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유형= 전쟁 | |유형= 전쟁 | ||
|분류= 유화 | |분류= 유화 | ||
− |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 |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필드수=7 | |필드수=7 | ||
}} | }} | ||
=='''정의'''== | =='''정의'''== | ||
− | [[6.25전쟁]] [[1.4후퇴]] 당시 [[구월산]] 일대에 잔류하면서 적군에 맞선 [[구월산유격대]]의 전투 장면을 그린 [[김서봉]]의 민족기록화이다. | + | [[6.25전쟁]] 중 [[1.4후퇴]] 당시 황해도 [[구월산]] 일대에 잔류하면서 적군에 맞선 [[구월산유격대]](九月山遊擊隊)의 전투 장면을 그린 [[김서봉]]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 =='''설명'''== | ||
공산주의 기치를 내건 ''' ①②③④ 인민군과 중공군'''을 붉은 색으로, 그에 맞서는 국군 '''⑤⑥⑦⑧⑨ [[구월산유격대]]'''를 푸른 색으로 묘사하여 강렬한 색채의 대립 구도를 표현하였다. | 공산주의 기치를 내건 ''' ①②③④ 인민군과 중공군'''을 붉은 색으로, 그에 맞서는 국군 '''⑤⑥⑦⑧⑨ [[구월산유격대]]'''를 푸른 색으로 묘사하여 강렬한 색채의 대립 구도를 표현하였다.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서봉-구월산지구유격대-1967s.jpg|right|450px]]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서봉-구월산지구유격대-1967s.jpg|right|450px]] | ||
− | [[구월산유격대 | + | [[구월산유격대]]는 [[김종벽]] 대위가 부대장을 맡아 1950년 12월 창설하였으며, 본래의 이름은 '연풍유격대'이다. 창설 당시 규모는 6백명 정도였으나 1951년 초에는 2천5백 명으로 늘어났고, 휴전 직후 부대가 해체될 때까지 8백명 규모를 유지했다.<br/> |
− | 이들은 | + | 이들은 1951년 3월 연풍부대가 구월부대로 개편된 뒤 서해지구,초도,석도,웅도,청양도,상취라도,하취라도,피도,능금도 등지에서 도서방위와 공격활동을 벌였으며 북한 인민군과도 치열한 전투를 벌여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ref>김교만,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1998100123001601‘구월산 유격대’ 기록 첫공개]", 『문화일보』, 1998년 10월 01일. </ref> |
+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배경인 '''①③ [[구월산]]'''은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일도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천연의 요새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시대에 축조된 [[구월산성]]이 남아 있다. [[구월산유격대]] 역시 [[구월산]]의 험한 지형을 이용하여 | + | 작품의 배경인 '''①③ [[구월산]](九月山)'''은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일도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ref>노도양,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55 구월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북한의 5대 명산으로 꼽히며, 음력 9월에 경치가 가장 좋다고 해서 구월산으로 불린다.<ref>고두현,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3120176211?nv=o 구월산 유격대]", 『한국경제』, 2013년 12월 2일.</ref><br/> |
+ | 천연의 요새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시대에 축조된 [[구월산성]](九月山城)이 남아 있다.<ref>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58 구월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일제 치하에서 항일 무장독립운동을 펼치던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단원들과 [[6.25전쟁]] 당시 반공 무장 단체였던 [[구월산유격대]] 역시 [[구월산]]의 험한 지형을 이용하여 유격활동을 벌였다.<ref>고두현,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3120176211?nv=o 구월산 유격대]", 『한국경제』, 2013년 12월 2일.</ref> |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30번째 줄: | 32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55/C055.htm "구월산지구 유격대"(김서봉)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56/C05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43번째 줄: | 51번째 줄: | ||
|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 ||[[구월산유격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 ||[[구월산유격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구월산유격대]] ||[[김종벽]]||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ekc:founder | + | |[[구월산유격대]] ||[[김종벽]]||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구월산성]]||[[구월산]]||A는 B에 위치한다||A edm:currentLocation B | |[[구월산성]]||[[구월산]]||A는 B에 위치한다||A edm:currentLocation B | ||
50번째 줄: | 58번째 줄: | ||
|- | |- | ||
| [[구월산유격대]] || [[1.4후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구월산유격대]] || [[1.4후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구월산유격대]] || [[이정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1.4후퇴]] || [[6.25전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1.4후퇴]] || [[6.25전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81번째 줄: | 91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 | </html> | + | </html><br/> |
+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 | |||
