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사진=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130000,36&imgfname=1612406.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0%95%EC%A7%84%20%EB%AC%B4%EC%9C%84%EC%82%AC%20%EA%B7%B9%EB%9D%BD%EB%B3%B4%EC%A0%84%20%EC%9D%98%20%EA%B2%A8%EC%9A%B8&photoid=161240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22번째 줄: 22번째 줄:
  
 
=='''정의'''==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강진 무위사|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강진 무위사|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ref>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사찰의 4번째 중건인 1555년에 건립된 것이나, 이 극락전만은 1956년경의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이란 기록을 통하여 적어도 1476년([[조선 성종|성종]] 7)보다 앞서는 건물임이 밝혀졌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8560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건물 대부분은 사찰을 네 번째로 중건한 1555년 건립한 것이나, 1956년경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라는 기록을 통해 이 극락전만은 적어도 1476년([[조선 성종|성종]] 7)보다 앞서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8560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 건물은 곡선 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과 달리, 직선 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도 짜임새가 균형이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했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ref>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하였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ref>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극락보전은 1934년 일제가 국보 제13호로 지정했으나 1962년 우리 정부가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했다.<ref>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395&cid=43723&categoryId=43732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극락보전은 1934년 일제에 의해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가 1962년 우리 정부에 의해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ref>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395&cid=43723&categoryId=43732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지식 관계망'''==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17/monk_hyeong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
|-
 +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A는 B에 있다 ||
 +
|-
 +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A는 B에 있다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영상===
+
파일:GangJinMuwisaGueknakbojeon.jpg|강진 무위사 극락보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130000,36&imgfname=1612406.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0%95%EC%A7%84%20%EB%AC%B4%EC%9C%84%EC%82%AC%20%EA%B7%B9%EB%9D%BD%EB%B3%B4%EC%A0%84%20%EC%9D%98%20%EA%B2%A8%EC%9A%B8&photoid=161240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주석'''==
 
=='''주석'''==
56번째 줄: 6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8560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395&cid=43723&categoryId=43732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문화유산]]

2024년 3월 29일 (금) 10:52 기준 최신판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영문명칭 Geungnakbojeon Hall of Muwisa Temple, Gangjin
지정번호 국보 제13호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처 강진 무위사
관련유물유적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1]

내용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건물 대부분은 이 사찰을 네 번째로 중건한 1555년 건립한 것이나, 1956년경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라는 기록을 통해 이 극락전만은 적어도 1476년(성종 7)보다 앞서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2]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3] 이 건물은 곡선 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과 달리, 직선 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도 짜임새가 균형이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4]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했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5]

극락보전은 1934년 일제가 국보 제13호로 지정했으나 1962년 우리 정부가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했다.[6]

지식 관계망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A는 B에 있다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A는 B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동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두산백과』online.
  3.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김동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