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하인두-동명목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제작연도= 1973년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경제
+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소장처= 미상
13번째 줄: 13번째 줄:
  
 
=='''정의'''==
 
=='''정의'''==
1970년대 당시 생산능력 세계5위의 국제적 규모의 합판생산업체로 성장한 [[동명목재]]를 그린 [[하인두]]의 민족기록화.
+
1970년대 당시 생산능력 세계5위의 합판생산업체로 성장한 [[동명목재]]를 그린 [[하인두]]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동명목재]]는 부산에 뿌리를 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합판공장으로, 1970년대에는 7년간 수출 1위 자리를 고수했을 정도로 견실한 기업이었다. 부산에 기반을 둔 덕분에 [[한국전쟁]]의 참화를 피해갈 수 있었던 [[동명목재]]는 전후복구 사업과 더불어 대단한 호황을 누렸다. 1961년에 등장한 [[박정희]] 정권이 [[산림녹화정책]]을 추진하면서 '벌목금지' 조치를 내렸으나, [[동명목재]]는 1959년부터 인도네시아 산 원목(나왕)을 수입하기로 사업 방침을 바꾼 것이 시대 상황과 맞아 떨어졌다.<ref>정순형, "[http://board.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40719000037 정순형의 부산기업 스토리 - 동명목재]", 『부산일보』, 2014년 07월 19일.</ref><br/>
+
[[동명목재]]는 부산에 뿌리를 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합판공장으로, 1970년대에는 7년간 수출 1위 자리를 고수했을 정도로 견실한 기업이었다. 부산에 기반을 둔 덕분에 [[한국전쟁]]의 참화를 피해갈 수 있었던 [[동명목재]]는 전후복구 사업과 더불어 대단한 호황을 누렸다. 1961년에 등장한 [[박정희]] 정권이 [[산림녹화정책]]을 추진하면서 '벌목금지' 조치를 내렸으나, [[동명목재]]는 1959년부터 인도네시아 산 원목(나왕)을 수입하기로 사업 방침을 바꾼 덕분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고 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었다.<ref>정순형, "[http://board.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40719000037 정순형의 부산기업 스토리 - 동명목재]", 『부산일보』, 2014년 07월 19일.</ref><br/>
이후 동명산업(주), 동명중공업(주), 동명식품(주) 등을 설립하고 [[동명목재그룹]]으로 성장하였으나, 1980년 [[제5공화국 신군부]]에 의해 그룹이 와해되었다. 2008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위원장 안병욱)는 22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 등이 동명목재의 창업자인 고 강석진씨와 그의 아들 강정남(69·현 동명문화학원 이사장)씨 등 이사진을 반사회적 기업인으로 지목해 명예를 훼손했고, 범죄 혐의가 없는데도 강제 수사를 하면서 고문 등의 가혹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히고, 피해자와 그 가족에게 사과하고 재발방지에 힘쓸 것을 국가에 권고하였다.<ref>권오성,
+
이후 동명산업(주), 동명중공업(주), 동명식품(주) 등을 설립하여 [[동명목재그룹]]으로 성장하였으나, 1980년 [[제5공화국 신군부]]에 의해 그룹이 와해되었다. 2008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위원장 안병욱)는 22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 등이 동명목재의 창업자인 고 강석진씨와 그의 아들 강정남(69·현 동명문화학원 이사장)씨 등 이사진을 반사회적 기업인으로 지목해 명예를 훼손했고, 범죄 혐의가 없는데도 강제 수사를 하면서 고문 등의 가혹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히고, 피해자와 그 가족에게 사과하고 재발방지에 힘쓸 것을 국가에 권고하였다.<ref>권오성,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17564.html#csidxdffebdddaeb0eb6af78b969a1459849 진실위, 신군부가 동명목재 재산 강탈]", 『한계레신문』, 2008년 10월 22일.</ref>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17564.html#csidxdffebdddaeb0eb6af78b969a1459849 진실위, 신군부가 동명목재 재산 강탈]", 『한겨레신문』, 2008년 10월 22일.</ref>
  
 
===작품 배경===
 
===작품 배경===
부산 용당동에 있었던 [[동명목재]] 공장 건물 뒷편의 바다물 속에 필리핀, 말레이지아,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수입한 원목(나왕)을 바다에 그대로 띄어 놓은 장면이 인상적이다. 배로 수입된 직경 1m, 길이 15m~20m의 나왕을 바다에 띄어 놓고 원목관리계원들이 그 위를 돌아다니며 나무의 굵기 등의 치수를 재고 흠집 여부를 판별하여 등급과 규격 등을 매겼다고 한다.<ref>류지아,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19009 성창목재 합판을 만든 사람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부산문화역사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br/>
+
부산 용당동에 있었던 [[동명목재]] 공장 건물 뒷편의 바다에 필리핀, 말레이지아,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수입한 원목(나왕)이 떠 있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배로 수입된 직경 1m, 길이 15m~20m의 나왕을 바다에 띄워 놓고 원목관리계원들이 그 위를 돌아다니며 나무의 치수를 재고 흠집 여부를 판별하여 등급과 규격 등을 매겼다고 한다.<ref>류지아,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19009 성창목재 합판을 만든 사람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부산문화역사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br/>
  
