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지식 관계망)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14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고증잘못되었음-> 네이버 라이브러리에서 찾을 수 있음.<br/>
 
경술국치라는 사건, 민영환이라는 인물, 민비와 어떤 인척이고, 어떤 관직을 역임했고...<br/>
 
우리가 이건 재밌는 관계다 라는걸 찾아내는데 의미있는거고, 우리가 재미있으면 다른 이에게도 재미있어.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9번째 줄: 6번째 줄:
 
|제작연도= 1976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항일
+
|유형= 항일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소장처= [[독립기념관]]
 
|필드수=8
 
|필드수=8
 
}}
 
}}
 +
 +
=='''정의'''==
 +
1905년(대한제국 고종 42) 11월 30일, 충정공 [[민영환]]이 을사조약에 항거하여 자결 순국한 장면을 그린 [[손수광]]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순국지사 [[민영환]][[을사조약]]에 따른 일제의 한반도 지배 야욕에 항거하여 자결하는 모습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br/>
+
===작품 소재===
1905년 11월 17일 일본이 을사늑약을 체결하고 외교권을 박탈하자, 조병세를 소두로 백관들과 연명으로 조약에 찬동한 5적의 처형과 조약의 파기를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 일로 조병세가 구금된 뒤 자신이 소두가 되어 재차 상소운동을 전개했으나, 나라의 운이 이미 기울었음을 깨닫고 죽음으로 항거해 국민들을 깨우칠 목적으로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right|450px]]
 
+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은 조선왕조 [[고종]]때의 문신으로,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될 때 의정 대신인 [[조병세|조병세(趙秉世)]]와 조약의 폐기를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국민과 각국 공사에게 고하는 [[민영환 유서|세 통의 유서]]를 남기고 1905년 11월 30일 새벽에 홀로 자결하였다.<br/>
 
+
작품 속 '''④⑤⑦⑧ [[민영환]]'''은 훈장과 견장을 단 서구식 예복을 입고 있고, 왼손 근처에 '''⑧ 작은 칼'''이 놓여 있다. 유서는 작품 왼쪽 아래 위치한 앉은뱅이 책상 위에 그려져 있는데, '''⑦ 작은 명함에 쓰여진 유서 한 통'''이 국민에게 각성을 요망하는 <마지막으로 우리 대한제국 이천만 동포에게 고함(訣告我大韓帝國二千萬同胞)>이고, '''⑦ 두루마기에 쓰여진 유서 두 통'''이 미국 공사관에 있는 친지에게 보낸 유서로, 일본의 침략을 바로 보고 한국을 구해줄 것을 요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⑧ 또 다른 한 통의 유서'''는 [[고종]] 황제에게 올린 글이다.<br/>   
1905년 11월 30일 새벽에 홀로 자결한 [[민경환]][[민영환 유서|세통의 유서]]를 남겼는데, 한통은 국민에게 각성을 요망하는 내용이었고, 다른 한통은 재경 외국사절들에게 일본의 침략을 바로 보고 한국을 구해줄 것을 바라는 내용이었다. 또 다른 한통은 황제에게 올리는 글이었다.<br/>
+
<gallery mode=packed caption="작품 상세 사진"  heights=150px>
[[민영환 유서|세통의 유서]]작품 왼쪽 아래 위치한 앉은뱅이 책상 위에 그려져 있는데, 작은 명함에 쓰여진 유서 한 통이 <마지막으로 우리 대한제국 이천만 동포에게 고함(訣告我大韓帝國二千萬同胞)>이고, 두루마기에 쓰여진 유서 두 통이 미국 공사관에 있는 친지에게 보낸 유서와, 황제에게 올린 유서이다.<br/>   
 
<gallery>
 
 
파일:민영환의자결순국_민영환.JPG|<center>[[민영환]]</center>
 
파일:민영환의자결순국_민영환.JPG|<center>[[민영환]]</center>
 
파일:민영환의자결순국_민영환유서1.JPG|<center>명함에 쓰여진 [[민영환 유서]]</center>
 
파일:민영환의자결순국_민영환유서1.JPG|<center>명함에 쓰여진 [[민영환 유서]]</center>
28번째 줄: 26번째 줄:
 
