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적 안내)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민족/기획기사보기|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8번째 줄: 11번째 줄:
 
|유형= 전쟁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소장처= [[독립기념관]]
 
|필드수=8
 
|필드수=8
 
}}
 
}}
=='''개요'''==
+
=='''정의'''==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한 [[삼별초]]에 의해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는 상황이다. 침몰하고 있는 전선(戰船)들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데, 삼별초 항쟁이 벌어진 1270년대 당시에는 [[화포]]와 [[화약]] 개량이나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극적 효과를 노리기 위한 미술적 장치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김서봉]]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삼별초항쟁|삼별초의 대몽 항쟁]]은 1270년 6월 [[삼별초]] 해산령에 불만을 가진 [[삼별초]] 장병들이 [[몽골]]과 [[고려]] 연합군을 상대로 펼친 3년간의 항쟁이다.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right|450px]]
 +
[[삼별초항쟁|삼별초(三別抄)의 대몽 항쟁]]은 1270년 6월 [[삼별초]] 해산령에 불만을 가진 [[삼별초]] 장병들이 [[몽골]]과 [[고려]] 연합군을 상대로 펼친 3년간의 항쟁이다.<br/>
 +
작품의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①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삼별초]]는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했다. 따라서 '''①② 해상전투에서 패한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다. 또한 전선(戰船)들에서 '''①④ 피어오르는 검은 연기'''는 극적 효과를 더하고 있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⑤⑥⑧⑨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④⑦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해상전투가 벌어지는 [[진도]] 앞 바다로 설정되어 있다. [[진도]] 내에는 [[배중손]][[삼별초]]를 이끌고 [[진도]]로 남하하여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기 위해 쌓았다는 [[남도석성]]이 남아 있다.
+
작품의 배경은 해상전투가 벌어지는 [[진도]] 앞 바다로 설정되어 있다. [[진도]]에는 [[배중손]](裵仲孫, ?~1271)이이 [[삼별초]]를 이끌고 [[진도]]로 남하하여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기 위해 쌓았다는 [[진도 남도석성|남도석성]](南桃石城)이 남아 있다.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Image: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center|900px|
+
<imagemap>Image: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center|800px|
 
poly 298 150 353 286 409 397 505 522 677 526 677 298 585 253 625 241 627 214 529 186 453 160 401 129 301 149 [[삼별초]]
 
poly 298 150 353 286 409 397 505 522 677 526 677 298 585 253 625 241 627 214 529 186 453 160 401 129 301 149 [[삼별초]]
 
poly 132 56 69 79 69 89 223 87 295 85 579 85 533 73 494 69 463 65 449 71 421 74 393 75 377 71 359 70 343 77 297 85 270 77 217 73 126 55 [[진도]]
 
poly 132 56 69 79 69 89 223 87 295 85 579 85 533 73 494 69 463 65 449 71 421 74 393 75 377 71 359 70 343 77 297 85 270 77 217 73 126 55 [[진도]]
 
</imagemap>
 
</imagemap>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삼별초의대몽항전 전시실 01.pdf|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7&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4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삼별초의대몽항전 전시실01.jpeg|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7&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ref>
</gallery>
 
 
 
=='''관련 민족기록화'''==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gallery>
 
</gallery>
  
 +
=='''지식 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18/C018.htm "삼별초의 대몽항전"(김서봉)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18/C01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윤중식]]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윤중식]]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삼별초]]||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삼별초항쟁]]||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진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PAGENAME}} || A가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삼별초]]||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배중손]] || [[삼별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삼별초항쟁]]||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진도 남도석성]] || [[삼별초]] || A는 B에 의해 건설되었다 || A dcterms:constructor B
 
|-
 
|-
|[[배중손]] || [[삼별초]]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진도 남도석성]] || [[진도]]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PAGENAME}} || [[진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진도 남도석성]]|| [[진도 정충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삼별초]] || [[남도석성]] || A는 B를 건설하였다 ||
+
|[[배중손]] || [[진도 정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남도석성]] || [[진도]] || A는 B에 위치한다 ||
+
|[[삼별초]] || [[삼별초항쟁]]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erformed B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5년 || [[김서봉]]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1975년 || [[김서봉]]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그렸다.
 
|-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대여하였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7.423111|| 126.973591||{{PAGENAME}}이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에 대여되었다.
+
|37.423111|| 126.973591||[[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대여하였다.
 +
|-
 +
|36.783745 || 127.223215|| [[독립기념관]]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소장하고 있다.
 
|}
 
|}
  
=='''그래프'''==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1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18/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삼별초의대몽항전 전시실01.jpeg|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7&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ref>
 +
</gallery>
  
=='''참고문헌'''==
+
===영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867 남도석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604 삼별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605 삼별초항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고구려]][[분류:예술]]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867 남도석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604 삼별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3월 13일.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605 삼별초항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3:56 기준 최신판



삼별초의 대몽항전
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
작가 김서봉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김서봉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

삼별초(三別抄)의 대몽 항쟁은 1270년 6월 삼별초 해산령에 불만을 가진 삼별초 장병들이 몽골고려 연합군을 상대로 펼친 3년간의 항쟁이다.
작품의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①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삼별초는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했다. 따라서 ①② 해상전투에서 패한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다. 또한 전선(戰船)들에서 ①④ 피어오르는 검은 연기는 극적 효과를 더하고 있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⑤⑥⑧⑨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④⑦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해상전투가 벌어지는 진도 앞 바다로 설정되어 있다. 진도에는 배중손(裵仲孫, ?~1271)이이 삼별초를 이끌고 진도로 남하하여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기 위해 쌓았다는 남도석성(南桃石城)이 남아 있다.

그림 읽기

삼별초진도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윤중식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독립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삼별초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삼별초항쟁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진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배중손 삼별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진도 남도석성 삼별초 A는 B에 의해 건설되었다 A dcterms:constructor B
진도 남도석성 진도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진도 남도석성 진도 정충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배중손 진도 정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삼별초 삼별초항쟁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erformed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서봉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그렸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23111 126.973591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대여하였다.
36.783745 127.223215 독립기념관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2.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차용걸, "남도석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민병하, "삼별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3월 13일.
    • "삼별초항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