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괴산 각연사 비로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
+
|사진=BHST Gagyeonsa Birojeon.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괴산 각연사 비로전
 
|대표명칭= 괴산 각연사 비로전
8번째 줄: 8번째 줄:
 
|유형=
 
|유형=
 
|시대=  
 
|시대=  
|지정번호= 충북유형문화재 제125호
+
|지정번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지정일= 1982년 12월 17일
 
|지정일= 1982년 12월 17일
 
|소장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태성리 38)
 
|소장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태성리 38)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괴산 각연사|각연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으나 비로전은 조선 후기의 건물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468 괴산각연사비로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곳에는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250000,3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건물. [[괴산 각연사|각연사]]는 신라시대에 창건한 사찰이라 전해지고 있으나 비로전은 조선 후기 건물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468 괴산각연사비로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곳에는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250000,3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1923년 중수할 때 대들보에서 발견된 문서에는 고려시대인 944년([[고려 혜종|혜종]] 1)에 중수된 기록이 있고 1648년([[조선 인조|인조]] 26)에 중건되어 1655년([[조선 효종|효종]] 6), 1899([[조선 고종|광무]] 3)에 중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75년에 보수하면서 중도리를 빼는 등 도리 상부를 완전히 변형하여 원형을 잃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057 괴산 각연사 비로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923년 중수할 때 대들보에서 발견한 문서에는 고려시대인 944년([[고려 혜종|혜종]] 1)에 중수한 기록이 있고 1648년([[조선 인조|인조]] 26)에 중건되어 1655년([[조선 효종|효종]] 6), 1899([[조선 고종|광무]] 3)에 중수한 기록이 있다. 1975년에 보수하면서 중도리를 빼는 등 도리 상부를 완전히 변형하여 원형을 잃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057 괴산 각연사 비로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초석은 신라시대 본래의 원형주좌와 신방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위에 원주를 올렸다. 건물구조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내·외2출목, 다포양식이다. 기둥에는 가벼운 배흘림이 있고 정면 3칸에는 빗살합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 얹은 창방과 평방은 축부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내·외2출목의 두공을 주칸에 2구씩 배열하고 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개, 2003.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016&cid=42840&categoryId=4285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초석은 신라시대 본래의 원형주좌와 신방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위에 원주를 올렸다. 건물 구조는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내·외2출목, 다포양식이다. 기둥에는 가벼운 배흘림이 있고 정면 세 칸에는 빗살합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 얹은 창방과 평방은 축부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내·외2출목의 두공을 주칸에 2구씩 배열하고 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개, 2003.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016&cid=42840&categoryId=4285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그래프 삽입"
+
*'''괴산 각연사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22/temple_gagyeo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46번째 줄: 51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파일:BHST_Gagyeonsa_Birojeon_board.jpg|괴산 각연사 비로전 현판
 +
파일:BHST_Gagyeonsa_Vairocana.jpg|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433호)
 +
</gallery>
  
 
=='''주석'''==
 
=='''주석'''==
57번째 줄: 66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전]]

2024년 4월 12일 (금) 00:17 기준 최신판

괴산 각연사 비로전
(槐山 覺淵寺 毘盧殿)
BHST Gagyeonsa Birojeon.jpg
대표명칭 괴산 각연사 비로전
한자표기 槐山 覺淵寺 毘盧殿
영문명칭 Birojeon at Gagyeonsa Temple, Goesan
지정번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지정일 1982년 12월 17일
소장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태성리 38)
관련장소 괴산 각연사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覺淵寺)에 있는 조선시대 법당.

내용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건물. 각연사는 신라시대에 창건한 사찰이라 전해지고 있으나 비로전은 조선 후기 건물이다.[1] 이곳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있다.[2]

1923년 중수할 때 대들보에서 발견한 문서에는 고려시대인 944년(혜종 1)에 중수한 기록이 있고 1648년(인조 26)에 중건되어 1655년(효종 6), 1899(광무 3)에 중수한 기록이 있다. 1975년에 보수하면서 중도리를 빼는 등 도리 상부를 완전히 변형하여 원형을 잃었다.[3]

초석은 신라시대 본래의 원형주좌와 신방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위에 원주를 올렸다. 건물 구조는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내·외2출목, 다포양식이다. 기둥에는 가벼운 배흘림이 있고 정면 세 칸에는 빗살합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 얹은 창방과 평방은 축부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내·외2출목의 두공을 주칸에 2구씩 배열하고 있다.[4]

지식 관계망

  • 괴산 각연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괴산 각연사 비로전 괴산 각연사 A는 B에 있다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괴산 각연사 비로전 A는 B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괴산각연사비로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괴산 각연사 비로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두산백과』online.
  4.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개, 2003. 온라인참조: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