 
===그림 읽기===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79년 [[총무처]]에 대여되었습니다.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32번째 줄: 33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88/C088.htm "동명목재"(하인두)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88/C08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88/C08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50번째 줄: 52번째 줄:
 
|[[하인두-동명목재]] ||[[목재산업]]|| A는 B을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하인두-동명목재]] ||[[목재산업]]|| A는 B을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동명목재]] ||[[강석진]]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동명목재]] || [[강석진]]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동명목재]] ||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동명목재]] ||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부산은행]]  ||[[강석진]]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부산은행]]  ||[[강석진]]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62번째 줄: 68번째 줄:
 
|[[동원공업전문대학]]  ||[[동명대학교]]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동원공업전문대학]]  ||[[동명대학교]]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
|[[동명목재]]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 A는 B과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 [[동명목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 [[전두환]]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73번째 줄: 82번째 줄: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3년 || [[하인두]]가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1973년 || [[하인두]]가 [[하인두-동명목재]]를 제작하였다
 
|-
 
|-
|1979년 || 총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79년 || 총무처가 [[하인두-동명목재]]를 대여하였다
 
|-
 
|-
 
|1980년 || [[신군부]]가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을 일으켰다
 
|1980년 || [[신군부]]가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을 일으켰다
84번째 줄: 93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7.575603 || 126.975119|| 총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37.575603 || 126.975119|| 총무처가 [[하인두-동명목재]]를 대여하였다
 +
|-
 +
| 35.1007074 || 129.0894473 || [[동명목재]] 공장이 부산 용당동에 있었다
 
|}
 
|}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10/C010.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112번째 줄: 129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129번째 줄: 144번째 줄:
 
#단행본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웹자원
+
#웹 자원
 
#*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302 동명목재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부산역사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302 동명목재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부산역사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136번째 줄: 151번째 줄:
 
#* 윤미영, 『찬란한 유산 - 강석진과 동명목재상사』, 한국학술정보, 2010.
 
#* 윤미영, 『찬란한 유산 - 강석진과 동명목재상사』, 한국학술정보, 2010.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51 기준 최신판


동명목재
하인두-동명목재-1973s.jpg
작가 하인두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970년대 당시 생산능력 세계5위의 합판생산업체로 성장한 동명목재를 그린 하인두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동명목재는 부산에 뿌리를 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합판공장으로, 1970년대에는 7년간 수출 1위 자리를 고수했을 정도로 견실한 기업이었다. 부산에 기반을 둔 덕분에 한국전쟁의 참화를 피해갈 수 있었던 동명목재는 전후복구 사업과 더불어 대단한 호황을 누렸다. 1961년에 등장한 박정희 정권이 산림녹화정책을 추진하면서 '벌목금지' 조치를 내렸으나, 동명목재는 1959년부터 인도네시아 산 원목(나왕)을 수입하기로 사업 방침을 바꾼 덕분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고 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었다.[1]
이후 동명산업(주), 동명중공업(주), 동명식품(주) 등을 설립하여 동명목재그룹으로 성장하였으나, 1980년 제5공화국 신군부에 의해 그룹이 와해되었다. 2008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위원장 안병욱)는 22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 등이 동명목재의 창업자인 고 강석진씨와 그의 아들 강정남(69·현 동명문화학원 이사장)씨 등 이사진을 반사회적 기업인으로 지목해 명예를 훼손했고, 범죄 혐의가 없는데도 강제 수사를 하면서 고문 등의 가혹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히고, 피해자와 그 가족에게 사과하고 재발방지에 힘쓸 것을 국가에 권고하였다.[2]

작품 배경

부산 용당동에 있었던 동명목재 공장 건물 뒷편의 바다에 필리핀, 말레이지아,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수입한 원목(나왕)이 떠 있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배로 수입된 직경 1m, 길이 15m~20m의 나왕을 바다에 띄워 놓고 원목관리계원들이 그 위를 돌아다니며 나무의 치수를 재고 흠집 여부를 판별하여 등급과 규격 등을 매겼다고 한다.[3]

그림 읽기

하인두 「동명목재」 1973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하인두-동명목재 하인두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하인두-동명목재 총무처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하인두-동명목재 동명목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하인두-동명목재 목재산업 A는 B을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동명목재 강석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dm:isRelatedTo B
동명목재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동명목재 치산녹화 10개년계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부산은행 강석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부산투자금융 강석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동명불원 강석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동원공업전문대학 강석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동원공업전문대학 동명대학교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동명목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전두환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하인두하인두-동명목재를 제작하였다
1979년 총무처가 하인두-동명목재를 대여하였다
1980년 신군부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을 일으켰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5603 126.975119 총무처가 하인두-동명목재를 대여하였다
35.1007074 129.0894473 동명목재 공장이 부산 용당동에 있었다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599호-수출 진흥(제작일: 1966년 12월 3일)

주석

  1. 정순형, "정순형의 부산기업 스토리 - 동명목재", 『부산일보』, 2014년 07월 19일.
  2. 권오성, "진실위, 신군부가 동명목재 재산 강탈", 『한겨레신문』, 2008년 10월 22일.
  3. 류지아, "성창목재 합판을 만든 사람들", 『부산문화역사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2. 웹 자원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윤미영, 『찬란한 유산 - 강석진과 동명목재상사』, 한국학술정보,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