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성환-예성강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유형= 무역
 
|유형= 무역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미상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필드수=7
 
|필드수=7
 
}}
 
}}
 
=='''정의'''==
 
=='''정의'''==
고려시대 [[예성강]] 하류에 있었던 하항(河港) [[벽란도]]를 그린 기록화이다.  
+
고려시대 [[예성강]] 하류에 있었던 하항 [[벽란도]]를 그린 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벽란도]]는 고려의 수도 개경(開京)에 가까운 국제무역항으로 중국 송나라 상인을 비롯하여 일본, 남양, 서역, 상인까지 드나들었다. 또한 국제적인 교역뿐만 아니라 외국으로 나가거나 국내로 들어오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고려의 관문적 역할을 하던 곳이었다. 국내에서 [[벽란도]]는 국도인 개성으로 가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나루터였다. 특히, 육로로 중국에서 오는 도로상에 있어 통행인도 많았던 교통의 요지였다. 이를 반영하여 작품에는 다양한 형태의 배가 그려져 있으며, 이국적인 복장을 한 수많은 사람들이 짐을 나르거나 거래를 하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br/>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성환-예성강도-1978s.jpg|right|450px]]
[[벽란도]] 부근 언덕에는 [[벽란정]](碧瀾亭)이라는 관사(館舍)가 있어 중국 송나라의 사신 일행이 도착하였을 때와 떠나기 전에는 이곳에서 묵었다. [[벽란도]]라는 이름도 처음에는 예성항(禮成港)이었다가 이 [[벽란정]]에서 이름을 따 [[벽란도]]라고 바꾼 것이다.<br/>
+
[[벽란도]](碧瀾渡)는 고려의 수도 개경(開京)에 가까운 국제무역항으로 중국 송나라 상인을 비롯하여 일본, 남양, 서역의 상인까지 드나들었다. 또한 국제적인 교역뿐만 아니라 외국으로 나가거나 국내로 들어오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고려의 관문 역할을 하던 곳이었다. 내항(內港)으로서도 [[벽란도]]는 국도인 개성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꼭 들러야 하는 나루터였다. 특히, 육로로 중국에서 오는 도로 끝에 있어 유동인구도 많았던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작품에는 '''④⑤⑥ 다양한 형태의 배'''가 그려져 있으며, 이국적인 복장을 한 수많은 사람들이 '''⑦⑨ 짐을 나르거나''' '''⑧ 거래를 하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br/>
고려의 화원 [[이녕]](李寧)은 사신을 따라 송나라에 들어가 휘종(徽宗)의 요청으로 <예성강도>를 그려 칭송을 받았다고 한다.
+
[[벽란도]] 부근 언덕에는 [[벽란정]](碧瀾亭)이라는 관사(館舍)가 있어 중국 송나라의 사신 일행이 도착하거나 떠나기 전에는 이곳에서 묵었다. [[벽란도]]의 원래 이름도 처음에는 예성항(禮成港)이었다가 이 [[벽란정]]에서 이름을 따 [[벽란도]]라고 바꾼 것이다.<br/>
 +
고려의 화원(畵員) [[이녕]](李寧)은 사신을 따라 송나라에 들어가 휘종(徽宗)의 요청으로 <예성강도>를 그려 칭송을 받았다고 한다.<ref>이혜은,"[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829 벽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예성강]]은 황해도 [[고달산]](高達山)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경기도와 황해도의 경계를 따라 흘러 황해로 들어가는데, 이 일대는 산지 지형에 가까워 강의 흐름이 비교적 빠르며 바다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조수가 밀려드는 불리한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비교적 물이 깊어 선박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었으며 고려 시대의 국도(國都)였던 개성과 가까이 위치하였던 관계로 벽란도가 고려 유일의 국제 항구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br/>[[예성강]]이라는 이름은 고려에서 중국의 송나라와 교섭할 때 이곳에서 모든 배를 띄워 예절 있게 맞아들이고 다시 바래다 주었던 강이라 하여 붙여졌다. 고려 시대 송나라 상인들의 왕래가 많았을 때의 사실을 노래한 「예성강곡(禮成江曲)」도 있었다고 한다.
+
[[예성강]]은 황해도 [[고달산]](高達山)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경기도와 황해도의 경계를 따라 흘러 황해로 흘러들어간다. 이 일대는 산지 지형에 가까워 강의 흐름이 비교적 빠르며 바다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조수가 밀려드는 불리한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그런 악조건 때문에 오히려 물이 깊어서 선박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었으며 고려 시대의 국도(國都)였던 개성과 가까이 위치하였던 관계로 벽란도가 고려 유일의 국제 항구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br/>[[예성강]](禮成江)이라는 이름은 고려에서 중국의 송나라와 교섭할 때 이곳에서 모든 배를 띄워 예절 있게 맞아들이고 다시 배웅했던 강이라 하여 붙여졌다. 고려 시대 송나라 상인들의 왕래가 많았을 때의 사실을 노래한 「예성강곡(禮成江曲)」도 있었다고 한다.<ref>김주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956 예성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30번째 줄: 31번째 줄:
 
