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관계망)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탑비정보 | {{탑비정보 | ||
− | |사진= | + | |사진=BHST_Yeongoksa Hyeongak stele.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대표명칭=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임진왜란]] 당시 비의 몸체가 없어져 현재는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만이 남아 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玄覺王師碑銘(현각왕사비명)’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이 비의 주인이 [[현각|현각선사]]임을 알 수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520000,36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임진왜란]] 당시 비의 몸체가 없어져 현재는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만이 남아 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玄覺王師碑銘(현각왕사비명)’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이 비의 주인이 [[현각|현각선사]]임을 알 수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520000,36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비문은 [[왕융|왕융(王融)]]이 지었고, [[장신원|장신원(張信元)]]이 썼다고 전한다. 글씨는 2㎝ 정도의 [[해서|해서(楷書)]]로 구양순체(歐陽詢體)를 바탕으로 하면서 자형을 바르게 하였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9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비문은 [[왕융|왕융(王融)]]이 지었고, [[장신원|장신원(張信元)]]이 썼다고 전한다. 글씨는 2㎝ 정도의 [[해서|해서(楷書)]]로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를 바탕으로 하면서 자형을 바르게 하였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9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를 받치고 있는 돌거북은 부리부리한 두 눈과 큼직한 입이 웅장하며, 수염을 가진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에는 안상과 꽃조각이 새겨져 있다. [[이수]]에는 여러 마리의 용의 서로 얽힌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ref>"[http://www.dapsa.kr/blog/?p=22688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보물 152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Culture & History Traveling』<sup>online</sup></online></html>.</ref> | 비를 받치고 있는 돌거북은 부리부리한 두 눈과 큼직한 입이 웅장하며, 수염을 가진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에는 안상과 꽃조각이 새겨져 있다. [[이수]]에는 여러 마리의 용의 서로 얽힌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ref>"[http://www.dapsa.kr/blog/?p=22688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보물 152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Culture & History Traveling』<sup>online</sup></online></html>.</ref>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27/stele_hyeongak_yeongok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58번째 줄: | 59번째 줄: |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구례 연곡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구례 연곡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현각 | +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현각]]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왕융]]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왕융]]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66번째 줄: | 67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7/yeongok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7/yeongok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
+ | 파일:BHST_Yeongoksa_Hyeongak_stele.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
+ | 파일:BHST_Yeongoksa_Hyeongak_stele-1.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
+ | 파일:BHST_Yeongoksa_Hyeongak_stele-2.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옆면 | ||
+ | 파일:BHST_Yeongoksa_Hyeongak_stele-3.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뒷면 | ||
+ | 파일:BHST_Yeongoksa_Hyeongak_stele-gwibu-1.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귀부 | ||
+ | 파일:BHST_Yeongoksa_Hyeongak_stele-gwibu-2.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귀부 | ||
+ | 파일:BHST_Yeongoksa_Hyeongak_stele-isu.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이수 앞면 | ||
+ | 파일:BHST_Yeongoksa_Hyeongak_stele-isu-1.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이수 옆면 | ||
+ | 파일:BHST_Yeongoksa_Hyeongak_stele-isu-2.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이수 뒷면 | ||
+ | </gallery> | ||
===영상=== | ===영상=== | ||
71번째 줄: | 90번째 줄: | ||
<html> | <html>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rl8NGHogzmk?ecver=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rl8NGHogzmk?ecver=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 |||
− | |||
− | |||
− | |||
</html> | </html> | ||
90번째 줄: | 104번째 줄: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2024년 4월 12일 (금) 00:30 기준 최신판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求禮 鷰谷寺 玄覺禪師塔碑) |
|
대표명칭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Master Hyeongak at Yeongoksa Temple, Gurye |
한자 | 求禮 鷰谷寺 玄覺禪師塔碑 |
주소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1017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52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왕융(王融) |
서자 | 장신원(張信元)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현각선사(玄覺禪師) |
건립연대 | 979년 |
|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현각선사(玄覺禪師)의 탑비.
내용
개요
고려 전기의 승려 현각선사(玄覺禪師)를 기리기 위해 979년(경종 4)에 건립되었다.[1] 임진왜란 당시 비의 몸체가 없어져 현재는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만이 남아 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玄覺王師碑銘(현각왕사비명)’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이 비의 주인이 현각선사임을 알 수 있다.[2]
비문은 왕융(王融)이 지었고, 장신원(張信元)이 썼다고 전한다. 글씨는 2㎝ 정도의 해서(楷書)로 구양순체(歐陽詢體)를 바탕으로 하면서 자형을 바르게 하였다.[3]
비를 받치고 있는 돌거북은 부리부리한 두 눈과 큼직한 입이 웅장하며, 수염을 가진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에는 안상과 꽃조각이 새겨져 있다. 이수에는 여러 마리의 용의 서로 얽힌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4]
비는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손상을 입은 것이 풍화로 파손이 되고, 그 뒤에는 구한말 의병항쟁 때 일본군의 방화와 약탈 등으로 더 손상이 된 것을, 1970년에 떨어진 조각들을 모아 붙여 놓았다고 한다.[5] 한국전쟁 때 생긴 피탄 자국이 받침돌과 머릿돌 뒷부분에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있으며, 현재의 탑비는 귀부의 머리 부분과 몸통 부분이 조각난 것을 복원해 놓은 것이다.[6]
현재 비는 조각만 남아 있고, 146자만 남은 비문의 탁본 일부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보물 제152호로 지정되었다.[7]
비문
사라진 비의 몸체에는 현각선사의 일대기가 적혀있으며, 비문을 지은 사람, 쓴 사람이 나와있다.[8]
비문 보러가기 |
• "연곡사현각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 관계망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구례 연곡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현각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왕융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장신원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the 9594, "연곡사 현각선사 탑비 보물 제152호", YouTube, 게시일: 2015년 11월 18일.
주석
- ↑ 정충락,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정충락,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보물 152호)",
『Culture & History Traveling』online . - ↑ 하주성, "일본의 만행으로 인해 훼손된 보물 현각선사탑비",
『ohmynews』online . 작성일: 2010년 11월 08일. - ↑ "(보물 제152호)연곡사 현각선사탑비", 관광명소,
『구례여행』online , 문화관광. - ↑ "연곡사현각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하주성, "일본의 만행으로 인해 훼손된 보물 현각선사탑비",
『ohmynews』online . 작성일: 2010년 11월 08일.
참고문헌
- 정충락,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하주성, "일본의 만행으로 인해 훼손된 보물 현각선사탑비",
『ohmynews』online .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보물 152호)",
『Culture & History Traveling』online . - "(보물 제152호)연곡사 현각선사탑비", 관광명소,
『구례여행』online , 문화관광. - "연곡사현각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