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6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탑비정보
 
{{탑비정보
|사진=Stele_for_State_Preceptor_Wonjeung_at_Taegosa_Temple,_Goyang_0.jpg
+
|사진=BHST_Taegosa_Wonjeung_stele.jpg
 
|대표명칭=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대표명칭=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영문=Stele for State Preceptor Wonjeung at Taegosa Temple, Goyang
 
|영문=Stele for State Preceptor Wonjeung at Taegosa Temple, Goyang
 
|한자=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한자=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이칭=
 
|이칭=
|지정번호=보물 611호
+
|지정번호=보물 제611호
|지정일=1962.12.20
+
|지정일=1977년 8월 22일
 
|주소=경기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 406 (북한동)
 
|주소=경기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 406 (북한동)
 
|위도=37.645460
 
|위도=37.645460
13번째 줄: 12번째 줄:
 
|찬자=[[이색|이색(李穡)]]
 
|찬자=[[이색|이색(李穡)]]
 
|서자=[[권주|권주(權鑄)]]
 
|서자=[[권주|권주(權鑄)]]
|각자=[[석굉(釋宏)]]
+
|각자=[[석굉|석굉(釋宏)]]
|서체=[[해서(楷書)]]
+
|서체=[[해서|해서(楷書)]]
|승려=[[보우|보우(普愚)]]
+
|승려=[[보우(고려)|보우(普愚)]]
|필드수=14
+
|건립연대=1385년
 
}}
 
}}
  
 
=='''정의'''==
 
=='''정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고승 [[보우|원증국사(圓證國師) 보우(普愚)]]의 탑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고양 태고사|태고사(太古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보우(고려)|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1301-1382)]]의 [[탑비]].
 +
 
 +
=='''내용'''==
 +
===개요===
 +
이 비는 [[귀부|귀부(龜趺)]], [[이수|이수(螭首)]], [[탑비#탑신|탑신(塔身)]]이 완전한 한 형태로, 전체 높이 3.42m, 비신 높이 2.34m, 너비 1.09m, 두께 22㎝, 글자크기 2.7cm, [[제액|제액(題額)]] 글자크기 9.7cm이다. [[탑비#비신|비신(碑身)]]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나 아래쪽 일부가 마모되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491 태고사원증국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비문은 [[이색|이색(李穡)]]이 짓고 [[권주|권주(權鑄)]]가 [[해서|해서(楷書)]]로 썼다. 탑비는 [[보우(고려)|원증국사(圓證國師)]]가 입적한 3년 후인 1385년([[고려 우왕|우왕]] 11년)에 세웠다.<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73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이수|이수(螭首)]]와 [[귀부|귀부(龜趺)]]를 갖춘 모습으로, [[귀부]]의 조각은 형식화되었으며 [[이수]]에 새겨진 운룡문(雲龍文)·연화문 등도 퇴화된 느낌이다. “원증국사탑명(圓證國師塔銘)”이라는 [[제액]]이 있고, 그 아래 [[유공권체|유공권풍(柳公權風)]]의 [[해서|해서체]] 비문이 있으며, 비 뒷면에는 문도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110000,31&flag=Y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1977년 보물 제611호로 지정되었다.
 +
 
 +
===비문===
 +
비문에는 [[보우(고려)|원증국사(圓證國師)]]가 1301년 홍주에서 태어나 13세에 [[양주 회암사|회암사(檜巖寺)]]로 출가하여 1382년 [[소설암|소설암(小雪庵)]]에서 입적하기까지의 생애를 기록하고 있다. [[보우(고려)|원증국사]]는 출가 후 1341년([[고려 충혜왕|충혜왕]] 복위2)에 [[고양 중흥사|중흥사(重興寺)]]에 머무를 때 동봉(東峯)에 자그마한 암자를 짓고는 [[고양 태고사|태고암(太古菴)]]라는 편액을 걸고,<ref>이지관,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고려편 4, 1997, 460쪽.</ref> 그 곳에서「[[태고암가|태고암가(太古菴歌)]]」를 지었다. 이후 원(元)에 유학하여 임제(臨濟)의 18대손인 [[석옥청공|석옥청공(石屋淸珙)]]의 법을 이었다. 귀국하여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참석한 [[서울 봉은사|봉은사(奉恩寺)]] 법회를 주관하고 [[왕사|왕사(王師)]]에 책봉되어 [[원융부|원융부(圓融府)]]를 중심으로 [[구산선문|구산]] 통합 운동을 하였으나, [[신돈|신돈(辛旽)]]에 의해 [[보은 법주사|속리사(俗離寺)]]에 금고당하기도 하였다. [[신돈]] 실각 후 [[국사|국사(國師)]]에 책봉되었고 [[밀양 영원사|영원사(營原寺)]]에 주석하다 입적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491 태고사원증국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갤러리'''==
+
{{비문정보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caption="''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491 태고사원증국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
</gallery>
+
|비문3=
 +
}}
  
