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 유물정보
+
{{유물유적정보
|사진=BHST_Ingaksa_Pagoda.jpg
+
|사진= BHST_Ingaksa_Pagoda.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영문명칭=Three-story Stone Pagoda at Ingaksa Temple, Gunwi
+
|한자표기= 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한자=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
|영문명칭= Three-story Stone Pagoda at Ingaksa Temple, Gunwi
 
|이칭=
 
|이칭=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27호
+
|유형=
|지정일= 2002년 08월 19일
+
|시대= 고려시대
 +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27호  
 +
|지정일= 2002년 8월 19일
 
|소장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소장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
|경도= 128.779299
 
|위도= 36.127847
 
|위도= 36.127847
|경도= 128.779299
+
|수량=
|소유자=
+
|관련인물=
|관리자= [[군위 인각사지|군위 인각사]]
+
|관련단체=
|시대= 고려시대
+
|관련장소= [[군위 인각사]]
|수량= 1기
+
|관련물품=
|분류=
+
|관련유물유적=
 
}}
 
}}
 
 
=='''정의'''==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군위 인각사지|인각사(麟角寺)]]에 있는 석탑.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군위 인각사지|인각사(麟角寺)]]에 있는 석탑.
  
 
=='''내용'''==
 
=='''내용'''==
승려 [[일연|일연(一然)]]이 『[[삼국유사|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집필한 곳이라 전하는<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8936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군위 인각사지|인각사(麟角寺)]] 극락전 앞 마당에 세워진 신라 말 고려 초의 삼층석탑이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16』, 사찰문화연구원, 2001. 151쪽.</ref>
+
승려 [[일연|일연(一然)]]이 『[[삼국유사|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집필한 곳이라 전해지는 [[군위 인각사지|인각사(麟角寺)]] 극락전 앞 마당에 세워진 신라 말 고려 초의 삼층석탑이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16』, 사찰문화연구원, 2001. 151쪽.</ref><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8936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탑의 양식은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을 이어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相輪部)<ref>쇠붙이로 된, 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불탑의 꼭대기 부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2599 상륜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가 남아 있어 양식과 구조연구에 중요하다. 또한 이 탑의 1층 탑신석(塔身石)<ref> (같은 말)옥신석(석탑의 몸체를 이루는 돌).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9249700 탑신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이 2층 탑신석보다 높이의 비례가 크고, 옥개석(屋蓋石)<ref>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7857900 옥개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의 옥개받침이 4단인 점 등을 볼 때 고려 전기의 양식을 따르는 것으로 생각되어 나말선초 석탑의 편년 연구에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4270000,37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탑의 양식은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을 이어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相輪部)<ref>쇠붙이로 된, 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불탑의 꼭대기 부분</ref>가 남아 있어 양식과 구조연구에 중요하다. 또한 이 탑의 1층 탑신석(塔身石)<ref>석탑의 몸체를 이루는 돌</ref>이 2층 탑신석보다 높이의 비례가 크고, 옥개석(屋蓋石)<ref>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ref>의 옥개받침이 4단인 점 등을 볼 때 고려 전기의 양식을 따르는 것으로 생각되어 나말선초 석탑의 편년 연구에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4270000,37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04/monk_bogak.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 [[군위 인각사지|군위 인각사]] || A는 B에 있다 ||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 [[군위 인각사]] || A는 B에 있다 ||  
 
|-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파일:BHST_Ingaksa_Pagoda.jpg
 +
</gallery>
  
 
=='''주석'''==
 
=='''주석'''==
45번째 줄: 60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완료]]
+
[[분류:불탑]]

2024년 4월 12일 (금) 00:41 기준 최신판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BHST Ingaksa Pagoda.jpg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한자표기 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영문명칭 Three-story Stone Pagoda at Ingaksa Temple, Gunwi
시대 고려시대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27호
지정일 2002년 8월 19일
소장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관련장소 군위 인각사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인각사(麟角寺)에 있는 석탑.

내용

승려 일연(一然)이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집필한 곳이라 전해지는 인각사(麟角寺) 극락전 앞 마당에 세워진 신라 말 고려 초의 삼층석탑이다.[1][2]

탑의 양식은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을 이어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相輪部)[3]가 남아 있어 양식과 구조연구에 중요하다. 또한 이 탑의 1층 탑신석(塔身石)[4]이 2층 탑신석보다 높이의 비례가 크고, 옥개석(屋蓋石)[5]의 옥개받침이 4단인 점 등을 볼 때 고려 전기의 양식을 따르는 것으로 생각되어 나말선초 석탑의 편년 연구에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6]

지식 관계망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A는 B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16』, 사찰문화연구원, 2001. 151쪽.
  2.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두산백과』online.
  3. 쇠붙이로 된, 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불탑의 꼭대기 부분
  4. 석탑의 몸체를 이루는 돌
  5. 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
  6.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