===갤러리=== | ===갤러리=== | ||
===영상=== | ===영상=== | ||
96번째 줄: | 108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단행본 | ||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 89-94쪽. |
− | # | + | #웹 자원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55 구월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노도양,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55 구월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58 구월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58 구월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문 | #신문 | ||
#*김교만,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1998100123001601‘구월산 유격대’ 기록 첫공개]", 『문화일보』, 1998년 10월 01일. | #*김교만,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1998100123001601‘구월산 유격대’ 기록 첫공개]", 『문화일보』, 1998년 10월 01일. | ||
+ | #*고두현,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3120176211?nv=o 구월산 유격대]", 『한국경제』, 2013년 12월 2일. | ||
+ | #*이상흔,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mcate=M1005&nNewsNumb=20170725584&nidx=25585 6.25전쟁 휴전 64주년...대북 유격대원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조선pub』, 2017년 7월 27일.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40 기준 최신판
구월산지구 유격대 | |
작가 | 김서봉 |
---|---|
제작연도 | 1967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차
정의
6.25전쟁 중 1.4후퇴 당시 황해도 구월산 일대에 잔류하면서 적군에 맞선 구월산유격대(九月山遊擊隊)의 전투 장면을 그린 김서봉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공산주의 기치를 내건 ①②③④ 인민군과 중공군을 붉은 색으로, 그에 맞서는 국군 ⑤⑥⑦⑧⑨ 구월산유격대를 푸른 색으로 묘사하여 강렬한 색채의 대립 구도를 표현하였다.
작품 소재
구월산유격대는 김종벽 대위가 부대장을 맡아 1950년 12월 창설하였으며, 본래의 이름은 '연풍유격대'이다. 창설 당시 규모는 6백명 정도였으나 1951년 초에는 2천5백 명으로 늘어났고, 휴전 직후 부대가 해체될 때까지 8백명 규모를 유지했다.
이들은 1951년 3월 연풍부대가 구월부대로 개편된 뒤 서해지구,초도,석도,웅도,청양도,상취라도,하취라도,피도,능금도 등지에서 도서방위와 공격활동을 벌였으며 북한 인민군과도 치열한 전투를 벌여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1]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①③ 구월산(九月山)은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일도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2] 북한의 5대 명산으로 꼽히며, 음력 9월에 경치가 가장 좋다고 해서 구월산으로 불린다.[3]
천연의 요새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시대에 축조된 구월산성(九月山城)이 남아 있다.[4] 일제 치하에서 항일 무장독립운동을 펼치던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단원들과 6.25전쟁 당시 반공 무장 단체였던 구월산유격대 역시 구월산의 험한 지형을 이용하여 유격활동을 벌였다.[5]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 | 김서봉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 | 구월산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 | 구월산유격대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구월산유격대 | 김종벽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구월산성 | 구월산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월산유격대 | 구월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구월산유격대 | 1.4후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구월산유격대 | 이정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1.4후퇴 | 6.25전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67년 | 김서봉이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를 그렸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를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를 소장하고 있다. |
38.502127 | 125.262937 | 구월산은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의 배경이다. |
관련 민족기록화
1945년 8월 15일 윤중식-8.15해방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뉴먼 사과문에 등장한 '구월산 유격대'는? / YTN(게시일: 2013년 12월 1일)
주석
- ↑ 김교만, "유격대’ 기록 첫공개", 『문화일보』, 1998년 10월 01일.
- ↑ 노도양, "구월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두현, "구월산 유격대", 『한국경제』, 2013년 12월 2일.
- ↑ 차용걸, "구월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두현, "구월산 유격대", 『한국경제』, 2013년 12월 2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 89-94쪽.
- 웹 자원
- 신문
- 김교만, "유격대’ 기록 첫공개", 『문화일보』, 1998년 10월 01일.
- 고두현, "구월산 유격대", 『한국경제』, 2013년 12월 2일.
- 이상흔, "6.25전쟁 휴전 64주년...대북 유격대원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조선pub』, 2017년 7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