=='''관련항목'''==
+
=='''지식관계망'''==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21/stele_bou_taego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忠州 億政寺址 大智國師塔碑)]]|| [[찬영|찬영(粲英)]]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393년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권주]]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석굉]]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
|[[보우|보우(普愚)]]|| [[찬영|찬영(粲英)]] ||A는 B의 스승이다 ||
+
| [[보우(고려)]] || [[신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찬영|찬영(粲英)]] || [[공민왕]] || A는 B와 관련있다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고양 태고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찬영|찬영(粲英)]]|| [[이행|이행(李行)]] || A는 B와 관련있다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고려 우왕]]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忠州 億政寺址 大智國師塔碑)]]|| [[박의중(朴宜中)]]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1383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의 비문은 [[이색]]지었다.
 
|-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忠州 億政寺址 大智國師塔碑)]]|| 선진(旋軫)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1385년 || [[고려 우왕]]은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의 이름을 지었다.
 
|-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忠州 億政寺址 大智國師塔碑)]]|| 혜공(惠公)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1/taego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1/taego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caption='고양 태고사'>
 +
파일:BHST_Taegosa_Wonjeung_stele-1.jpg|원증국사탑비
 +
파일:BHST_Taegosa_Wonjeung_stele-gwibu.jpg|원증국사탑비 귀부
 +
파일:BHST_Taegosa_Wonjeung_stupa-1.jpg|원증국사탑
 +
파일:BHST_Taegosa-1.jpg|태고사
 +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491 태고사원증국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
 +
*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73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110000,31&flag=Y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450-472쪽.
 +
 +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탑비]]
[[분류:전라남도 장흥군]]
 
[[분류:국가지정문화재]]
 
[[분류:보물]]
 

2024년 4월 11일 (목) 23:53 기준 최신판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BHST Taegosa Wonjeung stele.jpg
대표명칭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한자 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주소 경기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 406 (북한동)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611호
문화재 지정일 1977년 8월 22일
찬자 이색(李穡)
서자 권주(權鑄)
각자 석굉(釋宏)
서체 해서(楷書)
승려 보우(普愚)
건립연대 1385년



정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태고사(太古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1301-1382)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귀부(龜趺), 이수(螭首), 탑신(塔身)이 완전한 한 형태로, 전체 높이 3.42m, 비신 높이 2.34m, 너비 1.09m, 두께 22㎝, 글자크기 2.7cm, 제액(題額) 글자크기 9.7cm이다. 비신(碑身)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나 아래쪽 일부가 마모되었다.[1] 비문은 이색(李穡)이 짓고 권주(權鑄)해서(楷書)로 썼다. 탑비는 원증국사(圓證國師)가 입적한 3년 후인 1385년(우왕 11년)에 세웠다.[2]

이수(螭首)귀부(龜趺)를 갖춘 모습으로, 귀부의 조각은 형식화되었으며 이수에 새겨진 운룡문(雲龍文)·연화문 등도 퇴화된 느낌이다. “원증국사탑명(圓證國師塔銘)”이라는 제액이 있고, 그 아래 유공권풍(柳公權風)해서체 비문이 있으며, 비 뒷면에는 문도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3] 1977년 보물 제611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비문에는 원증국사(圓證國師)가 1301년 홍주에서 태어나 13세에 회암사(檜巖寺)로 출가하여 1382년 소설암(小雪庵)에서 입적하기까지의 생애를 기록하고 있다. 원증국사는 출가 후 1341년(충혜왕 복위2)에 중흥사(重興寺)에 머무를 때 동봉(東峯)에 자그마한 암자를 짓고는 태고암(太古菴)라는 편액을 걸고,[4] 그 곳에서「태고암가(太古菴歌)」를 지었다. 이후 원(元)에 유학하여 임제(臨濟)의 18대손인 석옥청공(石屋淸珙)의 법을 이었다. 귀국하여 공민왕이 참석한 봉은사(奉恩寺) 법회를 주관하고 왕사(王師)에 책봉되어 원융부(圓融府)를 중심으로 구산 통합 운동을 하였으나, 신돈(辛旽)에 의해 속리사(俗離寺)에 금고당하기도 하였다. 신돈 실각 후 국사(國師)에 책봉되었고 영원사(營原寺)에 주석하다 입적하였다.[5]


비문 보러가기
"태고사원증국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지식관계망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보우(고려)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이색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권주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석굉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보우(고려) 신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고양 태고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고려 우왕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83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의 비문은 이색이 지었다.
1385년 고려 우왕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의 이름을 지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태고사원증국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2. 김응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이지관,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고려편 4, 1997, 460쪽.
  5. "태고사원증국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 "태고사원증국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 김응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450-47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