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장서각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부연항목)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부연항목== | ==부연항목== | ||
+ | *주흥사 | ||
+ | *훈민정음 | ||
+ | |||
==부연== | ==부연==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2017년 3월 28일 (화) 20:55 판
천자문 | |
한자명칭 | 千字文 |
---|---|
영문명칭 |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
작자 | 미상 |
간행시기 | 19세기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1-205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40×26.3㎝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冊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정의
『천자문』은 고전古典에서 내용을 뽑아 각기 다른 한자 1,000자로 사언四言 250구를 지은 것으로, 19세기 궁중에서 전하는 천자문의 하나이다.
내용
19세기 궁중에서 전하는 천자문의 하나이다. 『천자문』은 고전古典에서 내용을 뽑아 각기 다른 한자 1,000자로 사언四言 250구를 지은 것이다. 적赤·청靑·황黃·홍紅·녹綠·백白의 여섯가지 색지 바탕에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의 서체로 필사하였다. 조선시대 천자문은 한자 학습의 도구로 널리 읽혔는데, 그 중에서도 한호의 『해서천자문楷書千字文』이 글자마다 한글로 음音과 훈訓이 붙어 있어 조선 중기 이후 널리 보급되었다. 이 책도 서체로 보면 『해서천자문』의 형식을 갖춘 후대 필사본으로 보인다. 이 책은 세자나 왕자의 돌상床에 붓, 실과 함께 놓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화려한 색상으로 돌을 맞는 아기의 시선을 끌어 손으로 잡게 함으로써 자라면서 학문을 가까이 하고 좋아했으면 하는 왕실의 바람이 담긴 책이다.[1]
부연항목
- 주흥사
- 훈민정음
부연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 연결정보 | 대상 |
---|---|---|
천자문(장서각본) | 인물 | 석봉 한호 |
천자문(장서각본) | 개념 | 해서천자문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천자문(장서각본)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197 | 127.054387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천자문(장서각본) | 간행년 | 19세기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60-6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