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설명)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8
 
|필드수=8
 
}}
 
}}
=='''개요'''==
+
=='''정의'''==
[[유정|유정(惟政)]]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으로, 해당 작품은 [[선조|선조(宣祖)]] 25년(1592) 6월,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금강산]] [[유점사|유점사(楡岾寺)]]까지 침입한 왜장을 [[유정]]이 설법으로 감화시켜 물러나게 하는 장면을 담고있다.<br/>
+
1592년([[조선 선조|선조]] 25) [[임진왜란]] 시기에 [[금강산]] [[고성 유점사|유점사]]까지 침입한 왜장이 [[유정|사명대사 유정]]의 설법에 감화되어 물러나는 장면을 담은 [[박서보]]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유점사]]에서 [[유정]]은 왜장과 필담을 나누었는데,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right|450px]]
왜장 曰 : 글을 아는가?
+
왜적이 [[고성 유점사|유점사(楡岾寺)]]를 점령한 뒤 승려 20여 명을 결박하였는데, [[유정|유정(惟政, 1520~1604)]]홀연히 왜적을 찾아가, 왜장과 필담을 나누었다. [[유정]]은 불교를 설법하여 왜장을 탄복케 하였고, 왜장 두 명이 그에게 계를 받기까지 하였다. 이 덕에  [[고성 유점사|유점사]] 인근 영동 지방의 아홉 고을 사람들이 참회를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유정 曰 : 조금 아노라
 
왜장 曰 : 너의 나라에서도 7조(七祖 화엄종의 교를 이어받은 7인)를 높이 섬기는가?
 
유정 曰 : 우리나라에는 6조가 있지 7조는 없다
 
왜장 曰 : 이 산에 금,은,동 여러 가지 보물이 있을테니 모두 내어놔라? 응하지 않으면 죽이겠다
 
유정 曰 :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금,,동을 보배로 쓰지 않고 다만 쌀과 베를 쓰기 때무에 금, 은 따위는 귀중히 여기지도 않지만 산중에 있는 중은 채식으로 생활하는데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또한 장군이 불교의 7조를 묻는것만 보아도 慈悲不殺을 제일로 삼는 불교를 아는 모양인데, 지금 죄없는 중들을 묶어놓고 보물을 내어놓으라니 지팡이 하나만 들고 千山萬水에 돌아 다니는 중에게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비록 죽을지라도 보물은내어놓을 것이 없으니 장군은 자비심을 베풀어서 결박한 중들을 모두 풀어 놀아라'''<ref>茗田, "[http://m.blog.daum.net/samhang61/17055046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茗田의 차사랑』<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9월 03일.</ref>
 
하며 불교의 설법으로 왜장을 탄복케 하였고, 왜장 두 명이 그에게 계를 받아, [[유점사|유점사(楡岾寺)]] 인근 아홉 고을 사람들이 참회를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br/>
 
해당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고승이 [[유정]]이고, 그의 앞에 무릎을 꿇고 투구를 벗고 있는 왜장이다.
 
  
===작품 배경===
+
{{Blockquote| 왜장 曰 : 이 산에 금,은,동 여러 가지 보물이 있을테니 모두 내어놔라. 응하지 않으면 죽이겠다.<br/>
작품의 배경은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인 [[유점사]]로, 작품의 뒷배경에 [[금강산]]의 산세가 묘사되어 있다.<br/>
+
유정 曰 :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금,은,동을 보배로 쓰지 않고 다만 쌀과 베를 쓰기 때문에 금, 은 따위는 귀중히 여기지도 않는다. 하물며 산중에 있는 중은 채식으로 생활하는데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또한 장군이 불교의 7조를 묻는것만 보아도 자비불살(慈悲不殺)을 제일로 삼는 불교를 아는 모양인데, 지금 죄없는 중들을 묶어놓고 보물을 내어놓으라니 지팡이 하나만 들고 천산만수(千山萬水)에 돌아 다니는 중에게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비록 죽을지라도 내어놓을 보물이 없으니 장군은 자비심을 베풀어서 결박한 중들을 모두 풀어 놓으라.'''
작품 왼편에 그려진 석탑은 [[유점사 구층석탑]]으로, 해당 작품에는 삼층석탑으로 잘못 묘사되어 있다.
+
|출처= 茗田, "[http://m.blog.daum.net/samhang61/17055046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茗田의 차사랑』<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9월 03일.}}
  
 +
이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고승이 '''②⑤ [[유정]]'''이고, 그의 앞에 '''⑤⑧''' 왜장이 투구를 벗은 채 무릎을 꿇고 있다. 작품 뒤편에는 '''④⑤''' 결박이 풀린 승려들과 왜장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은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인 [[고성 유점사]]로, 작품의 뒷배경에 '''①② [[금강산]]'''의 산세가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석탑은 '''④ [[고성 유점사 구층석탑]]'''으로, 해당 작품에는 삼층석탑으로 잘못 묘사되어 있다.
  
