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월남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1988년 12월 21일 전라남도기념물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33,106㎡이고 월출산을 배경으로 월남마을 중앙에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9267 월남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988년 12월 21일 전라남도기념물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33,106㎡이고 월출산을 배경으로 월남마을 중앙에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9267 월남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강진 월남사|월남사(月南寺)]]의 창건을 밝힐 수 있는 확실한 문헌은 전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고려승 진각초창 유이규보비(高麗 僧眞覺初創 有李奎報碑)’라 하여 [[순천 송광사|송광사(松廣寺)]] 제2세인 [[혜심|진각국사(眞覺國師)]]가 | + | [[강진 월남사|월남사(月南寺)]]의 창건을 밝힐 수 있는 확실한 문헌은 전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고려승 진각초창 유이규보비(高麗 僧眞覺初創 有李奎報碑)’라 하여 [[순천 송광사|송광사(松廣寺)]] 제2세인 [[혜심|진각국사(眞覺國師)]]가 창건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라 [[강진 월남사|월남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임진왜란]]·[[정유재란]]을 겪으면서 소실되고 이후 복원되지 않아 17세기 중반 폐찰된 것으로 보인다.<ref>이영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958 월남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마을 입구로 들어서면 | + | 마을 입구로 들어서면 양쪽으로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삼층석탑(三層石塔)]]과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진각국사비(眞覺國師碑)]]가 있다. 최근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삼층석탑]] 근처 민가에서 석탑의 지붕돌이 발견되었는데,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원래는 석탑 두 개가 있었다고 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C%A7%84_%EC%9B%94%EB%82%A8%EC%82%AC%EC%A7%80 강진 월남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로 보아 삼층석탑 외에 다른 석탑 하나가 더 있었던 듯하다. 그런데 발견된 옥개석의 세부 기법이 삼층석탑 양식과 다른 신라의 양식과 기법을 따르고 있어, 그 이유는 알 수 없으나 같은 절터에 백제계와 신라계 석탑이 공존하였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9267 월남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혜심|진각국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진각국사비]]는 비석의 위쪽이 깨져 없어졌고, 앞면 일부도 떨어졌으나 남아 있는 바닥돌과 거북의 기세, 비석의 폭으로 보아 매우 웅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현재 이곳에는 금당터 초석, 축대가 남아있으며, 옛 기와, 청자, 백자 조각이 출토되고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C%A7%84_%EC%9B%94%EB%82%A8%EC%82%AC%EC%A7%80 강진 월남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월남사지의 전체 규모는 | + | 월남사지의 전체 규모는 면적이 상당했던 듯하다. 현재 외곽 담장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데 동서방향인 전면의 길이가 175m, 남북 방향인 측면의 길이가 185m로, 총면적은 1만여평에 달한다.<ref>이영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958 월남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진각국사 혜심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24/monk_hyesim.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D024/stele_hyesim_wollamsaji.htm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지식관계망]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강진 월남사]] || [[혜심]] || A는 B가 창건하였다 || | + | | [[강진 월남사지]] || [[강진 월남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강진 월남사]] || [[혜심]]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강진 월남사지]] || A는 B에 있다 || | +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강진 월남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 [[강진 월남사지 | +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혜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 [[강진 월남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2024년 4월 11일 (목) 23:07 기준 최신판
강진 월남사지 (康津 月南寺址) |
|
대표명칭 | 강진 월남사지 |
---|---|
영문명칭 | Wollamsa Temple Site, Gangjin |
한자 | 康津 月南寺址 |
주소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854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라남도 기념물 제125호 |
문화재 지정일 | 1988년 12월 21일 |
관리자 | 강진군 |
건립시기 | 고려시대 |
창건자 | 혜심(慧諶) |
경내문화재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
|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에 있는 절터.
내용
1988년 12월 21일 전라남도기념물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33,106㎡이고 월출산을 배경으로 월남마을 중앙에 있다.[1]
월남사(月南寺)의 창건을 밝힐 수 있는 확실한 문헌은 전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고려승 진각초창 유이규보비(高麗 僧眞覺初創 有李奎報碑)’라 하여 송광사(松廣寺) 제2세인 진각국사(眞覺國師)가 창건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라 월남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정유재란을 겪으면서 소실되고 이후 복원되지 않아 17세기 중반 폐찰된 것으로 보인다.[2]
마을 입구로 들어서면 양쪽으로 삼층석탑(三層石塔)과 진각국사비(眞覺國師碑)가 있다. 최근 삼층석탑 근처 민가에서 석탑의 지붕돌이 발견되었는데,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원래는 석탑 두 개가 있었다고 한다.[3] 이로 보아 삼층석탑 외에 다른 석탑 하나가 더 있었던 듯하다. 그런데 발견된 옥개석의 세부 기법이 삼층석탑 양식과 다른 신라의 양식과 기법을 따르고 있어, 그 이유는 알 수 없으나 같은 절터에 백제계와 신라계 석탑이 공존하였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4] 진각국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진각국사비는 비석의 위쪽이 깨져 없어졌고, 앞면 일부도 떨어졌으나 남아 있는 바닥돌과 거북의 기세, 비석의 폭으로 보아 매우 웅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현재 이곳에는 금당터 초석, 축대가 남아있으며, 옛 기와, 청자, 백자 조각이 출토되고 있다.[5]
월남사지의 전체 규모는 면적이 상당했던 듯하다. 현재 외곽 담장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데 동서방향인 전면의 길이가 175m, 남북 방향인 측면의 길이가 185m로, 총면적은 1만여평에 달한다.[6]
지식관계망
- 진각국사 혜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진 월남사지 | 강진 월남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강진 월남사 | 혜심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강진 월남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혜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 강진 월남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각자료
영상
- the 9594, "월출산 월남사지 삼층석탑, 강진 여행", YouTube, 게시일: 2016년 4월 10일.
- 여수MBC News+,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복원-R (170725화/뉴스투데이)", YouTube, 게시일: 2017년 7월 24일.
주석
- ↑ "월남사지",
『두산백과』online . - ↑ 이영문, "월남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진 월남사지",
『위키백과』online . - ↑ "월남사지",
『두산백과』online . - ↑ "강진 월남사지",
『위키백과』online . - ↑ 이영문, "월남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