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고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생애) |
(→입적)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입적=== | ===입적=== | ||
+ | |||
+ | =='''주석'''== | ||
+ | ===용어해설=== | ||
+ | <references group="해설"/> | ||
+ | ===출처=== | ||
+ | <references/> | ||
+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분류:인물]] | ||
+ | [[분류:승려]] | ||
+ | [[분류:고려]] |
2017년 3월 20일 (월) 16:13 판
보우(普愚)() | |
대표명칭 | 보우(普愚) |
---|---|
영문명칭 | Bou |
생몰년 | 1301(충렬왕 27)-1382(우왕 8) |
시호 | 원증(圓證) |
호 | 태고(太古) |
휘 | 보우(普愚) |
탑호 | 보월승공(寶月昇空) |
성씨 | 홍씨(洪氏) |
본관 | 홍주(洪州) |
출신지 | 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
승탑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 |
승탑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생애
가계와 탄생
어머니는 김씨니, 어느날 밤에 홀연히 상서로운 징조의 꿈을 꾸었는데, 어떤 호승(胡僧)[해설 1]이 방에 들어와 나무로 된 책상을 주었다. 문득 꿈을 깬 후 고침(藁砧)[해설 2]에게 물었더니 답하되, "반드시 보배로운 아들을 회임할 것이므로 미리 아들을 낳을 경사를 예고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 후로부터 어머니의 거실에는 언제나 환한 불빛이 있었다. | ||
출처: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쪽. |
형미(逈微)는 864년 지금의 광주 지방인 무주(武州)에서 출생하였다. 속성은 최씨이고 그 선조는 박릉(博陵)[해설 3]의 귀족 출신이었다. 아버지 낙권(樂權)은 노장사상에 심취한 한편 스님들과도 친교하였다.[1] 대사는 수승한 상호(殊相)를 타고 났으며, 어려서부터 함부로 아이들과 사귀지 않았다고 한다.[2]
출가수행
입당유학
귀국 및 활동
입적
주석
용어해설
- ↑ 인도 스님.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쪽.
- ↑ 敲砧이라고도 하니, 점치는 사람.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쪽.
- ↑ 박릉최씨는 하북(河北) 산동(山東)의 4개의 저명한 사족 가운데 하나이다. 피터 K.볼, 심의용 역,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사문을 통해 본 당송 시대 지성사의 대변화』, 북스토리, 2008, 104쪽.