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 | |사진= | + | |사진=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권근 | |대표명칭=권근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본관=안동(安東) | |본관=안동(安東) | ||
|이칭=권진(權晉) | |이칭=권진(權晉) | ||
− | |시호= | + | |시호=문충(文忠) |
|호=양촌(陽村), 소오자(小烏子) | |호=양촌(陽村), 소오자(小烏子) | ||
|자=가원(可遠), 사숙(思叔) | |자=가원(可遠), 사숙(思叔)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가계와 탄생=== | ||
+ |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소오자(小烏子). [[권보|권보(權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권고(權皐)]], 아버지는 검교정승 [[권희|권희(權僖)]]이다.<ref>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849 권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고려시대의 활동=== |
− | " | + | 1368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해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했다. |
+ |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죽자 [[정몽주|정몽주(鄭夢周)]]·[[정도전|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 원나라를 배척하고 명나라와 화친함)을 주장했으며,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관대사성·지신사(知申事) 등을 거쳐, 1388년(창왕 1)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이은|이은(李垠)]] 등을 뽑았다.<ref>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849 권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조선시대의 활동=== |
+ | 1393년([[조선 태조|태조]] 2) 왕의 특별한 부름을 받고 계룡산 행재소(行在所)로 달려가 새 왕조의 창업을 칭송하는 노래를 지어 올리고, 왕명으로 [[정릉|정릉(定陵: 태조의 아버지 환조(桓祖)의 능침)]]의 비문을 지어 바쳤다. 예문관대학사(藝文館大學士)·중추원사 등을 지냈다. 1396년 이른바 표전문제(表箋問題: 명나라에 보낸 외교문서 속에 표현된 내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함)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한 뒤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군되고, [[조선 정종|정종]] 때는 정당문학(政堂文學)·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대사헌 등을 역임하면서 사병제도(私兵制度)의 혁파를 건의, 단행하게 했다.<ref>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849 권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1401년([[조선 태종|태종]] 1)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으로 길창군(吉昌君)에 봉군되고 찬성사(贊成事)에 올랐다. 1402년에는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신효|신효(申曉)]] 등을 뽑았고, 1407년에는 최초의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독권관(讀卷官)이 되어 [[변계량|변계량(卞季良)]] 등 열 명을 뽑았다. 한편, 왕명을 받아 경서의 구결(口訣)을 저정(著定: 저술하여 정리함)하고, [[하륜|하륜(河崙)]] 등과 『동국사략(東國史略)』을 편찬했다. 또한, 유학제조(儒學提調)를 겸임해 유생 교육에 힘쓰고, 권학사목(勸學事目)을 올려 당시의 여러 가지 문교시책을 개정, 보완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ref>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849 권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권근의 학문=== | ||
+ | [[이색|이색(李穡)]]을 스승으로 모시고, 그 문하에서 [[정몽주]]·[[김구용|김구용(金九容)]]·[[박상충|박상충(朴尙衷)]]·[[이숭인|이숭인(李崇仁)]]·[[정도전|정도전(鄭道傳)]] 등 당대 석학들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정진해 고려 말의 학풍을 일신하고, 이를 새 왕조 유학계에 계승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 저서에는 시문집으로 『[[양촌집|양촌집(陽村集)]]』 40권을 남겼다.<ref>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849 권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의 《[[입학도설|입학도설(入學圖說)]]》은 후일 [[이황|이황(李滉)]] ·[[장현광|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크게 영향을 끼쳤다. 그는 성리학자이면서도 문학을 존중했고, 시부사장(詩賦詞章)의 학을 실용 면에서 중시하여 장려했으며, 경학(經學)과 문학(文學) 양면을 조화시켰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074&cid=40942&categoryId=34297 권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1394년 [[충주 청룡사지|충주 청룡사지(忠州靑龍寺址)]]에 있는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靑龍寺 普覺國師幻庵定慧圓融塔碑)]]의 비문을 지었다. | ||
+ | |||
+ | =='''지식 관계망'''== | ||
+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44/stele_jeongji_yongmu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A008/A008.htm 수능엄경 지식관계망]'''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A094/A094.htm 열성후비지문 지식관계망]'''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권희]] || [[권근]]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
+ | |- | ||
+ | | [[권근]] || [[정몽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권근]] || [[정도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권근]] || [[이은]]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권근]] || [[신효]]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권근]] || [[변계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권근]] || [[하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동국사략]] || [[권근]]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이색]] || [[권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권근]] || [[김구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권근]] || [[박상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권근]] || [[이숭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양촌집]] || [[권근]]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권근]]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 [[권근]]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56번째 줄: | 10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074&cid=40942&categoryId=34297 권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 전관수, 『한시작가 작품사전』, 국학자료원,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67824&cid=41773&categoryId=41783 권근]", 한시작가작품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박천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849 권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한국사전연구사,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상.하』, 한국사전연구사, 199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8677&cid=41708&categoryId=41711 권근]",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
− |
2024년 4월 12일 (금) 00:44 기준 최신판
권근(權近) | |
대표명칭 | 권근 |
---|---|
한자표기 | 權近 |
생몰년 | 1352-1409 |
본관 | 안동(安東) |
이칭 | 권진(權晉) |
시호 | 문충(文忠) |
호 | 양촌(陽村), 소오자(小烏子) |
자 | 가원(可遠), 사숙(思叔) |
시대 | 고려, 조선 |
대표저서 | 양촌집 |
대표직함 | 중추원사, 정당문학, 대사헌 |
부 | 권희(權僖) |
성격 | 문신, 서예가, 공신 |
유형 | 인물 |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학자.