</gallery>
 
</gallery>
  
작품 속 [[민영환]]은 훈장과 견장을 단 서구식 예복을 입은 채로 오른 손목을 그어 자결한 듯 그려져 있으며, 왼손 근처에는 작은 칼이 놓여있다. 그러나, 당시 그의 최후를 목격했던 [[김우현]] 목사의 증언에 따르면 [[민영환]]은 한복차림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2600329205001&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2-26&officeId=00032&pageNo=5&printNo=10586&publishType=00020 "민족기록화 대부분 사실과 달라", 『경향신문』, 1980.02.26](2017년 3월 2일 확인)</ref> 또한, 그가 자결에 사용한 칼과 자결 방법에 대해 여러가지 상반되는 의견들이 있는데, [[김우현]] 목사의 증언과 더불어, [[민영환]]은국사학자들의 고증에 따르면, 자결에 사용한 칼이 장도(粧刀)이고, 몸의 여러부분을 찔러 실제로 유혈이 낭자했다고 한다. 그러나 [[김우현]] 목사와 마찬가지로 자결후 그를 목격했던 [[시종무관]] [[어담|어담(魚潭)]]은 그가 오른손에 손톱 깎기만한 작은 칼을 쥔 채로 사망하였고, 할복 자살을 시도하였다가 실패하여 목을 찔러 과다출혈로 사망하였다고 회고하고 있다.
+
===작품 배경===
 
+
작품에 묘사된 배경은 '''② 승려와 마당의 석등'''<ref>"현재까지의 유물조사에 의하면 석등은 주로 사찰·능묘, 그리고 그 유적지에 주로 남아 있으며, 궁궐이나 저택 등의 유적지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다." 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395 석등]"<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등을 고려하였을 때 [[조계사]] 뒤편에 있던 [[민영환 집터|민영환 자택]]으로 추정된다. 아직 유해가 수습되지 않고 자결할 당시의 상태 그대로 그려져 있다.<br/>
 
+
현재 [[이완식]]의 집터(종로구 공평동)는 [[민영환 자결터]]로서 추모 조형물이 세워져 있으며, [[민영환]]의 [[민영환 집터|자택]]이 위치했던 [[조계사]] 경내에는 [[민영환]]의 동상과 함께 작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민영환]]이 [[민영환 자결터|순국 자결한 장소]]는 의관 [[이완식]]의 집이라는 것이 국사편찬위원회의 고증을 거친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단 후술할 시종무관 어담(魚潭)의 회고에 따르면 유해가 [[이완식]]의 집에서 발견된 뒤 가인(家人)들과 친척들에 의해 [[조계사]] 경내의 본저(本邸)로 옮겨졌다고 한다.<br/>  
 
"민씨저가 의외로 조용하기로 집 사람에게 물은즉 괴정동(槐井洞)의 집사 집이라 하기로 또 그리로 뛰어가다가 중도에서 가인(家人)들과 친척들에게 떠받들리어 본저(本邸)로 돌아오는 민씨의 유해를 실은 교자(轎子)를 만나게 되어 따라 들어갔다."<ref>조정래, <아리랑 1: 조정래 대하소설>, 해냄, 2001, 325쪽; 윤병석, <한국독립운동의 해외사적 탐방기>, 지식산업사, 1994, 291쪽.</ref>
 
그런데 위 민족기록화에 묘사된 배경은 문 밖에 합장하고 있는 승려, 마당의 석등 등을 고려하였을 때 조계사 경내의 [[민영환]] 자택으로 추정되며 유해가 갈무리되지 않고 자결할 당시의 상태 그대로 그려져 있으므로 고증 상의 오류로 보인다. 경향신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논평한 바 있다.<br/>
 
"...閔忠正公(민충정공)은 한복차림에 이른새벽에 자결했고 아침 일찌기 시신을 본가로 옮겨 하인 한 사람과 청지기 식구 외엔 목격한 사람이 없다는 것...이러한 고증은 국사편찬위원장 최영희씨 등 국사학자들의 고증과도 일치하는데도 이 기록화는 전연 다르게 묘사되고 있다."<ref>민족기록화 대부분 사실과 달라, 경향신문, 1980.02.26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2600329205001&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2-26&officeId=00032&pageNo=5&printNo=10586&publishType=00020 기사]</ref>  
 
