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작가소개)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1970년대 중반 이후는 그간의 기하학적 구조를 벗어나 유동적인 파상선(破狀線)과 확산적인 기호 형상으로 불교 사상의 심의화(心意化)를 한층 선명히 한 화면을 추구하며, 「밀문(密門)」, 「만다라(曼茶羅)」 등의 명제를 붙였다. 「만다라」연작은 60년대 말 국내화단에 유입된 옵티칼 아트를 수용하면서 불교적 상징세계를 도입하여 독자적 세계를 구축한 것이다. 이는 서구적 추상주의 회화에 대한 동양적 또는 한국적 표현 정신의 발로이자 그에 따른 창작적 조형 추구의 실현이었다.<br/> | 1970년대 중반 이후는 그간의 기하학적 구조를 벗어나 유동적인 파상선(破狀線)과 확산적인 기호 형상으로 불교 사상의 심의화(心意化)를 한층 선명히 한 화면을 추구하며, 「밀문(密門)」, 「만다라(曼茶羅)」 등의 명제를 붙였다. 「만다라」연작은 60년대 말 국내화단에 유입된 옵티칼 아트를 수용하면서 불교적 상징세계를 도입하여 독자적 세계를 구축한 것이다. 이는 서구적 추상주의 회화에 대한 동양적 또는 한국적 표현 정신의 발로이자 그에 따른 창작적 조형 추구의 실현이었다.<br/> | ||
불화(佛畵), 단청(丹靑), 민화(民畵), 무속화(巫俗畵) 등 전통적 한국미의 본질 및 그 조형적 정신성을 자유롭게 원용하였고, 장식적인 색상과 화면의 구성적 신비감, 그리고 생성과 확산의 표상의 종교적 내지 철학적 심의(心意)를 작품 속에 구현하였다. 그 결과 화면 구조는 평면적이고 색채는 강하고 찬란하게 형상되며, 현대적인 불화 또는 성당 건물의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를 연상시키는 작업으로 나타났다. | 불화(佛畵), 단청(丹靑), 민화(民畵), 무속화(巫俗畵) 등 전통적 한국미의 본질 및 그 조형적 정신성을 자유롭게 원용하였고, 장식적인 색상과 화면의 구성적 신비감, 그리고 생성과 확산의 표상의 종교적 내지 철학적 심의(心意)를 작품 속에 구현하였다. 그 결과 화면 구조는 평면적이고 색채는 강하고 찬란하게 형상되며, 현대적인 불화 또는 성당 건물의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를 연상시키는 작업으로 나타났다. | ||
− | 작품의 제목들도 「묘계환중(妙契環中)」과 같이 불교의 법어(法語)를 인용하기도 하였고, 「불(佛)」, 「보살(菩薩)」, 「성상(聖像)」, 「승화(昇華)」 등 불교적 색채를 띠거나, 1980년대에 제작된 「혼(魂)불-그 빛의 회오리」, 「생명의 원(源)」과 같이 무속적인 한국문화의 원형을 상징하기도 하였다.<br/> | + | 작품의 제목들도 「묘계환중(妙契環中)」과 같이 불교의 법어(法語)를 인용하기도 하였고, 「불(佛)」, 「보살(菩薩)」, 「성상(聖像)」, 「승화(昇華)」 등 불교적 색채를 띠거나, 1980년대에 제작된 「혼(魂)불-그 빛의 회오리」, 「생명의 원(源)」과 같이 무속적인 한국문화의 원형을 상징하기도 하였다.<br/><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687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8일 확인)</ref><br/>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687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8일 확인)</ref><br/> | ||
=='''학력'''== | =='''학력'''== |
2017년 3월 25일 (토) 13:44 판
() | |
[[file:|270px|thumb|center|]] | |
출생지 | 경상남도 창녕 |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서양화가 |
작가소개
해방 이후 미술대학을 졸업한 1세대이다. 1957년 20대 청년 작가들의 전향적 단체였던 현대미술가협회에 창립회원으로 참가하였고, 1962년까지 김창렬(金昌烈), 박서보(朴栖甫) 등과 앵포르멜(informel: 제2차 대전 후의 비구상화의 한 수법, 또는 그 작가들 그룹의 호칭) 및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 열정을 쏟았다. 그 뒤 약 10년간은 다분히 기하학적 골격의 색면 추상 작업으로 이행하였다. 그 표현 정신은 불교의 선(禪)사상의 심취를 반영한 「회(廻)」, 「윤(輪)」 등의 작품에서 확인된다.
1970년대 중반 이후는 그간의 기하학적 구조를 벗어나 유동적인 파상선(破狀線)과 확산적인 기호 형상으로 불교 사상의 심의화(心意化)를 한층 선명히 한 화면을 추구하며, 「밀문(密門)」, 「만다라(曼茶羅)」 등의 명제를 붙였다. 「만다라」연작은 60년대 말 국내화단에 유입된 옵티칼 아트를 수용하면서 불교적 상징세계를 도입하여 독자적 세계를 구축한 것이다. 이는 서구적 추상주의 회화에 대한 동양적 또는 한국적 표현 정신의 발로이자 그에 따른 창작적 조형 추구의 실현이었다.
불화(佛畵), 단청(丹靑), 민화(民畵), 무속화(巫俗畵) 등 전통적 한국미의 본질 및 그 조형적 정신성을 자유롭게 원용하였고, 장식적인 색상과 화면의 구성적 신비감, 그리고 생성과 확산의 표상의 종교적 내지 철학적 심의(心意)를 작품 속에 구현하였다. 그 결과 화면 구조는 평면적이고 색채는 강하고 찬란하게 형상되며, 현대적인 불화 또는 성당 건물의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를 연상시키는 작업으로 나타났다.
작품의 제목들도 「묘계환중(妙契環中)」과 같이 불교의 법어(法語)를 인용하기도 하였고, 「불(佛)」, 「보살(菩薩)」, 「성상(聖像)」, 「승화(昇華)」 등 불교적 색채를 띠거나, 1980년대에 제작된 「혼(魂)불-그 빛의 회오리」, 「생명의 원(源)」과 같이 무속적인 한국문화의 원형을 상징하기도 하였다.
[1]
학력
- 1954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경력
전시
수상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A항목 | B항목 | 관계 |
---|---|---|
하인두 | 하인두-동명목재 | A는 B를 그렸다 |
그래프
참고문헌
- 사이트
-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8일 확인)
-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8일 확인)
주석
- ↑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8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