금강산 유점사에서 있었던 일화를 보자. 왜적이 절을 점령한 뒤 승려 20여 명을 묶어 놓고 금은보화를 내놓으라고 윽박지르고 있었다. 그는 혼자 왜적을 찾아갔다. "금은보화는 온 나라 안에서도 희귀한데, 초의를 입고 채식하며 사는 중들이 어찌 금은보화를 쌓아두었겠느냐." 당당히 이치를 따져가며 말로써 적장을 제압했다.
+
===그림 읽기===
적장은 승려들을 풀어준 뒤 큰 판자에 '이 절에는 도승이 있으니 모든 군사는 들어오지 말라'고 써서 절문에 걸어 놓고 군사를 철수시켰다. 사명당은 이어 왜적의 본대가 주둔하고 있던 강원도 고성으로 가서 적장을 상대로 백성을 죽이지 말라고 설득했다. 유점사에서 있었던 사명당의 담대한 행동을 전해 들은 적장은 이 훈계를 받아들였다. 이로써 영동 지방의 아홉 고을 백성이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1월 20일부터 1992년 11월 19일까지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에 대여되었습니다.
 
 
 
 
때아닌 총성이 고요한 산사의 정적을 깨뜨리고 난데없는 일본군의 무리가 나타나자 유점사의 수백명 승려들은 혼비백산하여 숲 속으로 달아났다 미처 도망하지 못하고 일본군에게 잡힌 승려들은 모두 결박을 당하였고 경내는 삽시간에 수라장이 되고 말았다.
 
이즈음 숲 속에 숨어있던 승려들 앞에 다른 승려가 나타났다, 절안의 사정을 들은 그는 이내 절로 가려 했으나 승려들은 한결같이 일본군의 포악함을 말하면서 그를 만류했다.
 
그러나 그는 그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유점사를 향해 황급히 내려갔다 절에이른 그가 눈 하나 깜박하지 않고 경내에 들어서니 마주보는 일본군 병들도 빤히 쳐다보기만 할 뿐 그의츠연한 태도에 감히 앞을 막아서지 못하는 것이었다.
 
그가 법당에 들어섰을 때 법당안에는 왜잔 4인이 앉아 있었으나 그는 그들은 못 본 체하고 뒷짐만 지고 이리저리 법당 안을 거닐기만 하였다. 그의 이러한거동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던 왜장 하나가 그를 불렀다. 그제야그는 왜장들 곁에 가서 앉았다.
 
 
 
필담에 의한 대화가 오가기 시작했단. 왜장이 먼저 붓을 들었다
 
 
 
 
 
 
 
4명의 왜장들은 서로 얼굴을 바라보며 안색이 달라졌다. 그 승려의 높은 법력에 감화를 받았음이리라. 그들은 이내 부하들를 불러 결박했던 승려들은 일제히 풀어주었다.
 
=
 
 
 
=='''시각적 안내'''==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58번째 줄: 36번째 줄:
 
poly 0 0 1 86 16 82 23 89 39 92 53 93 61 83 75 85 74 77 83 74 84 76 90 83 103 86 115 83 123 83 134 79 156 82 167 97 187 96 195 85 213 89 227 89 235 65 235 45 235 33 248 22 245 8 248 6 255 0 256 7 257 12 263 12 265 14 257 18 267 26 268 29 274 34 274 46 276 52 267 60 267 69 283 63 289 65 300 69 307 80 309 90 310 94 307 101 307 107 330 103 351 107 377 97 385 83 401 88 416 101 438 97 449 101 457 93 479 96 485 105 503 102 514 97 536 98 543 82 540 63 536 51 527 50 519 43 514 51 502 49 513 42 507 38 503 28 496 23 500 -1 500 -1 [[금강산]]
 
