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승탑비는 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비(碑)로서, 승탑비에 기록된 금석문을 통해 해당 승려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승탑비를...)
 
1번째 줄: 1번째 줄:
 +
=승탑비문관=
 +
 
승탑비는 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비(碑)로서, 승탑비에 기록된 금석문을 통해 해당 승려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승탑비를 중심으로 그것과 관련된 여러 지식 노드를 추출하여 서로 간의 유의미한 관계망을 구성한다면, 단일 비문을 읽으면서 곧바로 살피기 어려운 한국 불교사의 이면에 대한 전체적 조망이 가능할 수 있다. 여러 승려의 행적을 연결함으로써 각 시대별 불교가 지니고 있던 실질적 면모가 자연스럽게 드러난다면 이는, 불교문화에 접근하는 재미있는 콘텐츠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불교사 이해에도 도움을 주는 교육적 가치를 지닐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승탑비 44개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500여 개의 지식 노드(승려・인물 150여 명, 사찰 100여 개소, 승탑 60여 기, 탁본・문헌 60여 편, 유물 30여 건, 공간 30여 건, 개념어 20여 건)를 추출하고, 그것들 사이의 의미 있는 관계를 네트워크 그래프로 구현하고자 한다
 
승탑비는 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비(碑)로서, 승탑비에 기록된 금석문을 통해 해당 승려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승탑비를 중심으로 그것과 관련된 여러 지식 노드를 추출하여 서로 간의 유의미한 관계망을 구성한다면, 단일 비문을 읽으면서 곧바로 살피기 어려운 한국 불교사의 이면에 대한 전체적 조망이 가능할 수 있다. 여러 승려의 행적을 연결함으로써 각 시대별 불교가 지니고 있던 실질적 면모가 자연스럽게 드러난다면 이는, 불교문화에 접근하는 재미있는 콘텐츠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불교사 이해에도 도움을 주는 교육적 가치를 지닐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승탑비 44개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500여 개의 지식 노드(승려・인물 150여 명, 사찰 100여 개소, 승탑 60여 기, 탁본・문헌 60여 편, 유물 30여 건, 공간 30여 건, 개념어 20여 건)를 추출하고, 그것들 사이의 의미 있는 관계를 네트워크 그래프로 구현하고자 한다
 +
 +
=대상 자원 목록=
 +
 +
===1차 자원===

2016년 9월 20일 (화) 12:06 판

승탑비문관

승탑비는 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비(碑)로서, 승탑비에 기록된 금석문을 통해 해당 승려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승탑비를 중심으로 그것과 관련된 여러 지식 노드를 추출하여 서로 간의 유의미한 관계망을 구성한다면, 단일 비문을 읽으면서 곧바로 살피기 어려운 한국 불교사의 이면에 대한 전체적 조망이 가능할 수 있다. 여러 승려의 행적을 연결함으로써 각 시대별 불교가 지니고 있던 실질적 면모가 자연스럽게 드러난다면 이는, 불교문화에 접근하는 재미있는 콘텐츠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불교사 이해에도 도움을 주는 교육적 가치를 지닐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승탑비 44개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500여 개의 지식 노드(승려・인물 150여 명, 사찰 100여 개소, 승탑 60여 기, 탁본・문헌 60여 편, 유물 30여 건, 공간 30여 건, 개념어 20여 건)를 추출하고, 그것들 사이의 의미 있는 관계를 네트워크 그래프로 구현하고자 한다

대상 자원 목록

1차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