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토 기요마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Kato Kiyomasa.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Kato_Kiyomasa.jpg?uselang=ko File:Kato kiyomasa.jpg]", <html><online style="color:purple">『Wikimedia Commons』<sup>online</sup></online></html>.
 
|대표명칭=가토 기요마사
 
|대표명칭=가토 기요마사
 
|한자표기=加藤淸正
 
|한자표기=加藤淸正
 
|영문명칭=
 
|영문명칭=
 
|본관=
 
|본관=
|이칭=가등청정(加藤淸正), 호지조(虎之助)
+
|이칭=가등청정(加藤淸正), 호지조(虎之助), 가토 도라노스케(加藤虎之助)
 
|시호=
 
|시호=
 
|호=
 
|호=
31번째 줄: 31번째 줄:
  
 
=='''정의'''==
 
=='''정의'''==
[[임진왜란]] 당시 왜군의 장수로 우리나라를 침략한 일본의 무장.<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13&cid=42957&categoryId=42957 가토 기요마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임진왜란]] 당시 왜군 장수로, 조선을 침략한 일본의 무장.<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13&cid=42957&categoryId=42957 가토 기요마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내용'''==
 
=='''내용'''==
 +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측근 장수로, 그를 따라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때에 제2군 장수로 조선을 침략했다. 한성에 입성한 후 함경도로 전진하여 [[임해군 이진|임해군]]과 [[순화군 이보|순화군]] 두 왕자와 그 일행을 인질로 잡았다. 강화교섭기에는 울산에 주둔하며 조선의 [[유정|사명대사 유정(惟政)]]과 교섭하기도 했다. 강화교섭 결렬 후 조선을 다시 침략했다. 조명연합군이 그의 진지인 울산성을 공격한 [[도산성 전투|울산성 전투]]에서 고전하기도 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 관원 전투)]] 때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동군에 속하여 구주(九州)에서 [[고니시 유키나가|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성을 공격했다.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강한 경쟁심을 품고 있었으며 두 사람은 [[임진왜란]]과 [[세카가하라 전투|세키가하라 전투]] 때까지 지속적으로 갈등관계였다고 알려져 있다. 자신의 영지 구주(九州) 웅본(熊本) 지역에서는 축성술과 치수로 이름을 남겼다.<ref>김경태,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6746 가등청정(加藤淸正)]",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
=====유정과의 회담=====
===관련항목===
+
1594년 4월 명나라의 [[심유경|심유경(沈惟敬)]]과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협상과는 별도로 [[유정]]은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를 이간시키려는 계책의 주역을 맡게 되었다. 이때 처음으로 [[유정]]은 송운(松雲)이라는 법명으로 서생포(西生浦) 왜성을 찾아 가토 기요마사와 회담을 네 차례 진행했다.<ref>사명 유정 지음, 이상현 옮김, 『사명당대사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11쪽.</ref> 제1차 회담은 1594년 4월 13~16일 서생포 일본 본진에서 열렸는데 강화 5조약으로 제시된 ①천자와 결혼할 것 ②조선 4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③전과 같이 교린할 것 ④왕자 한 명을 일본에 보내 영주하게 할 것 ⑤조선의 대신 및 대관을 일본에 볼모로 보낼 것 등을 하나하나 논파했다. 제2차 회담은 1594년 7월 12~16일, 제3차 회담은 1594년 12월 23일, 제4차 회담은 1597년 3월 18일 열렸는데, 이때도 대표로 나아가 강화 5조약의 모순을 지적하여 적들의 죄상을 낱낱이 파헤쳤다. 제2차 회담에서 가토 기요마사는 담판의 주요 부분이 결렬되자 [[유정]]에게 빈정거리며 "귀국에도 보물이 있소?"라고 물었다. 그에 유정은 "우리나라에서는 귀하의 머리를 금 천 근과 읍(邑) 만 호(戶)를 주고 산다고 하오. 이러한 막중한 것이 어찌 보배가 되지 않겠소" 라고 호방하게 맞받아쳤다고 한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4 - 경남』, 돌베개,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765&cid=42840&categoryId=42844 사명대사 유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blockquote
 +
|甲午年 봄 總司令官인 劉挺의 命으로 스님은 釜山鎭營인 蔚山 西生浦로 세 번 찾아가서 倭將 加藤淸正을 만나 대화하면서 敵情의 자세한 內容을 파악하였다. 이 때 淸正이 탐욕스러운 눈으로 “朝鮮에 貴重한 보물이 있는냐?”고 물었다. 스님은 소리를 높여 대답하되 “우리 나라에는 보배가 없고, 귀한 보물은 日本에 있다.”고 하였다. 청정이 “무슨 말입니까?”라 하자 스님이 말씀하되 “지금 우리 나라에서는 당신의 머리를 가장 귀한 보물로 보고 모두 노리고 있으므로 보배가 日本에 있다고 한것입니다.”라 하였다. 이 말을 들은 淸正이 깜짝 놀라면서 스님의 法力과 愛國精神에 감탄하였다.
 +
|출처=
 +
}}
 +
 
