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리석-홍주성수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 고종 | + | 1894년(조선 고종 31)에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주도한 [[홍주성전투]]를 그린 [[장리석]]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 =='''설명'''==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⑤ [[민종식]]'''(閔宗植, 1861~?)이 1906년 5월 19일 일본군 헌병 부대와 일부 거류민 등에 맞선 [[홍주성전투|홍주성 탈환 전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수성(守城)이 아닌 공성(攻城)의 현장에 걸맞게 성 내부에서 벌어지는 난전(亂戰)의 혼란을 붉은 색조로 묘사하였다. '''⑥ 농민 복장의 의병들'''이 칼 등의 병장기 뿐 아니라 곡괭이와 같은 농기구를 들고 항거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실제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대는 신식 소총과 화승총 등 화기류(火器類)로 무장한 병력이 500여명, 창검과 활 등을 소지한 병력이 200여명, 나머지는 비무장이었다고 한다. | '''⑤ [[민종식]]'''(閔宗植, 1861~?)이 1906년 5월 19일 일본군 헌병 부대와 일부 거류민 등에 맞선 [[홍주성전투|홍주성 탈환 전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수성(守城)이 아닌 공성(攻城)의 현장에 걸맞게 성 내부에서 벌어지는 난전(亂戰)의 혼란을 붉은 색조로 묘사하였다. '''⑥ 농민 복장의 의병들'''이 칼 등의 병장기 뿐 아니라 곡괭이와 같은 농기구를 들고 항거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실제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대는 신식 소총과 화승총 등 화기류(火器類)로 무장한 병력이 500여명, 창검과 활 등을 소지한 병력이 200여명, 나머지는 비무장이었다고 한다.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홍성 홍주성|홍주성]](洪州城: 지금의 홍성)은 호서지방의 요충지로 고려 때부터 일본의 잦은 침략을 받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작품에 등장하는 성문은 동문인 '''③ [[조양문|조양문(朝陽門)]]'''으로 추정된다. 일본에 의해 성곽 대부분이 허물어지고 현재는 | + | [[홍성 홍주성|홍주성]](洪州城: 지금의 홍성)은 호서지방의 요충지로 고려 때부터 일본의 잦은 침략을 받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성문은 동문인 '''③ [[조양문|조양문(朝陽門)]]'''으로 추정된다. 일본에 의해 성곽 대부분이 허물어지고 현재는 810m 정도만이 남아 있다.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42/C042.htm "홍주성수복"(장리석)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42/C04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93번째 줄: | 94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42/index.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clickable button | [ | +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42/index.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115번째 줄: | 116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653&cid=40942&categoryId=32856 홍주성 수성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653&cid=40942&categoryId=32856 홍주성 수성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411&content_id=cp020814110001&search_left_menu= 홍주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411&content_id=cp020814110001&search_left_menu= 홍주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34 기준 최신판
홍주성수복 | |
작가 | 장리석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정의
1894년(조선 고종 31)에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주도한 홍주성전투를 그린 장리석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⑤ 민종식(閔宗植, 1861~?)이 1906년 5월 19일 일본군 헌병 부대와 일부 거류민 등에 맞선 홍주성 탈환 전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수성(守城)이 아닌 공성(攻城)의 현장에 걸맞게 성 내부에서 벌어지는 난전(亂戰)의 혼란을 붉은 색조로 묘사하였다. ⑥ 농민 복장의 의병들이 칼 등의 병장기 뿐 아니라 곡괭이와 같은 농기구를 들고 항거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실제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대는 신식 소총과 화승총 등 화기류(火器類)로 무장한 병력이 500여명, 창검과 활 등을 소지한 병력이 200여명, 나머지는 비무장이었다고 한다.
작품 배경
홍주성(洪州城: 지금의 홍성)은 호서지방의 요충지로 고려 때부터 일본의 잦은 침략을 받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성문은 동문인 ③ 조양문(朝陽門)으로 추정된다. 일본에 의해 성곽 대부분이 허물어지고 현재는 810m 정도만이 남아 있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장리석-홍주성수복 | 이종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장리석-홍주성수복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장리석-홍주성수복 | 독립기념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장리석-홍주성수복 | 홍주성전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장리석-홍주성수복 | 홍성 홍주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민종식 | 홍주성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종식 | 홍성 홍주성 | A는 B를 공격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장리석이 장리석-홍주성수복을 그렸다. |
1991년 1월 31일-1992년 1월 30일 | 독립기념관이 장리석-홍주성수복을 대여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독립기념관이 장리석-홍주성수복을 소장하고 있다. |
1906년 5월 19일 |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군이 홍주성을 공격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7861847 | 127.2242915 | 독립기념관이 장리석-홍주성수복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홍주 천년 홍성 30경 홍주성, 조양문, 홍주성역사관_한국어(게시일: 2016년 8월 9일)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