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정보
 
{{승탑정보
|사진=
+
|사진=BHST Yeongoksa Soyo stupa.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대표명칭=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11번째 줄: 11번째 줄:
 
|위도= 35.254601
 
|위도= 35.254601
 
|경도= 127.588046
 
|경도= 127.588046
|소유자= 연곡사
+
|소유자= [[구례 연곡사]]
|관리자= 연곡사
+
|관리자= [[구례 연곡사]]
 
|크기=  
 
|크기=  
 
|건립시대= 조선시대
 
|건립시대= 조선시대
|관련승려= [[태능]]
+
|관련승려= [[태능|태능(太能)]]
 
|관련탑비=  
 
|관련탑비=  
 
|필드수=16
 
|필드수=16
24번째 줄: 24번째 줄:
  
 
=='''내용'''==
 
=='''내용'''==
이 탑은 [[구례 연곡사|연곡사(鷰谷寺)]] 서쪽에 있으며, 소요대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그 아래에 기단(基壇)을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으며, 각 부분이 8각으로 이루어져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540000,36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이 탑은 [[구례 연곡사|연곡사(鷰谷寺)]] 서쪽에 있으며, 소요대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그 아래에 기단(基壇)을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으며, 각 부분이 팔각으로 이루어져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540000,36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기단은 3단으로 나누어 각 단마다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그 위로 탑신을 받치도록 두툼한 괴임을 둔 점이 독특하다. 탑신의 몸돌은 한 면에만 문짝 모양을 새기고, 다른 곳에는 8부신중상(八部神衆像)을 돋을새김해 두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540000,36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기단은 삼단으로 나누어 각 단마다 연꽃 무늬를 새겼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도록 두툼한 고임을 둔 점이 독특하다. 탑신의 몸돌은 한 면에만 문짝 모양을 새기고, 다른 족에는 팔부신중상(八部神衆像)을 돋을새김해 두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540000,36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탑신석 1면에 ‘逍遙大師之塔(소요대사지탑)’, ‘順治六年庚寅(순치6년경인)’이라는 2줄의 오목새김명문이 있다. [[태능|소요대사]]는 1649년에 입멸하였는데, 바로 그 다음해에 이 승탑을 세웠음을 알 수 있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8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탑신석 1면에 ‘逍遙大師之塔(소요대사지탑)’, ‘順治六年庚寅(순치육년경인)’이라는 두 줄의 오목새김명문이 있다. [[태능|소요대사]]는 1649년에 입멸했는데, 이듬해 바로 이 승탑을 세웠음을 알 수 있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8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붕돌은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큼지막하게 꽃장식을 얹어두었으며,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540000,36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마다 큼지막하게 꽃 장식을 얹어두었고,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540000,36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승탑]]과 [[탑비]]를 별도로 세우지 않고 승탑의 탑신석이나 다른 부재에 글자를 새기는 예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 승탑도 예의 하나이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8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승탑과 탑비를 별도로 세우지 않고 승탑의 탑신석이나 다른 부재에 글자를 새기는 예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두드러지는데 소요대사탑도 예 중 하나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8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구례 연곡사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27/temple_Yeongok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42번째 줄: 49번째 줄:
 
|-
 
|-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 [[태능]]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 [[태능]]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
 +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 [[구례 연곡사 동 승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56번째 줄: 67번째 줄: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승탑]]
[[분류:승탑/검토요청]]
 

2024년 4월 12일 (금) 00:29 기준 최신판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求禮 鷰谷寺 逍遙大師塔)
BHST Yeongoksa Soyo stupa.jpg
대표명칭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영문명칭 Stupa of Buddhist Monk Soyo at Yeongoksa Temple, Gurye
한자 求禮 鷰谷寺 逍遙大師塔
주소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54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유자 구례 연곡사
관리자 구례 연곡사
건립시대 조선시대
관련승려 태능(太能)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소요대사 태능(逍遙大師 太能)승탑.

내용

이 탑은 연곡사(鷰谷寺) 서쪽에 있으며, 소요대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그 아래에 기단(基壇)을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으며, 각 부분이 팔각으로 이루어져 있다.[1]

기단은 삼단으로 나누어 각 단마다 연꽃 무늬를 새겼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도록 두툼한 고임을 둔 점이 독특하다. 탑신의 몸돌은 한 면에만 문짝 모양을 새기고, 다른 족에는 팔부신중상(八部神衆像)을 돋을새김해 두었다.[2]

탑신석 1면에 ‘逍遙大師之塔(소요대사지탑)’, ‘順治六年庚寅(순치육년경인)’이라는 두 줄의 오목새김명문이 있다. 소요대사는 1649년에 입멸했는데, 이듬해 바로 이 승탑을 세웠음을 알 수 있다.[3]

지붕돌은 여덟 곳 귀퉁이마다 큼지막하게 꽃 장식을 얹어두었고,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다.[4]

승탑과 탑비를 별도로 세우지 않고 승탑의 탑신석이나 다른 부재에 글자를 새기는 예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두드러지는데 소요대사탑도 그 예 중 하나다.[5]

지식관계망

  • 구례 연곡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구례 연곡사 A는 B에 있다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태능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구례 연곡사 동 승탑 A는 B와 관련이 있다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구례 연곡사 북 승탑 A는 B와 관련이 있다

주석

  1.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정영호,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정영호,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