poly 0 0 1 86 16 82 23 89 39 92 53 93 61 83 75 85 74 77 83 74 84 76 90 83 103 86 115 83 123 83 134 79 156 82 167 97 187 96 195 85 213 89 227 89 235 65 235 45 235 33 248 22 245 8 248 6 255 0 256 7 257 12 263 12 265 14 257 18 267 26 268 29 274 34 274 46 276 52 267 60 267 69 283 63 289 65 300 69 307 80 309 90 310 94 307 101 307 107 330 103 351 107 377 97 385 83 401 88 416 101 438 97 449 101 457 93 479 96 485 105 503 102 514 97 536 98 543 82 540 63 536 51 527 50 519 43 514 51 502 49 513 42 507 38 503 28 496 23 500 -1 500 -1 [[금강산]]
 
poly 250 1 245 10 249 15 242 12 250 20 235 34 235 38 235 43 238 48 234 54 239 60 235 73 231 80 232 97 242 107 249 108 249 130 242 132 234 138 227 147 216 155 213 165 210 175 205 187 204 197 200 205 196 216 196 225 194 238 191 251 189 267 189 277 187 285 188 297 183 307 187 321 194 331 217 349 221 345 219 358 221 369 219 381 231 389 234 396 238 401 239 405 250 414 252 421 256 436 262 449 274 450 285 444 301 445 312 450 325 444 330 443 343 445 354 438 354 385 352 369 351 344 352 329 355 306 351 273 354 254 359 226 362 203 361 203 360 197 356 192 358 186 354 181 341 167 326 147 316 142 307 131 309 122 305 112 307 102 308 95 308 90 305 78 301 72 295 67 286 63 274 65 266 70 267 62 272 51 270 43 271 34 265 28 265 25 255 17 262 12 260 12 256 12 256 7 252 1 [[유정]]  
 
poly 250 1 245 10 249 15 242 12 250 20 235 34 235 38 235 43 238 48 234 54 239 60 235 73 231 80 232 97 242 107 249 108 249 130 242 132 234 138 227 147 216 155 213 165 210 175 205 187 204 197 200 205 196 216 196 225 194 238 191 251 189 267 189 277 187 285 188 297 183 307 187 321 194 331 217 349 221 345 219 358 221 369 219 381 231 389 234 396 238 401 239 405 250 414 252 421 256 436 262 449 274 450 285 444 301 445 312 450 325 444 330 443 343 445 354 438 354 385 352 369 351 344 352 329 355 306 351 273 354 254 359 226 362 203 361 203 360 197 356 192 358 186 354 181 341 167 326 147 316 142 307 131 309 122 305 112 307 102 308 95 308 90 305 78 301 72 295 67 286 63 274 65 266 70 267 62 272 51 270 43 271 34 265 28 265 25 255 17 262 12 260 12 256 12 256 7 252 1 [[유정]]  
poly 33 108 27 127 30 143 27 152 5 159 -2 169 10 174 11 188 0 201 5 216 2 224 2 248 3 305 43 319 81 298 86 250 100 229 74 219 74 207 88 200 63 185 63 172 78 153 67 150 62 154 45 143 35 131 41 125 46 116 38 109 38 109 [[유점사 구층석탑]]
+
poly 33 108 27 127 30 143 27 152 5 159 -2 169 10 174 11 188 0 201 5 216 2 224 2 248 3 305 43 319 81 298 86 250 100 229 74 219 74 207 88 200 63 185 63 172 78 153 67 150 62 154 45 143 35 131 41 125 46 116 38 109 38 109 [[고성 유점사 구층석탑]]
 
</imagemap>
 
</imagemap>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6&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6&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3.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3.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_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jpg|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8&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_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jpg|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8&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gallery>
 
</gallery>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5/C035.htm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박서보) 지식관계망''']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html>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5/C03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html>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관계정보===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gallery>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PAGENAME}} ||[[박서보]]  || A는 B에 의해 그려졌다
 
 
|-
 
|-
|{{PAGENAME}} ||[[유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박서보]]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유점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유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유점사]] ||[[금강산]] || A는 B에 위치한다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고성 유점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유점사 구층석탑]] ||[[유점사]] || A는 B에 위치한다
+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유정]] || [[휴정]] || A는 B의 제자이다  ||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관련 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유정]] || [[남한산성]] ||   ||
+
| [[고성 유점사]] || [[유정]]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유정]] || [[이향견문록]] || A는 B에 언급된다  ||  
+
| [[유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유정]] || [[정여립 모반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휴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유정]] || [[평양성 전투]]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 [[휴정]] || [[유정]]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정여립 모반사건]] || [[기축옥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평양전투]] || [[4차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고니시 유키나가]] ||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여립]] || [[정여립 모반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유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여립]] || [[기축옥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휴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가토 기요마사]] ||  [[진주성 싸움]]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6년 || [[박서보]]가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제작하였다
 