</imagemap>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2/C022.htm "예성강도"(박성환) 지식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2/C02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박성환]]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8년
+
| [[박성환-예성강도]] || [[박성환]]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박성환-예성강도]]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박성환-예성강도]]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한국학중앙연구원]] ||{{PAGENAME}}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 [[박성환-예성강도]] ||[[예성강]]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한국학중앙연구원]]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 [[박성환-예성강도]] ||[[벽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PAGENAME}} ||[[예성강]]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벽란도]] || [[예성강]]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PAGENAME}} ||[[벽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예성강도]] || [[예성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예성강도]] || [[예성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예성강곡]] || [[예성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이녕]]||[[예성강도]] || A는 B를 그렸다 ||1124년
+
|[[예성강도]]|| [[이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8년 || [[박성환]]이 {{PAGENAME}}를 그렸다.
+
|1978년 || [[박성환]]이 [[박성환-예성강도]]를 그렸다.
 
|-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박성환-예성강도]]를 대여하였다.
 
|-
 
|-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PAGENAME}}을 소장하고 있다.
+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박성환-예성강도]]를 소장하고 있다.
 
|-  
 
|-  
 
| 1124년 || [[이녕]]이 [[예성강도]]를 그렸다.  
 
| 1124년 || [[이녕]]이 [[예성강도]]를 그렸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3915557 || 127.0547403 ||[[인천시립박물관]]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박성환-예성강도]]소장하였다.
|-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PAGENAME}}을 소장하였다.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center>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center>
+
</html><br/>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사진===
 
===사진===
89번째 줄: 9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
#단행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6157&cid=46632&categoryId=46632 벽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5월 17일.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7915&cid=46617&categoryId=46617 예성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5월 17일.
+
#웹 자원
 +
#*이혜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829 벽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82&cid=42957&categoryId=42957 벽란도]",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9432 벽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김주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956 예성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평화문제연구소, "예성강", 『조선향토대백과』, (사)평화문제연구소, 200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231128&cid=57738&categoryId=57754 예성강]", 조선향토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941 예성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무역]]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25 기준 최신판


예성강도
박성환-예성강도-1978s.jpg
작가 박성환
제작연도 1978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무역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예성강 하류에 있었던 하항 벽란도를 그린 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성환-예성강도-1978s.jpg

벽란도(碧瀾渡)는 고려의 수도 개경(開京)에 가까운 국제무역항으로 중국 송나라 상인을 비롯하여 일본, 남양, 서역의 상인까지 드나들었다. 또한 국제적인 교역뿐만 아니라 외국으로 나가거나 국내로 들어오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고려의 관문 역할을 하던 곳이었다. 내항(內港)으로서도 벽란도는 국도인 개성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꼭 들러야 하는 나루터였다. 특히, 육로로 중국에서 오는 도로 끝에 있어 유동인구도 많았던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작품에는 ④⑤⑥ 다양한 형태의 배가 그려져 있으며, 이국적인 복장을 한 수많은 사람들이 ⑦⑨ 짐을 나르거나 ⑧ 거래를 하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벽란도 부근 언덕에는 벽란정(碧瀾亭)이라는 관사(館舍)가 있어 중국 송나라의 사신 일행이 도착하거나 떠나기 전에는 이곳에서 묵었다. 벽란도의 원래 이름도 처음에는 예성항(禮成港)이었다가 이 벽란정에서 이름을 따 벽란도라고 바꾼 것이다.
고려의 화원(畵員) 이녕(李寧)은 사신을 따라 송나라에 들어가 휘종(徽宗)의 요청으로 <예성강도>를 그려 칭송을 받았다고 한다.[1]

작품 배경

예성강은 황해도 고달산(高達山)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경기도와 황해도의 경계를 따라 흘러 황해로 흘러들어간다. 이 일대는 산지 지형에 가까워 강의 흐름이 비교적 빠르며 바다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조수가 밀려드는 불리한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그런 악조건 때문에 오히려 물이 깊어서 선박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었으며 고려 시대의 국도(國都)였던 개성과 가까이 위치하였던 관계로 벽란도가 고려 유일의 국제 항구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예성강(禮成江)이라는 이름은 고려에서 중국의 송나라와 교섭할 때 이곳에서 모든 배를 띄워 예절 있게 맞아들이고 다시 배웅했던 강이라 하여 붙여졌다. 고려 시대 송나라 상인들의 왕래가 많았을 때의 사실을 노래한 「예성강곡(禮成江曲)」도 있었다고 한다.[2]

그림 읽기

박성환 「예성강도」 1978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성환-예성강도 박성환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성환-예성강도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박성환-예성강도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박성환-예성강도 예성강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박성환-예성강도 벽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벽란도 예성강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예성강도 예성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예성강곡 예성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예성강도 이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8년 박성환박성환-예성강도를 그렸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한국학중앙연구원박성환-예성강도를 대여하였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박성환-예성강도를 소장하고 있다.
1124년 이녕예성강도를 그렸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5557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박성환-예성강도를 소장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사진

영상

주석

  1. 이혜은,"벽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주환, "예성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2. 웹 자원
    • 이혜은, "벽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벽란도",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벽란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김주환, "예성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평화문제연구소, "예성강", 『조선향토대백과』, (사)평화문제연구소, 2008. 온라인 참조: "예성강",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예성강",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