 +
=='''지식 관계망'''==
 +
*'''사명대사 유정의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31/monk_samyeong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가토 기요마사]] || [[임진왜란]]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도산성 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도요토미 히데요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유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곽재우]]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분충서난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이순신]]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원균]]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토 기요마사]] || [[일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시각자료'''==
 
  
 
=='''주석'''==
 
=='''주석'''==
47번째 줄: 8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13&cid=42957&categoryId=42957 가토 기요마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김경태,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6746 가등청정(加藤淸正)]",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명 유정 지음, 이상현 옮김, 『사명당대사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4 - 경남』, 돌베개,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765&cid=42840&categoryId=42844 사명대사 유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5469&cid=40942&categoryId=33406 가토 기요마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승탑/검토요청]]
 

2024년 3월 29일 (금) 09:46 기준 최신판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File:Kato kiyomasa.jpg", 『Wikimedia Commons』online.
대표명칭 가토 기요마사
한자표기 加藤淸正
생몰년 1562년-1611년
이칭 가등청정(加藤淸正), 호지조(虎之助), 가토 도라노스케(加藤虎之助)
유형 일본인



정의

임진왜란 당시 왜군 장수로, 조선을 침략한 일본의 무장.[1]

내용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측근 장수로, 그를 따라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때에 제2군 장수로 조선을 침략했다. 한성에 입성한 후 함경도로 전진하여 임해군순화군 두 왕자와 그 일행을 인질로 잡았다. 강화교섭기에는 울산에 주둔하며 조선의 사명대사 유정(惟政)과 교섭하기도 했다. 강화교섭 결렬 후 조선을 다시 침략했다. 조명연합군이 그의 진지인 울산성을 공격한 울산성 전투에서 고전하기도 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 관원 전투) 때는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동군에 속하여 구주(九州)에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성을 공격했다.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강한 경쟁심을 품고 있었으며 두 사람은 임진왜란세키가하라 전투 때까지 지속적으로 갈등관계였다고 알려져 있다. 자신의 영지 구주(九州) 웅본(熊本) 지역에서는 축성술과 치수로 이름을 남겼다.[2]

유정과의 회담

1594년 4월 명나라의 심유경(沈惟敬)과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협상과는 별도로 유정은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와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를 이간시키려는 계책의 주역을 맡게 되었다. 이때 처음으로 유정은 송운(松雲)이라는 법명으로 서생포(西生浦) 왜성을 찾아 가토 기요마사와 회담을 네 차례 진행했다.[3] 제1차 회담은 1594년 4월 13~16일 서생포 일본 본진에서 열렸는데 강화 5조약으로 제시된 ①천자와 결혼할 것 ②조선 4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③전과 같이 교린할 것 ④왕자 한 명을 일본에 보내 영주하게 할 것 ⑤조선의 대신 및 대관을 일본에 볼모로 보낼 것 등을 하나하나 논파했다. 제2차 회담은 1594년 7월 12~16일, 제3차 회담은 1594년 12월 23일, 제4차 회담은 1597년 3월 18일 열렸는데, 이때도 대표로 나아가 강화 5조약의 모순을 지적하여 적들의 죄상을 낱낱이 파헤쳤다. 제2차 회담에서 가토 기요마사는 담판의 주요 부분이 결렬되자 유정에게 빈정거리며 "귀국에도 보물이 있소?"라고 물었다. 그에 유정은 "우리나라에서는 귀하의 머리를 금 천 근과 읍(邑) 만 호(戶)를 주고 산다고 하오. 이러한 막중한 것이 어찌 보배가 되지 않겠소" 라고 호방하게 맞받아쳤다고 한다.[4]

Quote-left.png 甲午年 봄 總司令官인 劉挺의 命으로 스님은 釜山鎭營인 蔚山 西生浦로 세 번 찾아가서 倭將 加藤淸正을 만나 대화하면서 敵情의 자세한 內容을 파악하였다. 이 때 淸正이 탐욕스러운 눈으로 “朝鮮에 貴重한 보물이 있는냐?”고 물었다. 스님은 소리를 높여 대답하되 “우리 나라에는 보배가 없고, 귀한 보물은 日本에 있다.”고 하였다. 청정이 “무슨 말입니까?”라 하자 스님이 말씀하되 “지금 우리 나라에서는 당신의 머리를 가장 귀한 보물로 보고 모두 노리고 있으므로 보배가 日本에 있다고 한것입니다.”라 하였다. 이 말을 들은 淸正이 깜짝 놀라면서 스님의 法力과 愛國精神에 감탄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지식 관계망

  • 사명대사 유정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가토 기요마사 임진왜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도산성 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도요토미 히데요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고니시 유키나가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유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곽재우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분충서난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이순신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원균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일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가토 기요마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김경태, "가등청정(加藤淸正)",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사명 유정 지음, 이상현 옮김, 『사명당대사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11쪽.
  4.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4 - 경남』, 돌베개, 2002. 온라인 참조: "사명대사 유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가토 기요마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경태, "가등청정(加藤淸正)",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명 유정 지음, 이상현 옮김, 『사명당대사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4 - 경남』, 돌베개, 2002. 온라인 참조: "사명대사 유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가토 기요마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