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사진=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130000,36&imgfname=1612406.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0%95%EC%A7%84%20%EB%AC%B4%EC%9C%84%EC%82%AC%20%EA%B7%B9%EB%9D%BD%EB%B3%B4%EC%A0%84%20%EC%9D%98%20%EA%B2%A8%EC%9A%B8&photoid=161240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18번째 줄: 18번째 줄:
 
|관련장소=
 
|관련장소=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
  
 
=='''정의'''==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에 위치한 [[강진 무위사|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강진 무위사|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ref>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무위사에 남아 있는 건물은 대부분 1555년(명종 10) 4창할 때 건립된 것인데, 이 극락전만큼은 1956년경 수리공사를 하던 중 본존불 뒷벽의 벽화 아래 서쪽에 쓰인 연기문(緣起文)을 통하여 1476년(성종 7) 이전에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건물 대부분은 이 사찰을 네 번째로 중건한 1555년 건립한 것이나, 1956년경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라는 기록을 통해 이 극락전만은 적어도 1476년([[조선 성종|성종]] 7)보다 앞서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8560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 불전은 엇맞추어 쌓은 석단(石壇)에 갑석(甲石)만을 둘러서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아 세웠다.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공포(栱包)는 주심포계(柱心包系), 지붕은 맞배지붕을 한 단층 겹처마집이다.
+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 건물은 곡선 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과 달리, 직선 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도 짜임새가 균형이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기단은 앞쪽만을 높게 쌓고 두 옆면과 뒷면은 지세(地勢)그대로 이용하여 건물을 세웠다. 주좌(柱坐)를 새기지 않은 주춧돌 위에 배흘림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기둥머리와 주심포작(柱心包作)을 짜올려서 가구를 결구시켰다.
+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했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ref>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출목의 수는 이출목으로서 바깥쪽 포의 끝은 제공(諸貢: 공포에서 첨차와 살미가 층층이 짜여진 것)처럼 되어 있고, 내포(內包)는 1장의 판으로 만든 것처럼 파련(波蓮)무늬를 새긴 운공(雲工: 장여와 도리를 받는 초새김한 짧은 재목)으로 되어 있다.
+
극락보전은 1934년 일제가 국보 제13호로 지정했으나 1962년 우리 정부가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했다.<ref>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395&cid=43723&categoryId=43732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내부에서는 대들보를 가운데칸 양쪽 포 위에 놓고 대들보 위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를 올려놓고, 그 위에 다시 파련대공(波蓮臺工)과 ㅅ자 솟을합장을 세워 마루도리를 받치고 있다.
+
=='''지식 관계망'''==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17/monk_hyeong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이렇듯 가구구조(架構構造)는 2중량(二重樑) 구조로 되어 있는데, 건물 외부에서 보면 2중량 구조로 보이지 않고 두 고주(高柱) 위에 중종보[中宗樑]만이 걸쳐져 있고 그밖에 창방(昌枋)·퇴보·장여 등 작은 직선재(直線材)로 측면을 간결하게 구성하고 있다.
+
===관계정보===
 
 
건물의 앞면은 격자모양·빗살모양을 섞어 만든 4분합(四分閤) 문을 달았고, 옆면에는 앞쪽에 출입살문, 뒷면에는 칸마다 모두 판자문과 창을 달았다.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하였고, 그 뒷벽에는 1476년(성종 7)에 조성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
 
 
 
내부 바닥에는 마루 대신에 전돌을 깔았고 천장은 위쪽 가구를 드러낸 연등천장이며 불상 윗부분에만 보개(寶蓋)와 우물반자를 가설하였다.
 
 
 
공포는 기둥머리 위에서 내려다본 단면이 十자형인 쌍S자형 첨차로 그 위에 장여와 제2살미를 놓아 외목의 행공첨차를 받치고, 이 첨차는 다시 제3살미와 직교하여 외목장여를 받치고 있다.
 