현재 [[이완식]]의 집 터는 [[민영환 자결터]]로서 추모 조형물이 세워져 있으며, [[조계사]] 경내에는 [[민영환]]의 동상과 함께 작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1905년 11월 30일 새벽에 홀로 자결한 [[민경환]]은 [[민영환 유서|세통의 유서]]를 남겼는데, 한통은 국민에게 각성을 요망하는 내용이었고, 다른 한통은 재경 외국사절들에게 일본의 침략을 바로 보고 한국을 구해줄 것을 바라는 내용이었다. 또 다른 한통은 황제에게 올리는 글이었다.<br/>
 
[[민영환 유서|세통의 유서]]는 작품 왼쪽 아래 위치한 앉은뱅이 책상 위에 그려져 있는데, 작은 명함에 쓰여진 유서 한 통이 <마지막으로 우리 대한제국 이천만 동포에게 고함(訣告我大韓帝國二千萬同胞)>이고, 두루마기에 쓰여진 유서 두 통이 미국 공사관에 있는 친지에게 보낸 유서와, 황제에게 올린 유서이다.<br/> 
 
 
 
작품 속 [[민영환]]은 훈장과 견장을 단 서구식 예복을 입은 채로 오른 손목을 그어 자결한 듯 그려져 있으며, 왼손 근처에는 작은 칼이 놓여있다. 그러나, 당시 그의 최후를 목격했던 [[김우현]] 목사의 증언에 따르면 [[민영환]]은 한복차림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2600329205001&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2-26&officeId=00032&pageNo=5&printNo=10586&publishType=00020 "민족기록화 대부분 사실과 달라", 『경향신문』, 1980.02.26](2017년 3월 2일 확인)</ref> 또한, 그가 자결에 사용한 칼과 자결 방법에 대해 여러가지 상반되는 의견들이 있는데, [[김우현]] 목사의 증언과 더불어, [[민영환]]은국사학자들의 고증에 따르면, 자결에 사용한 칼이 장도(粧刀)이고, 몸의 여러부분을 찔러 실제로 유혈이 낭자했다고 한다. 그러나 [[김우현]] 목사와 마찬가지로 자결후 그를 목격했던 [[시종무관]] [[어담|어담(魚潭)]]은 그가 오른손에 손톱 깎기만한 작은 칼을 쥔 채로 사망하였고, 할복 자살을 시도하였다가 실패하여 목을 찔러 과다출혈로 사망하였다고 회고하고 있다.
 
 
 
 
 
 
 
 
 
 
 
 
 
 
 
 
 
 
 
 
 
 
 
  
 +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Image: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center|800px
 +
poly 320 307 292 309 280 326 267 337 260 320 237 319 239 355 254 373 281 359 286 367 271 370 257 386 248 395 274 410 280 406 313 409 345 439 356 427 356 401 364 381 367 409 368 435 380 431 393 432 397 399 396 362 397 341 401 325 393 319 359 307 320 308 319 307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고증오류]]
 +
poly 339 505 389 479 385 469 392 465 458 493 453 507 443 517 427 517 418 525 346 523 340 509 338 506 338 506 339 507 [[민영환 유서]]
 +
poly 199 478 232 478 239 513 229 522 197 523 199 486 199 482 199 477 [[민영환 유서]]
 +
poly 320 259 313 279 319 308 330 312 346 310 359 301 365 288 364 264 347 253 322 257 [[민영환]]
 +
poly 312 33 335 32 375 53 381 53 387 61 393 67 386 75 383 79 354 88 345 91 344 96 337 94 338 167 340 176 313 177 310 31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고증오류]]
 +
poly 396 109 401 104 406 117 419 119 414 123 409 124 410 135 417 137 417 143 409 151 409 163 406 170 405 181 399 192 391 192 389 176 394 171 392 151 396 149 393 133 394 123 387 117 396 115 396 109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고증오류]]
 +
</imagemap>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파일:민영환_손수광_최규화.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72&dsid=000000000007&gubun=search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관람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ref>
 +
파일:손수광-민영환의자결순국 스케치.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4&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손수광-민영환의자결순국 스케치2.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4&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손수광 충정공민영환의자결순국 스케치03.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7&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ref>
 +
</gallery>
  