내용
가계와 탄생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소오자(小烏子). 권보(權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 아버지는 검교정승 권희(權僖)이다.[1]
고려시대의 활동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해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했다. 공민왕이 죽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 원나라를 배척하고 명나라와 화친함)을 주장했으며,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관대사성·지신사(知申事) 등을 거쳐, 1388년(창왕 1)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이은(李垠) 등을 뽑았다.[2]
조선시대의 활동
1393년(태조 2) 왕의 특별한 부름을 받고 계룡산 행재소(行在所)로 달려가 새 왕조의 창업을 칭송하는 노래를 지어 올리고, 왕명으로 정릉(定陵: 태조의 아버지 환조(桓祖)의 능침)의 비문을 지어 바쳤다. 예문관대학사(藝文館大學士)·중추원사 등을 지냈다. 1396년 이른바 표전문제(表箋問題: 명나라에 보낸 외교문서 속에 표현된 내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함)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한 뒤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군되고, 정종 때는 정당문학(政堂文學)·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대사헌 등을 역임하면서 사병제도(私兵制度)의 혁파를 건의, 단행하게 했다.[3]
1401년(태종 1)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으로 길창군(吉昌君)에 봉군되고 찬성사(贊成事)에 올랐다. 1402년에는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신효(申曉) 등을 뽑았고, 1407년에는 최초의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독권관(讀卷官)이 되어 변계량(卞季良) 등 열 명을 뽑았다. 한편, 왕명을 받아 경서의 구결(口訣)을 저정(著定: 저술하여 정리함)하고, 하륜(河崙) 등과 『동국사략(東國史略)』을 편찬했다. 또한, 유학제조(儒學提調)를 겸임해 유생 교육에 힘쓰고, 권학사목(勸學事目)을 올려 당시의 여러 가지 문교시책을 개정, 보완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4]
권근의 학문
이색(李穡)을 스승으로 모시고, 그 문하에서 정몽주·김구용(金九容)·박상충(朴尙衷)·이숭인(李崇仁)·정도전(鄭道傳) 등 당대 석학들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정진해 고려 말의 학풍을 일신하고, 이를 새 왕조 유학계에 계승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 저서에는 시문집으로 『양촌집(陽村集)』 40권을 남겼다.[5] 그의 《입학도설(入學圖說)》은 후일 이황(李滉) ·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크게 영향을 끼쳤다. 그는 성리학자이면서도 문학을 존중했고, 시부사장(詩賦詞章)의 학을 실용 면에서 중시하여 장려했으며, 경학(經學)과 문학(文學) 양면을 조화시켰다.[6]
1394년 충주 청룡사지(忠州靑龍寺址)에 있는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靑龍寺 普覺國師幻庵定慧圓融塔碑)의 비문을 지었다.
지식 관계망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권희 | 권근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권근 | 정몽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권근 | 정도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권근 | 이은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권근 | 신효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권근 | 변계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권근 | 하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동국사략 | 권근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이색 | 권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권근 | 김구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권근 | 박상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권근 | 이숭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양촌집 | 권근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권근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 권근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주석
- ↑ 박천규, "권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천규, "권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천규, "권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천규, "권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천규, "권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권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