+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관련 기사]]
+
|1991년 11월 20일-1992년 11월 19일 ||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이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PAGENAME}}||제작연도|| 1976년
+
|1593년 2월 6일-9일 || [[유정]]이 [[4차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
 
|-
|{{PAGENAME}}||[[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 대여기간 || 1991.11.20 ~ 1992.11.19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 ||35.4249581 || 126.8236472
+
|35.4249581 || 126.8236472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이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
 
|}
  
=='''그래프'''==
+
*'''임진왜란 승병 활동'''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25/C025.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참고문헌'''==
+
===관련 민족기록화===
* 편집부,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6&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3.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_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jpg|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8&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
===영상===
 +
*'''[왕만화]역사만화 한국사위인전 17 사명대사(게시일: 2013년 11월 11일)''' : 7분 52초~9분 11초(작품 관련 장면)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lAQwbkx83V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805 유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04478&cid=51267&categoryId=51267
 
 
=='''주석'''==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편집부,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
#웹 자원
 +
#* 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805 유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점사 구층석탑 (楡岾寺 九層石塔)", 공유마당_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저작권위원회』<sup>online</sup></online></html>.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04478&cid=51267&categoryId=51267 유점사 구층석탑 (楡岾寺 九層石塔)]", 공유마당_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茗田, "[http://m.blog.daum.net/samhang61/17055046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茗田의 차사랑』<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9월 03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분류:전쟁]]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29 기준 최신판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
작가 박서보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시기에 금강산 유점사까지 침입한 왜장이 사명대사 유정의 설법에 감화되어 물러나는 장면을 담은 박서보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

왜적이 유점사(楡岾寺)를 점령한 뒤 승려 20여 명을 결박하였는데, 유정(惟政, 1520~1604)은 홀연히 왜적을 찾아가, 왜장과 필담을 나누었다. 유정은 불교를 설법하여 왜장을 탄복케 하였고, 왜장 두 명이 그에게 계를 받기까지 하였다. 이 덕에 유점사 인근 영동 지방의 아홉 고을 사람들이 참회를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Quote-left.png 왜장 曰 : 이 산에 금,은,동 여러 가지 보물이 있을테니 모두 내어놔라. 응하지 않으면 죽이겠다.

유정 曰 :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금,은,동을 보배로 쓰지 않고 다만 쌀과 베를 쓰기 때문에 금, 은 따위는 귀중히 여기지도 않는다. 하물며 산중에 있는 중은 채식으로 생활하는데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또한 장군이 불교의 7조를 묻는것만 보아도 자비불살(慈悲不殺)을 제일로 삼는 불교를 아는 모양인데, 지금 죄없는 중들을 묶어놓고 보물을 내어놓으라니 지팡이 하나만 들고 천산만수(千山萬水)에 돌아 다니는 중에게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비록 죽을지라도 내어놓을 보물이 없으니 장군은 자비심을 베풀어서 결박한 중들을 모두 풀어 놓으라.

Quote-right.png
출처: 茗田,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다음 블로그 - 茗田의 차사랑』online, 작성일: 2009년 09월 03일.


이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고승이 ②⑤ 유정이고, 그의 앞에 ⑤⑧ 왜장이 투구를 벗은 채 무릎을 꿇고 있다. 작품 뒤편에는 ④⑤ 결박이 풀린 승려들과 왜장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인 고성 유점사로, 작품의 뒷배경에 ①② 금강산의 산세가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석탑은 고성 유점사 구층석탑으로, 해당 작품에는 삼층석탑으로 잘못 묘사되어 있다.

그림 읽기

금강산유정고성 유점사 구층석탑박서보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박서보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유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고성 유점사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관련 기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성 유점사 유정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유정 4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4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유정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평양전투 4차 평양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고니시 유키나가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유정 고니시 유키나가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휴정 고니시 유키나가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박서보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제작하였다
1991년 11월 20일-1992년 11월 19일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1593년 2월 6일-9일 유정4차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4249581 126.8236472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 임진왜란 승병 활동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왕만화]역사만화 한국사위인전 17 사명대사(게시일: 2013년 11월 11일) : 7분 52초~9분 11초(작품 관련 장면)

주석

  1.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2.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3.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6.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7.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8.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편집부,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2.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