 +
=='''지식 관계망'''==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45/C045.htm "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손수광)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45/C04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 NetworkGraph | title=C045.lst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손수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민영환 자결터]]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민영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관련 기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민영환 유서]] || [[민영환]]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
|[[민영환]] || [[민영환 집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민영환]] || [[민영환 자결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민영환]] || [[을사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민영환 집터]] || [[조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민영환 자결터]] || [[이완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민영환]] || [[민겸호]]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민겸호]] || [[명성황후]]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
 +
|[[민겸호]] || [[임오군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6년 || [[손수광]]이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을 그렸다.
 +
|-
 +
|1905년 || [[민영환]]이 [[이완식]]의 집에서 자결 순국하였다.
 +
|-
 +
| 1998년 12월 30일-현재 || [[독립기념관]]이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을 소장하고 있다.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7.3915557 || 127.0547403 || [[독립기념관]]이 {{PAGENAME}}을 소장하였다
 +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항일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민영환]]은 먼저 수일 동안 소두로 활약하느라 약해진 몸을 추스르게 위해 전동에 있는 회화 나뭇골, 지금의 공평동에 사는 의관 [[이완식]]의 집을 찾았다. 이때 민영환은 정부 사정과 국내 정세를 생각하며 새로운 구국의 길을 구상하였다. 고종에게 상소를 올린다고 해서 성과를 거두기란 기대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렇다고 의병을 일으켜 일제와 맞서 그들을 물리쳐 국권을 회복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결국 그는 비장한 결심을 하게 되는데 죽음으로써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는 동시에 국민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켜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11월 29일 오후에 [[민영환]]은 서대문 밖에 있는 본가에 가서 생모 서씨와 아내 박씨를 찾아 마음속으로 작별을 하였다. 그리고 [[민영환 자결터|이완식의 집]](현 공평빌딩 앞)으로 돌아와서는 주위 사람들을 물리친 뒤에 문을 잠그고 혼자 생각에 잠겼다. 이튿날 11월 30일 아침 6시경에 아무도 모르게 평소 가지고 있던 작은 칼로 자신의 배와 목을 찔러 순절하였다. 처음에는 작은 칼로 복부를 찔렀지만 칼이 작아 깊이 들어가지 않자, 손에 묻은 피를 벽과 의복에 여러 번 문질러 씻고 난 뒤에 다시 찌르고 하였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자 나중에는 목을 찔러 두 치 넓이의 구멍을 내여 순절하였다. 그의 나이 45세였다.
 
 
 
순절 후 [[민영환|충정공]]이라는 시호를 받고,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대신에 추증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4583&cid=49352&categoryId=49352
 
 
 
 
 
 
 
 
 
 
 
 
 
http://m.blog.daum.net/jidam55/16144294
 
 
 
http://beup604.egloos.com/m/16750
 
 
 
 
 
 
 
http://museum.korea.ac.kr/html/gallery.htm
 
 
 
 
 
 
 
http://blog.naver.com/tbfkfk01/220888760658
 
 
 
=='''시각적 안내'''==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파일:민족_샘플2.JPG|800px|center]]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관련 민족기록화'''==
 
항일운동 소재 작품
 
<gallery>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gallery>
 
</gallery>
  
=='''관련항목'''==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가상현실===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html>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45/"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손수광]]
+
</html><br/>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45/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독립기념관]]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민영환]]
 
|-
 
|{{PAGENAME}} || ~을 배경으로 하다 ||[[민영환 자결터]]
 
|}
 
  
=='''시간정보'''==
+
===갤러리===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파일:민영환_손수광_최규화.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72&dsid=000000000007&gubun=search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관람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ref>
|-
+
파일:손수광-민영환의자결순국 스케치.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4&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PAGENAME}}||제작연도|| 1976년
+
파일:손수광-민영환의자결순국 스케치2.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4&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ref>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손수광 충정공민영환의자결순국 스케치03.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7&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ref>
 +
</gallery>
  
