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고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주석) |
(→참고문헌) |
||
76번째 줄: | 76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450-472쪽. | |
− | +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373 "36. 태고보우 선사", 불교신문, 2007.10.10.] | |
− | + | * 최연식, 신돈(辛旽)의 불교 신앙과 불교 정책, 불교학보 86,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267-291쪽. | |
− | + | * 한기두, 太古 普愚 硏究, 원광대학교 논문집, 1973, 83-105쪽. | |
− | +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 | *이지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2017년 3월 21일 (화) 15:08 판
보우(普愚)() | |
대표명칭 | 보우(普愚) |
---|---|
영문명칭 | Bou |
생몰년 | 1301(충렬왕 27)-1382(우왕 8) |
시호 | 원증(圓證) |
호 | 태고(太古) |
휘 | 보우(普愚) |
탑호 | 보월승공(寶月昇空) |
성씨 | 홍씨(洪氏) |
본관 | 홍주(洪州) |
출신지 | 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
승탑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 |
승탑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
목차
[숨기기]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생애
가계와 탄생
국사의 휘는 보우(普愚)요 호는 태고(太古)이며 속성은 홍씨(洪氏)이니 충남 홍주(洪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휘는 연(延)이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해설 1] 상주국(上柱國)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 홍양공(洪陽公)에 추증(追贈)되었다.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니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추증되었다. 부인이 어느 날 밤 태양이 가슴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임신하여 대덕(大德) 5년 신축(辛丑) 9월 21일에 스님을 낳았다. 스님은 성동(成童)의 나이에도 영오(穎悟)함이 남달리 뛰어났다. | ||
출처: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출가수행
중국으로 유학
지정(至正) 병술년(丙戌年)에 스님의 나이 46세 때 원(元)나라 연도(燕都)로 입원유학(入元遊學)하였다. 축원(竺源) 영성선사(永盛禪師)의 고명함을 듣고 남소(南巢)로 찾아갔으나, 그는 이미 입적(入寂)한 후였다. 그리하여 다시 방향을 바꾸어 호주(湖州)에 있는 하무산(霞霧山)으로 가서 석옥(石屋) 청공선사(淸珙禪師)를 친견하고, 자신이 얻은 바를 낱낱이 아뢰고 아울러 태고암가(太古庵歌)를 바쳤더니, 석옥(石屋)이 이를 보고 크게 감탄하면서 큰 법기(法器)로 여겼다. 이어 일용사(日用事)를 묻는 데 대하여 스님은 자신있게 대답하였다. 또 여쭙기를 “지금 스님께서 말씀하여 주신 것 이외에 더 일러주실 말씀이 있나이까” 하니, 석옥(石屋)이 이르기를 “노승(老僧)도 이와 같고 삼세제불(三世諸佛)도 또한 이와 같을 뿐이니라” 하면서 드디어 신표(信表)로서 가사(袈裟)를 전해주고는 이르기를 “노승(老僧)이 이젠 다리를 뻗고 편안히 잠잘 수 있게 되었다”라고 하였으니, 석옥(石屋)은 임제(臨濟)의 18대(代) 법손(法孫)이다. 스님이 그곳에서 보름 쯤 있다가 떠나올 때 주장자(柱杖子)를 주면서 “길 조심하여 잘 가라”고 당부하므로 스님은 주장자를 받고 하직 인사를 하고 다시 연도(燕都)로 돌아오니, 스님의 도덕에 대한 명성이 널리 전파되어 있었다. 천자(天子)가 이 소문을 듣고는 영녕사(永寧寺)에서 수법(受法)한 개당법회(開堂法會)를 열기를 청하였다. 이 때 원(元)나라 황제 순제(順帝)는 금란가사(金襴袈裟)와 침향목(沈香木)으로 만든 불자(拂子)를 하사하였고, 황후(皇后)와 황태자(皇太子)는 향(香)과 폐물을 바쳤으며, 왕공(王公)과 사녀(士女)들도 앞을 다투어 찾아와 예배(禮拜)를 올렸다. | ||
출처: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60-462쪽. |
귀국 및 활동
왕사에 임명됨
신돈과의 악연
입적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 체징(體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884년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 체징(體澄) | A는 B의 승탑이다 | 884년 |
염거(廉居) | 체징(體澄) | A는 B의 스승이다 | |
체징(體澄) | 형미(逈微) | A는 B의 스승이다 | |
체징(體澄) |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 A는 B를 중창하였다 | 861년 |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 가지산문 | A는 B와 관련있다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 김영(金穎)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 김원(金薳), 김언경(金彦卿)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 현창(賢暢)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참고문헌
-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450-472쪽.
- "36. 태고보우 선사", 불교신문, 2007.10.10.
- 최연식, 신돈(辛旽)의 불교 신앙과 불교 정책, 불교학보 86,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267-291쪽.
- 한기두, 太古 普愚 硏究, 원광대학교 논문집, 1973, 83-105쪽.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주석
용어해설
- 이동 ↑ 고려 문산계(文散階). 중국에서는 위(魏)·진(晉) 시대부터 시작된 관계(官階)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995년에 전의대광(典儀大匡)을 개부의동삼사라고 불렀다. 1298년 숭록대부(崇祿大夫)로 개칭. 1356년에 다시 개부의동삼사라 하다가 1362년에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으로 고쳤다. 출처: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각주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