 
 
외포(外包)의 첫 출목의 첨차 끝 절단면은 느린 기울기를 가지며 밑면의 S자모양 곡선은 부드럽고 힘차다. 기둥머리나 소로[小累]의 굽은 단면이 직선이고 굽받침이 없다. 이러한 세부적 특징은 부석사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의 양식보다는 후대의 것으로 조선 초기 주심포 건물의 양식적 특징이다.[민백]
 
 
 
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관음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은 절로,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공사가 진행되면서 이름도 무위사로 바뀌게 되었다.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보전은 세종 12년(1430)에 지었으며,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조각이 매우 세련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극락보전 안에는 아미타삼존불과 29점의 벽화가 있었지만, 지금은 불상 뒤에 큰 그림 하나만 남아 있고 나머지 28점은 전시관에 보관하고 있다. 이 벽화들에는 전설이 전하는데, 극락전이 완성되고 난 뒤 한 노인이 나타나서는 49일 동안 이 법당 안을 들여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법당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49일째 되는 날, 절의 주지스님이 약속을 어기고 문에 구멍을 뚫고 몰래 들여다 보자, 마지막 그림인 관음보살의 눈동자를 그리고 있던 한 마리의 파랑새가 입에 붓을 물고는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그림속 관음보살의 눈동자가 없다.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문재]
 
 
 
극락보전은 1934년 일제에 의해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가 1962년 우리 정부에 의해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1983년 해체, 복원 공사 중 중앙 칸에서 발견된 명문(名文)에 따르면 정면 3칸에 측면 3칸인 이 건물은 조선 초기인 세종 12년(1430)에 효령대군이 지은 것이다. 또한 1950년 극락전 수리 공사를 하던 중 본존불 뒤쪽의 벽화 아래 서쪽에 쓰인 기문에 따르면 성종 7년(1476)에 후불벽화(後佛壁畵)가 그려졌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를 대표할 만큼 뛰어난 아미타삼존좌상이 어느 때 조성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나 극락보전 안쪽 벽에 그려진 많은 벽화들을 1974년에 해체, 보수하다가 그 벽화들을 통째로 드러내 벽화 보존각을 지어 따로 보관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2012. 10. 5., 다음생각)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 맞배지붕의 주심포(柱心包) 집이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이 사찰의 4번째 중건인 1555년에 건립된 것이나, 이 극락전만은 1956년경의 수리공사 때 본존(本尊)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이란 기록을 통하여 적어도 1476년(성종 7)보다 앞서는 건물임이 밝혀졌다.
 
 
 
건물의 전면 3칸에는 모두 4분각(四分閣)의 빗살문을 달고, 좌우 측면에는 앞칸에 분각의 정(井)자 살문을 달았으며, 뒷면에는 중앙칸에 판자문(板子門) 출입구가 있고, 그 좌우 칸에는 판자창문이 있다. 건물 내부는 전혀 기둥이 없는 널찍한 공간이다. 불단 위쪽에는 담집모양의 보개(寶蓋)를 올리고, 단상에는 아미타(阿彌陀) 3존을 모셨다. 법당 안의 뒷벽과 좌우 벽에는 여러 불보살(佛菩薩) 및 천인상(天人像)을 그린 벽화가 있고, 이들의 원벽면(原壁面)에는 시대가 오래된 또 하나의 벽화가 남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건물의 주요 특징은 공포(栱包)의 외포(外包) 및 출목(出目)의 첨차(檐遮) 끝 절단면이 심하게 경사지지 않고 첨차 하단의 S자형 곡선이 부드럽고 힘찬 선으로 되어 있다는 점 등이다. 무위사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두산]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
|-
 +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A는 B에 있다 ||
 +
|-
 +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A는 B에 있다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영상===
+
파일:GangJinMuwisaGueknakbojeon.jpg|강진 무위사 극락보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130000,36&imgfname=1612406.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0%95%EC%A7%84%20%EB%AC%B4%EC%9C%84%EC%82%AC%20%EA%B7%B9%EB%9D%BD%EB%B3%B4%EC%A0%84%20%EC%9D%98%20%EA%B2%A8%EC%9A%B8&photoid=161240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주석'''==
 
=='''주석'''==
87번째 줄: 6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8560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395&cid=43723&categoryId=43732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문화유산]]

2024년 3월 29일 (금) 10:52 기준 최신판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영문명칭 Geungnakbojeon Hall of Muwisa Temple, Gangjin
지정번호 국보 제13호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처 강진 무위사
관련유물유적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1]

내용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건물 대부분은 이 사찰을 네 번째로 중건한 1555년 건립한 것이나, 1956년경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라는 기록을 통해 이 극락전만은 적어도 1476년(성종 7)보다 앞서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2]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3] 이 건물은 곡선 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과 달리, 직선 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도 짜임새가 균형이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4]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했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5]

극락보전은 1934년 일제가 국보 제13호로 지정했으나 1962년 우리 정부가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했다.[6]

지식 관계망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A는 B에 있다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A는 B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동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두산백과』online.
  3.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김동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