=='''공간정보'''==
+
===영상===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대한뉴스 제 280호-민 충정공 생신 100년제(게시일: 2016년 10월 14일)'''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html>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WsWJwxbeUb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PAGENAME}} || 前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 37.4312234|| 127.0182276
+
</html>
|-
+
*'''대한뉴스 제 178호-민충정공 추념식(게시일: 2016년 10월 18일)'''
|{{PAGENAME}} ||現 소장처|| [[독립기념관]] || 36.7835383 || 127.2210151
 
|}
 
 
 
=='''그래프'''==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yzUrGqJGIMk"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민영환 고증 오류 관련 문헌
+
===인용 및 참조===
**[[시종무관]] [[어담|어담(魚潭)]]의 회고 : 조정래, <아리랑 1: 조정래 대하소설>, 해냄, 2001, 325쪽; 윤병석, <한국독립운동의 해외사적 탐방기>, 지식산업사, 1994, 291쪽.
+
#단행본
오전 5시경에 급사로부터 작야(昨夜) 민씨가 자살하였다는 말을 듣고 놀라 민씨저(閔氏邸)로 뛰어갔다. 민씨저가 의외로 조용하기로 집 사람에게 물은즉 괴정동(槐井洞)의 집사 집이라 하기로 또 그리로 뛰어가다가 중도에서 가인(家人)들과 친척들에게 떠받들리어 본저(本邸)로 돌아오는 민씨의 유해를 실은 교자(轎子)를 만나게 되어 따라 들어갔다. 곧 교자에서 이불에 쌓인 유해를 모셔내어 침실로 옮겼다. 언뜻 얼굴을 보니 옆으로 두 치 정도의 구멍이 난 목줄기로부터 아직까지 피가 흐르고 있었고 원망하는 듯 노한 듯 딱 부릅뜨고 있는 양쪽 눈은 처절하고도 가여웠다. 다음 오른손에 꽉 쥐고 있는 작은 칼을 풀어내고 의복을 벗기니 일(一)자로 할복하고 있었다. 칼을 만져보니 손톱 깎기에 쓰는 퍽 작은 칼로서 깊이 찌를 수 없었기에 다시 상처 위로 좌로 우로 몇 번이나 칼질한 것 같았다. 그 증거로 의복의 양 무릎에 좌우 손을 닦은 듯한 핏자욱이 묻어 있는데, 생피가 찐덕찐덕하여 작은 칼을 쓰기 어렵게 되자 좌우 손으로 칼을 바꿔 쥐어가며 한 손의 피를 무릎에 닦은 것이 틀림없다. 그러나 이같이 하고도 목적을 이루지 못하자 목구멍을 옆으로 끊어 젖힌 것이 아닌가! 참으로 장절한 죽음이었다.<ref></ref>
+
#*조정래,『아리랑 1: 조정래 대하소설』, 해냄, 2001, 325쪽.
**민족기록화 대부분 사실과 달라, 경향신문, 1980.02.26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2600329205001&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2-26&officeId=00032&pageNo=5&printNo=10586&publishType=00020 기사]
+
#*윤병석,『한국독립운동의 해외사적 탐방기』, 지식산업사, 1994, 291쪽.
  ...그러나 당시 자결장소인 [[이완식]]의 집에 글공부하러드나들던 [[김우현]]목사의 증언에 따르면 [[민영환|閔忠正公(민충정공)]]은 한복차림에 이른새벽에 자결했고 아침 일찌기 시신을 본가로 옮겨 하인 한 사람과 청지기 식구 외엔 목격한 사람이 없다는 것. 또 유서를 남길 마땅한 지필묵이 없어 손바닥크기의 종이에 유서를 남겼고 자결에 사용한 칼도 粧刀(장도)여서 몸의 여러부분을 찔러 유혈이 낭자했다는 것. 이러한 고증은 국사편찬위원장 최영희씨 등 국사학자들의 고증과도 일치하는데도 이 기록화는 전연 다르게 묘사되고 있다.
+
#웹자원
 +
#*김성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0206 민영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7월 30일.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0&cp_code=cp1012&index_id=cp10120276&content_id=cp101202760001&search_left_menu= 민영환 집 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605961 민영환 자결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 여행지 소개 정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
#신문
 +
#*김태완, "[http://pub.chosun.com/client/news/print.asp?cate=C01&mcate=M1003&nNewsNumb=20151018483 항일(抗日)과 친일로 이어진 명성황후 후손들의 120년 영락]",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조선』<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10월 9일.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2600329205001&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2-26&officeId=00032&pageNo=5&printNo=10586&publishType=00020 민족기록화 대부분 사실과 달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경향신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1980년 2월 26일.
  
