 행하게 하고자”라는 이 책의 간행 이유를 밝히고 있다. 내용과 기법에 있어서 인물·풍속·산수·건물 등 다양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고, 당시 유행한 화풍이 반영되어 있다. 인물의 표현, 수지법樹枝法, 준법皴法 등에서 당시 도화서圖畵署를 중심으로 유행한 김홍도의 화풍이 역력하다. 김홍도나 당시 그의 화풍을 보인 김득신·이인문·장한종 등의 화원이 그렸을 개연성이 높다. 조선 말기에는 판화를 소재로 하여 민화로 다수 그려졌고, 이 책은 글과 삽화를 필사한 것이다.[1]

부연

부연항목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오륜행실도 인물 이병모
오륜행실도 인물 정조
오륜행실도 유산 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유산 이륜행실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오륜행실도 소장처 삼성미술관 Leeum 37.538369 126.998558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오륜행실도 간행년 1797년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52-5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