*"민영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5261&cid=46623&categoryId=466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15일 확인)
 
* "민영환 집 터", 문화원형백과,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4583&cid=49352&categoryId=49352 문화콘텐츠닷컴] (2017년 2월 15일 확인)
 
* "민영환 자결터",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987&cid=42856&categoryId=42856 대한민국 구석구석 여행지 소개 정보] (2017년 2월 15일 확인)
 
  
=='''주석'''==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항일]]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5:17 기준 최신판


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
작가 손수광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1905년(대한제국 고종 42) 11월 30일, 충정공 민영환이 을사조약에 항거하여 자결 순국한 장면을 그린 손수광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은 조선왕조 고종때의 문신으로,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될 때 의정 대신인 조병세(趙秉世)와 조약의 폐기를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국민과 각국 공사에게 고하는 세 통의 유서를 남기고 1905년 11월 30일 새벽에 홀로 자결하였다.
작품 속 ④⑤⑦⑧ 민영환은 훈장과 견장을 단 서구식 예복을 입고 있고, 왼손 근처에 ⑧ 작은 칼이 놓여 있다. 유서는 작품 왼쪽 아래 위치한 앉은뱅이 책상 위에 그려져 있는데, ⑦ 작은 명함에 쓰여진 유서 한 통이 국민에게 각성을 요망하는 <마지막으로 우리 대한제국 이천만 동포에게 고함(訣告我大韓帝國二千萬同胞)>이고, ⑦ 두루마기에 쓰여진 유서 두 통이 미국 공사관에 있는 친지에게 보낸 유서로, 일본의 침략을 바로 보고 한국을 구해줄 것을 요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⑧ 또 다른 한 통의 유서고종 황제에게 올린 글이다.

작품 배경

작품에 묘사된 배경은 ② 승려와 마당의 석등[1] 등을 고려하였을 때 조계사 뒤편에 있던 민영환 자택으로 추정된다. 아직 유해가 수습되지 않고 자결할 당시의 상태 그대로 그려져 있다.
현재 이완식의 집터(종로구 공평동)는 민영환 자결터로서 추모 조형물이 세워져 있으며, 민영환자택이 위치했던 조계사 경내에는 민영환의 동상과 함께 작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그림 읽기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고증오류민영환 유서민영환 유서민영환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고증오류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고증오류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손수광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독립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민영환 자결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민영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관련 기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영환 유서 민영환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민영환 민영환 집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영환 민영환 자결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영환 을사조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영환 집터 조계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영환 자결터 이완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영환 민겸호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민겸호 명성황후 A는 여형제 B가 있다 A ekc:hasSister B
민겸호 임오군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손수광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을 그렸다.
1905년 민영환이완식의 집에서 자결 순국하였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독립기념관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을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5557 127.0547403 독립기념관이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을 소장하였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280호-민 충정공 생신 100년제(게시일: 2016년 10월 14일)

  • 대한뉴스 제 178호-민충정공 추념식(게시일: 2016년 10월 18일)

주석

  1. "현재까지의 유물조사에 의하면 석등은 주로 사찰·능묘, 그리고 그 유적지에 주로 남아 있으며, 궁궐이나 저택 등의 유적지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다." 정영호, "석등"『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관람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3.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6.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관람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7.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8.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9.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조정래,『아리랑 1: 조정래 대하소설』, 해냄, 2001, 325쪽.
    • 윤병석,『한국독립운동의 해외사적 탐방기』, 지식산업사, 1994, 291쪽.
  2. 웹자원
    • 김성균, "민영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7월 30일.
    • "민영환 집 터",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민영환 자결터", 『대한민국 구석구석 여행지 소개 정보』online, 한국관광공사.
  3.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